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次>
第一章 총론(總論)14
第一節 상(象)과 법칙(法則)14
‣천지(天地)는 한 태일체(太一體)14
‣상(象)과 자연법칙(自然法則)과의 관계(關係)16
‣사회(社會)와 생존법칙(生存法則)18
‣천지(天地)와 일월(日月)은 만상(萬象)의 대종(大宗)21
‣역리(易理)와 정치(政治)25
第二節 조직(組織)과 운행(運行)29
‣천지(天地)와 일월(日月)의 작용(作用)29
‣조직(組織)의 음양성(陰陽性)33
‣운행(運行)의 사시성(四時性)35
‣조직(組織)∙운행(運行)의 계통(系統)40
第二章 대대원리(對待原理)43
第一節 통일(統一)과 대대(對待)43
‣일이이(一而二) 이이일(二而一)의 작용(作用)43
‣유물론(唯物論)과 유심론(唯心論)48
‣대대(對待)의 분포(分布)51
‣통관(通觀)과 동관(童觀)54
第二節 대대(對待)와 운동(運動)60
‣대대(對待)의 호근(互根)60
‣대대(對待)의 균등(均등(等))64
‣사회(社會)의 신진대사(新陳代謝)69
第三節 대대(對待)와 삼재(三才)75
‣대대조직(對待組織)과 삼재운행(三才運行)75
‣삼색(三索)과 삼극(三極)78
‣능동(能動)과 수동(受動)80
‣개체(個體)와 통체(統體)81
‣안정(安貞)과 발용(發用)83
‣삼대용(三對用)의 착종(錯綜)85
第三章 대시(大始)와 정(情)87
第一節 삼정(三情)(삼본능(三本能))87
‣본능(本能)은 생존작용(生存作用)의 발단(發端)87
‣본능(本能)과 선악문제(善惡問題)89
‣선악(善惡)과 미추(美醜)92
‣악(惡)의 발생(發生)하는 까닭95
第二節 感應98
‣감응(感應)은 괴위중(乖違中)의 상교(相交)98
‣일음일양(一陰一陽)의 상배(相配)101
‣이간(易簡)의 이(理)103
第三節 萃聚107
‣췌취(萃聚)는 분산중(分散中)의 통합(統合)107
‣점지진(漸之進)의 리(理)111
‣식물(食物)과 학문(學問)의 췌취(萃聚)113
‣권세(權勢)와 재화(財貨)의 췌취(萃聚)116
第四節 항구(恒久)121
‣항구(恒久)는 변화중(變化中)의 불변(不變)121
‣진화론(進化論)과의 관계(關係)124
‣항구(恒久)는 생존(生存)의 기초(基礎)129
第五節 삼정(三情)과 사정(四情)137
‣정대본능(正大本能)137
‣사람과 동식(動植)과의 비교(比較)139
‣삼정(三情)과 생활(生活)과의 관계(關係)143
‣정치(政治)의 삼정작용(三情作用)146
第四章 유형(流形)과 시용(時用)150
第一節 삼시용(三時用)과 사시의(四時義)150
‣상반(相反)의 속에 상제(相濟)가 있다150
‣규이(睽異)의 시용(時用)152
‣함험(陷險)의 시용(時用)153
‣건난(蹇難)의 시용(時用)155
‣시용(時用)과 시의(時義)157
第二節 차등(差등(等))과 균평(均平)162
‣호대호소(互大互小)의 원리(原理)163
‣현대(現代) 정치사상(政治思想)의 발원(發源)168
‣사회(社會)의 균평운동(均平運動)172
第三節 투쟁(鬪爭)과 조화(調和)178
‣조화(調和)를 얻기 위(爲)한 투쟁(鬪爭)178
‣투쟁(鬪爭)과 조화(調和)의 반복(反復)183
‣악(惡)의 극제(克制)가 곧 투쟁(鬪爭)이다186
‣지도자(指導者)의 시범(示範)191
第四節 안정(安定)과 유동(流動)196
‣안정(安定)은 방(方)하고 유동(流動)은 원(圓)하다196
‣방(方)과 원(圓)의 호근(互根)199
‣환주운동(圜周運動)과 직선운동(直線運動)203
‣자전(自轉)과 공전(公轉)208
第五章 변화(變化)와 역(易)214
第一節 삼역(三易)214
‣궁변통구(窮變通久)214
‣삼역(三易)의 혼륜(渾淪)218
第二節 변역(變易)221
‣소장운동(消長運動)221
‣보수(保守)와 혁신(革新)224
‣양극(兩極)과 중간(中間)229
第三節 교역(交易)235
‣정위적(定位的) 질서(秩序)와 교체적(交體的) 질서(秩序)235
‣권력(權力)과 도덕(道德)240
第四節 반역(反易)247
‣만물(萬物)은 모두 반생(反生)247
‣신(新)이란 무엇인가252
‣성반제(成反齊)의 이(理)256
第六章 대화(大和)와 중(中)260
第一節 중(中)과 절(節)260
‣대대(對待)․ 중심(中心)․ 통일(統一)260
‣태극(太極)이란 무엇인가263
‣한도(限度)와 절(節)268
‣삼현일장(三顯一藏)의 이(理)271
第二節 중(中)과 화(和)275
‣화(和)는 중운동(中運動)의 극치(極致)275
‣이간(易簡)의 우로(憂勞)278
‣전례(典禮)와 경건(敬虔)280
‣언사(言辭)와 풍악(風樂)282
‣예악(禮樂)의 근본정신(根本精神)285
第七章 운명(運命)과 자유의지(自由意志)288
‣운명(運命)은 선천(先天)이오 자유의지(自由意志)는 후천(後天)이다288
‣천명(天命)과 운명(運命)과의 관계(關係)292
‣관상학(觀相學)의 원리(原理)296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의 교호작용(交互作用)300
第八章 결론(結論)302
‣사람의 생존(生存)하는 목적(目的)302
‣본능(本能)은 생존목적(生存目的)을 달성(達成)하는 수단(手段)303
‣무한(無限)한 즐거움306
‣즐거움도 만인만색(萬人萬色)308
‣근심과 즐거움311
【附錄 一】
역학(易學)과 우리 국문(國文)과의 관계(關係)313
‣제자원리(制字原理)313
‣초성(初聲)은 사시(四時)의 이(理) 초성(初聲)은 십칠자(十七字)315
‣中聲은 三才의 理 中聲은 十一字318
‣초(初)와 종(終)의 순환(循環)321
‣만성(萬聲)의 생생(生生)322
【附錄 二】
역학(易學)으로 본 귀신문제(鬼神問題)323
‣귀신(鬼神)의 유무(有無)323
‣사람의 생사(生死)와 귀신(鬼神)325
‣신(神)․인(人)․동(動)․식(植) 의 사등류(四등(等)類)331
‣귀신(鬼神)의 이(理)와 정치(政治)336
【附錄 三】
역학(易學)으로 본 수(數)와 상(象)과의 관계(關係)340
‣수(數)와 상(象)340
‣하도(河圖)와 낙서(洛書)343
‣구륙(九六)과 칠팔(七八)346
‣구륙칠팔(九六七八)은 생명(生命)의 호흡(呼吸)353
【附錄 四】
역학(易學)으로 본 시운(時運)의 변천(變遷)356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는 시운(時運)의 상징(象徵)356
‣생존작용(生存作用)의 생(生)․장(長)․성(成)362
‣삼도(三圖)와 시운(時運)의 상(象)370
‣지금은 인류역사(人類歷史)의 전환기(轉換期)378
‣대운중(大運中)의 소운(小運)과 지역(地域)의 기운(氣運)384
'易學原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서(自序) (역학원론) (0) | 2013.09.18 |
---|---|
범례 (역학원론) (0) | 2013.09.18 |
상과 법칙 천지는 한태일체 (역학원론) (0) | 2013.09.18 |
상과 자연법칙과의 관계 (역학원론) (0) | 2013.09.18 |
사회와 생존법칙 (역학원론) (0) | 201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