목차 (역학원론)

|

 

<目 次>

第一章 총론(總論)14

第一節 상(象)과 법칙(法則)14

천지(天地)는 한 태일체(太一體)14

상(象)과 자연법칙(自然法則)과의 관계(關係)16

사회(社會)와 생존법칙(生存法則)18

천지(天地)와 일월(日月)은 만상(萬象)의 대종(大宗)21

역리(易理)와 정치(政治)25

第二節 조직(組織)과 운행(運行)29

천지(天地)와 일월(日月)의 작용(作用)29

조직(組織)의 음양성(陰陽性)33

운행(運行)의 사시성(四時性)35

조직(組織)∙운행(運行)의 계통(系統)40

第二章 대대원리(對待原理)43

第一節 통일(統一)과 대대(對待)43

일이이(一而二) 이이일(二而一)의 작용(作用)43

유물론(唯物論)과 유심론(唯心論)48

대대(對待)의 분포(分布)51

통관(通觀)과 동관(童觀)54

第二節 대대(對待)와 운동(運動)60

대대(對待)의 호근(互根)60

대대(對待)의 균등(均등(等))64

사회(社會)의 신진대사(新陳代謝)69

第三節 대대(對待)와 삼재(三才)75

대대조직(對待組織)과 삼재운행(三才運行)75

삼색(三索)과 삼극(三極)78

능동(能動)과 수동(受動)80

개체(個體)와 통체(統體)81

안정(安貞)과 발용(發用)83

삼대용(三對用)의 착종(錯綜)85

第三章 대시(大始)와 정(情)87

第一節 삼정(三情)(삼본능(三本能))87

본능(本能)은 생존작용(生存作用)의 발단(發端)87

본능(本能)과 선악문제(善惡問題)89

선악(善惡)과 미추(美醜)92

악(惡)의 발생(發生)하는 까닭95

第二節 感應98

감응(感應)은 괴위중(乖違中)의 상교(相交)98

일음일양(一陰一陽)의 상배(相配)101

이간(易簡)의 이(理)103

第三節 萃聚107

췌취(萃聚)는 분산중(分散中)의 통합(統合)107

점지진(漸之進)의 리(理)111

식물(食物)과 학문(學問)의 췌취(萃聚)113

권세(權勢)와 재화(財貨)의 췌취(萃聚)116

第四節 항구(恒久)121

항구(恒久)는 변화중(變化中)의 불변(不變)121

진화론(進化論)과의 관계(關係)124

항구(恒久)는 생존(生存)의 기초(基礎)129

第五節 삼정(三情)과 사정(四情)137

정대본능(正大本能)137

사람과 동식(動植)과의 비교(比較)139

삼정(三情)과 생활(生活)과의 관계(關係)143

정치(政治)의 삼정작용(三情作用)146

第四章 유형(流形)과 시용(時用)150

第一節 삼시용(三時用)과 사시의(四時義)150

상반(相反)의 속에 상제(相濟)가 있다150

규이(睽異)의 시용(時用)152

함험(陷險)의 시용(時用)153

건난(蹇難)의 시용(時用)155

시용(時用)과 시의(時義)157

第二節 차등(差등(等))과 균평(均平)162

호대호소(互大互小)의 원리(原理)163

현대(現代) 정치사상(政治思想)의 발원(發源)168

사회(社會)의 균평운동(均平運動)172

第三節 투쟁(鬪爭)과 조화(調和)178

조화(調和)를 얻기 위(爲)한 투쟁(鬪爭)178

투쟁(鬪爭)과 조화(調和)의 반복(反復)183

악(惡)의 극제(克制)가 곧 투쟁(鬪爭)이다186

지도자(指導者)의 시범(示範)191

第四節 안정(安定)과 유동(流動)196

안정(安定)은 방(方)하고 유동(流動)은 원(圓)하다196

방(方)과 원(圓)의 호근(互根)199

환주운동(圜周運動)과 직선운동(直線運動)203

자전(自轉)과 공전(公轉)208

第五章 변화(變化)와 역(易)214

第一節 삼역(三易)214

궁변통구(窮變通久)214

삼역(三易)의 혼륜(渾淪)218

第二節 변역(變易)221

소장운동(消長運動)221

보수(保守)와 혁신(革新)224

양극(兩極)과 중간(中間)229

第三節 교역(交易)235

정위적(定位的) 질서(秩序)와 교체적(交體的) 질서(秩序)235

권력(權力)과 도덕(道德)240

第四節 반역(反易)247

만물(萬物)은 모두 반생(反生)247

신(新)이란 무엇인가252

성반제(成反齊)의 이(理)256

第六章 대화(大和)와 중(中)260

第一節 중(中)과 절(節)260

대대(對待)․ 중심(中心)․ 통일(統一)260

태극(太極)이란 무엇인가263

한도(限度)와 절(節)268

삼현일장(三顯一藏)의 이(理)271

第二節 중(中)과 화(和)275

화(和)는 중운동(中運動)의 극치(極致)275

이간(易簡)의 우로(憂勞)278

전례(典禮)와 경건(敬虔)280

언사(言辭)와 풍악(風樂)282

예악(禮樂)의 근본정신(根本精神)285

第七章 운명(運命)과 자유의지(自由意志)288

운명(運命)은 선천(先天)이오 자유의지(自由意志)는 후천(後天)이다288

천명(天命)과 운명(運命)과의 관계(關係)292

관상학(觀相學)의 원리(原理)296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의 교호작용(交互作用)300

第八章 결론(結論)302

사람의 생존(生存)하는 목적(目的)302

본능(本能)은 생존목적(生存目的)을 달성(達成)하는 수단(手段)303

무한(無限)한 즐거움306

즐거움도 만인만색(萬人萬色)308

근심과 즐거움311

【附錄 一】

역학(易學)과 우리 국문(國文)과의 관계(關係)313

제자원리(制字原理)313

초성(初聲)은 사시(四時)의 이(理) 초성(初聲)은 십칠자(十七字)315

中聲은 三才의 理 中聲은 十一字318

초(初)와 종(終)의 순환(循環)321

만성(萬聲)의 생생(生生)322

【附錄 二】

역학(易學)으로 본 귀신문제(鬼神問題)323

귀신(鬼神)의 유무(有無)323

사람의 생사(生死)와 귀신(鬼神)325

신(神)․인(人)․동(動)․식(植) 의 사등류(四등(等)類)331

귀신(鬼神)의 이(理)와 정치(政治)336

【附錄 三】

역학(易學)으로 본 수(數)와 상(象)과의 관계(關係)340

수(數)와 상(象)340

하도(河圖)와 낙서(洛書)343

구륙(九六)과 칠팔(七八)346

구륙칠팔(九六七八)은 생명(生命)의 호흡(呼吸)353

【附錄 四】

역학(易學)으로 본 시운(時運)의 변천(變遷)356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는 시운(時運)의 상징(象徵)356

생존작용(生存作用)의 생(生)․장(長)․성(成)362

삼도(三圖)와 시운(時運)의 상(象)370

지금은 인류역사(人類歷史)의 전환기(轉換期)378

대운중(大運中)의 소운(小運)과 지역(地域)의 기운(氣運)384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