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대의'에 해당되는 글 202건

  1. 2013.10.05 뇌천대장 (한장경 역경대의)
  2. 2013.10.05 화지진 (한장경 역경대의)
  3. 2013.10.05 지화명이 (한장경 역경대의)
  4. 2013.10.05 풍화가인 (한장경 역경대의)
  5. 2013.10.05 화택규 (한장경 역경대의)
  6. 2013.10.05 수산건 (한장경 역경대의)
  7. 2013.10.05 뇌수해 (한장경 역경대의)
  8. 2013.10.05 산택손 (한장경 역경대의)
  9. 2013.10.05 풍뢰익 (한장경 역경대의)
  10. 2013.10.04 택천쾌 (한장경 역겨대의)
  11. 2013.10.04 천풍구 (한장경 역경대의)
  12. 2013.10.04 택지췌 (한장경 역경대의)
  13. 2013.10.04 지풍승 (한장경 역경대의)
  14. 2013.10.04 택수곤 (한장경 역경대의)
  15. 2013.10.04 수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뇌천대장 (한장경 역경대의)

|

 

大壯 雷天

 

大壯은 震子가 天上에 있는데 震子는 萬物의 씨의 元이오 震子가 天上에 있는 것은 天이 萬物의 씨를 모두 保合하고 있는 象이며 또 大壯은 文王八卦圖의 致役乎坤에 當하고 또 坤彖의 坤厚載物德合無疆含弘光大品物流形에 當하므로 坤이 萬物을 厚載하는 象이 되니 그러므로 大壯에 天地正大의 情이 있는 것이다.(咸卦四情下) 陽은 大의 象이오 陽을 保合함은 正의 象이니 大壯은 坤位에 當하여 二陰이 四陽의 大를 保合하므로 正大의 象이 있는 것이다.

 

大壯은 四陽이 天位의 二陰下에 있고 大兌의 象이 되어 陽이 前進치 못하므로 陰陽消長의 象이 없고 다만 陽의 彊壯한 象이 되니 陽의 壯한 象을 取하여 卦名을 大壯이라 하고 陽이 止하여 進치 못하므로 雜卦에 「大壯은 止한다」고 한 것이다.

天地之情 (咸卦下) 天이 震子를 合하므로 正大의 情이 된 것이다.

 

大壯은 上四爻에 羊의 象을 取하니 이는 上下卦를 合하여 大兌로 되고 兌에 羊象이 있는 까닭이니 마치 大壯의 同宮인 遯卦에 大巽의 豚象을 取함과 같은 것이다. 大壯에 羊의 象을 取한 것은 羊은 善觸하되 前進하지는 아니하는 것이라 大壯의 四陽은 觸하기 만하고 前進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羊觸의 象을 取한 것이다. 九三의 陽은 乾陽의 先頭에 있어 羝羊이 外掩한 陰의 藩을 觸하되 上六과 應하는 까닭에 角이 陰에게 繫纍되어 藩을 決치 못하며 九四의 陽은 外掩한 陰이 夬卦의 象이 되고 있으므로 陽이 陰을 決하는 象이 되어 藩이 決하고 繫纍되지 아니한 것이며 六五는 비록 大兌의 羊體로 되어 있으나 陰이 成의 中心에서 萬物의 씨를 保合하는 位에 있으므로 下四陽의 觸藩하는 것과는 陽이 陰中에 入하여 그 位가 相易하여 (六爻之義易而貢)도리어 下四陽을 保合하는 象이 되는데 羊은 兌로서 卵子의 象이오 陽이 卵子를 決入하면 卵子가 喪하는 것이니 이가 羊을 易에서 喪한 것이라 함이며 이는 大壯의 四陽이 萬物의 씨로서 保合되어 있음을 象한 것이다.(大輿者 坤彖之坤厚載物之意也)

 

九三에 小人用壯 君子用罔의 兩象이 있는 것은 遯九四의 君子小人兩象과 같은 것이다. 大壯에는 下三爻의 乾陽과 上三爻의 震體가 있는데 九四의 陽도 陰中에 保合되어 地天泰卦의 象으로된 것이오 地天泰卦에 內君子外小人의 象이 있고 九三이 上六의 陰罔에 繫纍되어 있는 까닭에 上卦의 陰을 小人用壯이라 하고 下卦의 陽을 君子用罔이라 한 것이다. 이것을 달로써 보면 二陰이 四陽을 保合하여 大兌가 되고 文王八卦圖의 致役乎坤에 當하므로 달의 陰質이 자라고 있는 象이 되는 것이다.

 

序卦

遯은 陰體가 陽氣를 包하여 자라고 大壯은 陰體가 자라서 萬物의 씨를 載하므로 大壯이 遯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卦辭에 利貞 二字만 있는 것은 오직 大壯이오 利貞은 性情이라 陽이 陰中에 入하여 義가 和한 然後에 利貞하여 性情이 成하는 것이다 利貞은 亨으로부터 發展하고 亨은 嘉會하는 禮이니 그러므로 陰陽이 嘉會하여 禮에 合한 然後에 利貞하여 義가 和하여 性情이 成하여 天地正大의 情이 되는 것이니 이가 非禮弗履의 뜻이다.

 

禮는 天地의 生生하는 秩序이오 生生하는 秩序가 定한 然後에 性情이 正大한 것이며 人間社會도 生生秩序인 禮가 없으면 사람이 없는 것이므로 사람은 禮不可廢이오 이가 사람이 非禮弗履하는 所以이다.(宇宙의 自然法則의 秩序를 履行함이다)

大壯은 陽의 止하는 卦인데 陽氣는 初九에 뭉쳐 있는 것이다.

 

上六은 九三과 應하여 羝羊觸藩의 象이 되는데 上에 極하므로 能히 後退치 못하고 또 大壯은 止하므로 能히 遂行치 못하니 遂라 함은 自意를 從하여 行함이라 上六은 大壯則止의 象이 되므로 不詳이 되니 詳은 兌羊 兌言으로서 兌의 剛鹵의 氣의 發함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풍항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천산둔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화지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지화명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풍화가인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And

화지진 (한장경 역경대의)

|

 

火地

 

晉 明夷者 陰體之受陽之組織也 需訟相對 需訟爲太陽 故晉明夷爲月受日光

 

晉은 離火가 坤上에 있어 光明이 地上에 出한 象이오 離火의 光明은 달의 光明이니 이는 달이 太陽의 大明한 光을 受하여 光明을 發함이오 彖의 柔進而上行이라 함은 달의 陰精을 말함이다. 晉은 離坤의 合한 純陰卦로서 太陽의 光明을 受하는 象이 되므로 陰體組織의 長成한 象이 되는 것이다.

 

晉은 臸와 日로 되고 臸는 到함이니 太陽光明의 進하는 象이다. 晉은 古代中國의 國都이오 夷는 中國外의 東夷와 西夷이니 晉과 夷는 地理的으로 東西로 相對하고 있으므로 明이 地上에 出하는 때에는 光明이 晉國을 照明하고 明이 地中에 入하는 때에는 光明이 夷國을 照한다 하여 明의 出하는 卦에는 晉字를 쓰고 明의 入하는 卦에는 夷字를 쓴 것이니 晉과 夷는 또한 明晦의 表示가 되는 것이다.

 

文王八卦圖에 北은 陽方이오 南은 陰方인데 坎은 正北이오 離는 正南이니 그러므로 乾과 坎水의 合한 需訟은 陽精水를 發施하는 陽體의 象이 되고 坤과 離火의 合한 晉明夷는 需訟의 陽精水를 承受한 陰體의 離火宮의 象이 되는 것이며 이 까닭에 序卦에 需訟과 晉明夷는 三十數로써 北과 南에 正相對하고 있는 것이다. 需訟에서 發施되는 陽精水는 곧 乾陽의 震子를 含한 習坎水이므로 晉에는 康侯의 象이 있으니 康은 蠱라는 뜻이오 侯는 震子라는 뜻이라 震子를 蠱한다 함은 需訟에서 震子를 씨로 하여 晉에 發施한다 함이오 文王八卦圖에 晉明夷는 相見乎離와 致役乎坤에 當하고 또한 坤彖의 牝馬地類 行地無疆 柔順利貞 君子攸行에 當하니 晉에 牝馬의 象이 있으므로 需訟의 乾陽이 馬의 씨인 震子를 晉에 錫하여 蕃庶케 한 것이다. 蕃은 震子의 象이므로 震에 蕃鮮의 象이 있고 庶는 乾의 子孫의 衆多함이니 乾卦의 首出庶物은 이 뜻을 말함이다.

 

晝日三接은 訟上九의 終朝三褫와 相照하여 終朝와 晝日이 相照하고 三褫와 三接이 相照하니 이것은 晉明夷가 需訟의 陽精水를 承受함을 表示하기 爲하여 兩卦에 終朝三褫와 晝日三接의 象을 말한 것이다. 需訟과 晉明夷가 水火로써 相交하므로 太陽의 속에는 水가 있고 달의 속에는 火가 있고 萬物의 體는 모두 水火로써 本을 삼는 것이다.

 

晉明夷는 序卦에 三十六數로 되어 있는 蠱先甲三日後甲三日과 庚先庚三日後庚三日과의 中間에 있어 晉에 康侯와 日三接이 있고 明夷에 三日不食이 있으니 甲은 長의 時運中의 生의 時期이오 庚은 長의 時運中의 成의 時期인즉 그 中間에 있는 晉明夷는 長의 時運中의 長의 時期에 當하여 달이 太陽의 光을 受하여 陰體의 長成을 極하고 있는 것이다.

 

麗乎大明이라 함은 上卦가 離火로 되고 下卦가 地山澤의 形質로 되는 때에 麗大明이나 麗明의 象이 되는 것이다. 上卦 離는 모두 달의 陰精이 太陽의 光을 받는 象인데 下卦의 地山澤의 形質은 반드시 太陽의 引力에 麗하여 運行되는 것이며 下卦坤에는 坤이 乾과 相配하므로 乾의 大明의 象을 取하여 麗乎大明이라 한 것이오 山과 澤은 地에 屬하여 單獨으로 大明에 麗하는 일이 없고 오직 女體의 陰子가 離火宮에 麗하고 胎兒인 艮童이 離火宮에 麗하고 하는 일이 있는 것이니 그러므로 睽旅의 麗乎明은 陰子나 艮童이 離火宮에 麗함을 말한 것이다.

 

六五爻에 失得이라 함은 坤卦의 先迷失道 後順得常의 뜻이니 六五는 달의 陰精이 順하여 太陽의 光明에 麗하고 있으므로 長의 時運의 달이 비록 先迷失道의 象이 되고 있으나 晉의 달은 後順得常의 旨에 合하므로 失得을 恤치 말라고 한 것이다.

 

序卦

遯大壯은 陰體의 자라는 象이오 陰體가 자라면 반드시 陽氣를 받은 然後에 여무는 것이므로 坤이 大明의 光明을 받는 晉이 大壯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明德이라 함은 德은 사람의 心體이오 心體는 日月光明에서 受來한 것이므로 本質이 明하니 이가 明德이다. 心體는 形質에 蔽한 바가 되어 外가 暗하므로 能히 光明을 發치 못하는 것이니 그 蔽한 바를 除하는 것이 곧 自昭이다.

 

摧는 莝와 同하여 馬蒭의 뜻이니 晉에 錫馬蕃庶의 象이 있으므로 初六의 地下爻에 馬蒭의 象을 말한 것이다.

六二는 蕃庶하는 生의 中心이므로 王母의 三接하는 象이 있어 受玆介福이라 하니 玆는 草木의 益多함이오 介는 豫卦의 介于石의 介로서 艮月의 反生하는 象이오 福은 光明을 受한다는 뜻이다.

 

鼫는 石과 鼠로 되어 모두 艮의 象이오 陰穴中의 文彩있는 動物을 象함이다 晉은 北方需訟의 水를 承受하여 晝日三接하여 次世代의 달을 形成하는 象이 되는데 次世代의 달은 艮象의 달의 反生하는 것이므로 晉에 艮月의 象을 말한 것이다.

角이라 함은 頭上의 陽이 陰에 觸하여 硬化한 者이니 晉은 陰이 上進하여 盛하므로 上九의 陽이 硬化하여 角이 된 것이오 維는 車蓋維로서 陰이 盛하여 陽을 掩覄함을 象한 것이다.

 

 

 

 

 

 

 

 

 

 

 

And

지화명이 (한장경 역경대의)

|

 

 

明夷 地火

 

明夷는 離火가 坤中에 있어 光明이 地中에 入한 象이니 이것을 地上에서 보면 明의 傷한 象이 되고 地中에서 보면 明을 得한 象이 되는 것이며 이것은 달의 陰精이 光明을 包藏하여 陰體組織의 完全成熟하여 北極需訟의 陽精水를 承受하는 象이다. 明夷라 함은 晉의 相對方인 夷를 光明케 한다는 뜻이니 그러므로 彖辭에 西夷의 君 文王과 東夷의 君 箕子가 있는 것이며 文王과 箕子는 同時代의 聖人으로서 文王은 易學을 中興시키고 箕子는 洛書洪範을 周武王에게 傳하니 文王과 箕子는 明夷의 時代에 當하여 易學과 洛書洪範으로써 夷國을 光明케 한 것이오 이는 易學과 洛書洪範이 바로 日月의 明이 되는 까닭이다.

 

文王과 箕子는 殷과 周의 史實에서 나온 것이나 明夷卦에 또한 文王箕子의 象이 있으니 文은 文明의 뜻이오 王은 乾陽의 象으로서 乾陽의 光明한 것을 文王이라 한 것이오 箕는 二十八宿의 하나로서 萬物의 生하는 根基가되는 東方星宿이니 그러므로 一陽이 始生하는 冬至日에 太陽이 箕星座에 있는 것이오 子는 子仁이니 箕子는 萬物의 씨의 元이 되는 震子를 말함이니 文王은 卦名의 解釋이오 箕子는 六五爻의 解釋이다.

 

初二三의 三爻에 먼저 明夷를 말한 것은 離火가 地中에 入함을 象함이다.(四五爻 明夷在下句者 上卦陰體蔽明故也) 初爻는 처음에는 飛하고 내종에는 그 翼을 垂하니 飛하는 것은 上六의 初登于天의 뜻이오 垂翼하는 것은 上六의 後入于地의 뜻이다. 飛와 垂翼은 鳥의 象이니 震子가 習坎水中에 包含되어 陰體로 飛越하는 象의 곳에 鳥의 象을 말한 것인데 明夷는 乾의 飛龍인 震子가 需訟의 陽精水에 包含되어 習坎의 鳥數飛로 되어 明夷의 離火宮에 飛來한 것이므로 初九의 陽爻에 鳥가 飛하여 翼을 垂하고 上으로부터 下한다 함을 말한 것이다. 天地 自然數에 一은 生長하여 下로부터 上하는 것이므로 一로부터 生長하여 上하는 것을 一以貫之라 하니 剝卦六五의 貫魚는 一로부터 上하여 生長의 極한 것이오 十은 收斂하여 上으로부터 下하는 것이므로 十으로부터 收斂하여 下하는 것을 十以翼之라하니 明夷의 垂翼은 十으로부터 下하여 收斂作用의 始하는 것이다.

 

明夷는 乾의 大明으로부터 三十六卦 二百十六爻의 乾策數에 當하여 乾道가 終하고 坤道가 始하는 象이므로 上六에 初登于天後入于地의 象이 있고 明夷의 다음 卦인 家人 睽가 비로소 收斂卦가 되는 것이다. 三日이라 함은 震子가 生成하여 달의 形을 生함을 象함이오 三日不食이라 함은 달이 地中에 入하되 震子의 生長하고 있는 달의 形은 蝕치 아니한다 함인데 明夷는 蠱甲三日과 巽庚三日의 中間位序에 있으므로 三日不食의 象이 된 것이다.

 

六五에는 箕子가 夷國을 光明케 한다 하고 小象에는 明을 可히 息치 못한다 하니 이 明不可息은 달을 말한 것이므로 明夷卦에 스스로 箕子의 象이 있고 箕子는 萬物을 生하는 根基로 되는 東方震子를 말함이오 震子는 곧 乾大明으로부터 晉明夷의 離火宮에 飛入한 飛龍이며 六五는 달을 包有하고 있는 中心位이다.

 

晉明夷에서 乾策이 終하고 坤策이 始하는 象을 文王八卦圖로써 보면 序卦에 需訟의 乾坎이 北에 居하고 晉明夷의 坤離가 南에 居하는데 需訟은 天水의 生하는 곳이므로 文王八卦圖의 西北의 乾이 먼저 闢戶한 然後에 坎水가 生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乾이 먼저 西北에 居하여 闢戶하고 다음에 坎이 正北에서 生한 것이며 晉明夷는 火가 地에 包藏되어 成하는 곳이므로 文王八卦圖의 正南의 離火가 먼저 生한 然後에 坤이 闔戶하여 包藏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離가 먼저 正南에서 生하고 다음에 坤이 西南에서 闔戶하는 것이다. 乾策은 乾의 闢戶에서 始하고 坤의 闔戶에서 終하는 것이므로 序卦에는 需訟의 由來한 乾大明에서 乾策이 始하고 晉明夷의 明入地中에서 乾策이 終한 것이다.

 

序卦

晉은 大明의 光明을 받고 明夷는 大明의 光明을 받아서 陰體의 속에 包藏하여 陰體가 여무는 것이므로 明夷가 晉에 次하는 것이다. 咸 恒 遯 大壯 晉 明夷는 地道 三宮으로서 陰體의 長成하는 象이다.

 

大象

明夷는 內明外暗한 卦이니 이가 用晦而明의 뜻이다. 사람이 衆을 待함에 明을 盡用하면 太察하여 도리어 明이 傷하는 것이니 明夷는 明傷의 象이라 明을 傷치 아니하기 爲하여는 衆에 莅함에 內는 明하면서 外로는 晦를 用하는 것이다.

 

明夷에는 坤彖의 象이 있으니 坤彖에 柔順이 있고 坤 以外에 柔順의 辭가 있는 것은 오직 明夷의 外柔順이며 坤彖에 君子 有攸往이 있고 明夷 初九에 君子于行 有攸往이 있으며 坤彖에 後得主가 있고 明夷 初九에 主人有言이 있으니 有言은 또한 需訟의 有言이며 坤彖에 牝馬가 있고 明夷에 用拯馬壯이 있는 것이다.

 

馬壯은 震子의 象이오 用拯馬壯은 后天月의 씨인 震子가 水中에서 生한다 함이니 이는 陰體와 震子가 合體하여 陰體의 여무는 象이다.

 

明夷는 明이 地中에 入한 것이오 上六이 明入하는 主爻이므로 不明晦라 한 것이오 諸爻中에 오직 上六에 夷가 없는 것은 上六 自身이 곧 夷인 까닭이다.

 

六三의 南狩는 明夷가 蠱甲巽庚의 中間인 丁에 있음을 象함이니 丁은 南方이오 離의 終爻이므로 丁을 말한 것이다.

 

大首는 乾象이니 明夷의 丁의 속에 乾陽을 得하여 자라고 있는 것이오 이것이 여물어서 巽庚이 되는 것이다.

 

左腹은 坤象이니 六四 坤體가 離火宮을 包하므로 坤腹의 象을 取하고 또 明夷의 辭가 爻辭의 中間에 있는 것이다. 心이라 함은 陽氣가 陰中을 出入함이니 明夷의 心은 坤陰 中을 出入하는 陽氣이므로 六四에 獲明夷之心이 있는 것이다. 意(억)은 蠱 初六과 明夷 六四에만 있는데 意은 心音이오 音은 陽體가 陽氣를 發宣함이니 明夷 六四가 初九와 應하므로 初九의 有言이 곧 六四의 獲心意이다. 門은 日月出入하는 乾坤門이오 庭은 兌口의 象이니 于出門庭은 坤陰의 달이 乾坤中을 運行함이며 節 九二의 不出門庭과 相照하니 節의 不出門庭은 先天月의 消終함이다. 六四는 后天月을 受胎할 坤陰宮의 象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천대장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화지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풍화가인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화택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수산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And

풍화가인 (한장경 역경대의)

|

 

家人 風火

 

家人은 三女卦이오 收斂卦이니 陰體의 股와 離火宮의 收斂하는 것이므로 陰體組織의 長成하는 象이다 (家人은 陰精의 卦로서 陽體陰用하므로 陰精의 長成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萬物의 體는 乾元과 坤元의 二元組織으로 되어 陽氣와 陰精으로써 構成되는데 陽體는 四德卦인 臨觀의 天之道와 無妄大畜의 天之命으로써 組織되어 臨觀은 陰精이 되고 無妄大畜은 陽氣가 되어 陽體의 陽子에서 男女가 分化되는 것이오 陰體는 三女와 三男의 收斂卦로써 組織되니 家人睽는 三女의 收斂한 것이므로 陰精이 되고 蹇解는 三男의 收斂한 것이므로 陽氣가 되는 것이다.

 

 陰體와 陽體는 모두 陽氣와 陰精의 二元組織으로 되어 있으되 陽體는 陰體陽用하고 陰體는 陽體陰用하는데 收斂卦는 모두 陽體陰用이 되고 있으니 그러므로 陰體는 三女卦와 三男卦의 收斂卦인 家人睽와 蹇解로써 組織되는 것이오 이 陰體組織이 또한 달의 組織이며 易卦名에 人字를 쓴 것은 同人과 家人인데 同人은 天의 乾陽이 離火宮을 應하는 것이오 家人은 天氣가 離火宮에 下降하는 것이니 兩卦가 모두 上天下火로 되어 있으며 火는 반드시 炎上直立하여 天을 向하는 것이오 사람에게 火氣가 있으므로 사람이 또한 火와 같이 直立하여 天을 向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火가 天을 向하고 있는 同人과 家人에 모두 人의 象을 取한 것이며 同人은 生의 時運에 天의 光明이 離火宮을 應하므로 달에서 사람의 씨의 生하는 象이 되니 이는 天下人이 모두 同一한 人類라는 뜻이므로 同人이라 한 것이오 家人은 長의 時運에 天氣가 離火宮에 下降하여 三女收斂하는 달의 陰精中에서 사람을 生하는 象이 되니 이는 女體가 사람을 生하여 家庭人이 된다는 뜻이므로 家人이라 한 것이다.

 

家人은 上九 一爻를 除하고는 모두 陽이 陽位에 있고 陰이 陰位에 있어 各其 位를 正하고 收斂하여 內向하므로 家人의 象이 되는데 또한 序卦에 家人은 坤으로부터 三十六卦에 當하고 坤에 積善之家 積不善之家의 家象이 있고 또 君王 父子 臣妾의 象이 있으므로 家人에 家字를 쓰고 君王 父子 夫婦의 象을 말한 것이다.

 

家人의 三女收斂 組織은 달의 陰精의 象이므로 文王八卦圖의 相見乎離에 當하고 坤彖의 先迷失道 後順得常에 當하는데 彖辭에 女正位乎內는 달이 太陽의 後에 있음이오 男正位乎外는 太陽이 달의 先에 있음이니 이는 後順得常하는 後得主의 象이며 長의 時運의 달은 先迷가 되고 있는데 家人은 序卦의 收斂卦의 始로서 陰體가 成熟하여 成의 時運을 向하고 있으므로 그 卦象에 後得主의 象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오 男女 正位를 天地의 大義라고 하는 것은 「陰陽之義配日月」의 理와 利者義之和也의 理에 依하여 달이 收斂하여 得主하는 義이라 함이다.

 

家人卦는 下五爻가 모두 陰陽의 位가 正하고 오직 上九 一爻가 陽이 陰位에 있으니 이는 一陽이 天으로 되어 圜行하는 象이 되므로 尊嚴한 君의 뜻을 取하니 이것을 一家로써 보면 父母의 象이 되고 天地로써 보면 天地의 大父母인 天祖의 象이 되는 것이다 家人卦는 卦全體로써 보면 父母와 子女의 象이 되는 것이오 下五爻만으로써 보면 모두 一陰一陽이 交錯羅列하여 靜的으로는 兄弟姉妹의 象이 되고 動的으로는 夫婦交合의 象이 되니 그러므로 父母 子女 兄弟 夫婦를 말한 것이오 一陰一陽함을 道라 이르는 것이므로 家人卦의 一陰一陽의 交錯羅列된 것을 家道라 한 것이다. 또 父子의 傳承은 時間推移의 象이오 兄弟의 繁殖은 空間擴大의 象이오 夫婦의 交合은 空間의 互相連結의 象이니 여기에는 世界가 一家이오 全人類가 兄弟이라 하는 뜻이 있는 것이오 그 까닭에 家를 正하매 天下가 定한다고한 것이다.

 

家人은 小하기는 父母를 모시고 있는 一家이오 大하기는 天祖를 모시고 있는 全世界이라 그러므로 同人은 世界人類의 同原임을 말한 것이오 家人은 世界人類의 同一家族임을 말한 것이다.

 

九五는 天氣의 下降하는 中心으로서 男正位乎外의 位가 되고 乾陽의 氣가 달의 陰精에 假居하여 사람의 씨를 生하는 것이므로 王假有家라하니 王은 乾陽의 象이라 乾陽이 一家의 夫가 된다 함이다. 繫辭에는「安土敦乎仁故能愛」라하니 이는 土에 安居하여 열매가 여무는 것을 愛라고 하는 것인데 九五小象에 王假有家는 交相愛함이라 하니 天氣의 下降하는 風은 神의 象이라 神이 世界人類를 生하여 家庭을 이루고 安하고 여물고한 生活을 하게 하므로 이것을 愛이라 한 것이다.

 

六爻中에 오직 九三에만 家人의 辭가 있으니 이는 人을 象한 家人卦에 九三이 人位로 되어 있는 까닭이다. 九三의 陽은 六四의 巽股와 接하므로 犯股의 戒가 있는 것이니 嗃嗃는 嚴肅이오 嘻嘻는 樂聲이라 九三의 陽이 嚴肅自戒하면 그生을 失치 아니하는 것이오 六四 九三의 婦子가 喜樂相與하면 家庭의 禮節을 失하는 것이다. 大象은 人道를 말하는 것이므로 家人大象에는 九三爻의 人位의 象을 말하여 言有物而行有恒이라 하니 物은 等分이오 恒은 恒卦의 夫婦之道 不可以不久이라 九三이 嗃嗃하여 家節을 지켜서 夫婦의 道를 恒久케 하는 것이 곧 大象의 言有物行有恒이다.

 

初九는 六四의 巽股를 應하므로 閑有家의 象이 되어 志가 變치아니 하고 防閑하면 後悔가 없다고 한 것이다.

上九의 有孚威如는 달의 陰精의 成熟함이니 有孚는 陽氣의 뭉침이오 威如는 陽氣가 內向하여 陰精中에 入함이라 陽氣가 뭉치고 內向하여 陰精에 入하는 것이 곧 달의 陰精의 成熟함이다.

 

六二는 女正位乎內의 位로서 家庭主婦가 食生活을 主하는 象이오 饋는 物로써 사람에게 供한다는 뜻이니 家庭主婦가 사람을 饋하는 飮食을 짓고 家事를 다스리고 하는 것은 神道이므로 小象에 順以巽이라 하니 順以巽은 觀卦神道의 象이다. 九五의 王假有家가 神道의 象이므로 九五를 順하여 下로부터 上에 올리는 象의 六二에 또한 神道가 있는 것이다.

 

序卦

晉明夷는 陰體가 大明의 光明을 받아서 여무는 象이오 家人은 陰體가 여물면서 陰精組織의 收斂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家人이 明夷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風自火出이라 함은 火의 起하는 곳에 風이 生한다 함이니 風은 磁氣의 힘의 動함이라 磁氣가 太陽에서 出하는 것이 곧 風自火出이다. 家人卦에 있어서는 風은 巽이니 臭이오 火는 陰宮이라 陰體에 生殖의 情이 發하면 發情한 臭가 陰宮으로부터 發散되고 動物이 臭에 依하여 交接하는 것이니 臭自火宮出은 家人의 生殖作用을 行하는 象이다.

 

下卦 火는 直立한 人의 火氣의 上向함이오 上卦 風은 사람이 天氣를 鼻로써 呼吸함이니 이는 火는 上하고 天氣는 下하여 神人圜行하는 象이며 그러므로 五爻에 王假가 있는 것이다. 사람이 呼吸器가 病하여 天氣를 呼吸함이 不調한 者는 神과 相通치 못하는 象이다 不正腐敗者 不能通神 此肺病之象이다.

 

言出乎身加乎民 行發乎邇見乎遠하는 것이니 言行은 內에서 出하는 것이므로 風自火出하는 家人卦에 言行을 말한 것이다. 物은 等分이니 言有物은 家庭內의 尊卑를 別하는 秩序이오 恒은 夫婦道의 久함이니 行有恒은 家庭內의 夫婦道의 久함이다. 雜卦에 睽外也家人內也라하니 이는 坤卦六二의 敬以直內義以方外의 뜻이다. 家人睽는 三女收斂卦이므로 坤象이 있는 것이다.

敬以直內는 禮인데 家人은 家庭內에서 男女의 秩序가 正하여 禮를 차리는 것이 곧 直內이오 義의 方外는 義의 和함인데 睽는 男女의 志가 通하여 義가 和하는 것이 곧 方外이다.

 

六四의 富는 人間社會의 生活資料를 말함이니 長女 巽의 陰爻에 富의 象이 있는데 이것을 特히 家人六四에 말한 것은 家人은 三女의 陰卦로서 下經最初의 收斂卦가되어 形質을 生養하는 象이 있는 까닭이다.

 

閑은 馬廐에 매어 둔다 함이니 大畜 九三의 閑과 같고 志未變은 股를 犯치 아니함이니 中孚 初九의 志未變과 같은 것이다.

中四爻가 陽劃이 陽位에 있고 陰劃이 陰位에 있는 者는 모두 正의 象이 되니 家人의 正家 蹇의 正邦 漸의 正邦 旣濟의 剛柔正이 모두 그 뜻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지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지화명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화택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수산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뇌수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And

화택규 (한장경 역경대의)

|

 

火澤

 

睽는 三女收斂卦로서 離火宮에서 女體의 陰子의 生하는 象이므로 또한 달에서 달의 陰子인 兌澤이 生하는 象이다. 文王八卦圖의 四正生成卦의 理에 兌澤은 西에 있으므로 南의 火에서 生하고 北의 水에서 成하니 그러므로 火와 兌澤의 合한 家人睽는 兌澤의 生하는 象이 되어 序卦의 收斂卦의 始가되고 水와 兌澤의 合한 渙節은 兌澤의 成하는 象이 되어 序卦의 收斂卦의 終이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睽는 三女가 收斂하여 달의 陰火宮에서 兌澤의 生하는 象이 되고 離火宮에서 兌澤이 生하므로 說而麗乎明이라 한 것이다.

 

睽는 火가 動하여 上하고 澤이 動하여 下하여 서로 睽異하고 人事로써 보면 中女 少女의 二女만이 同居하고 長女의 없는 者는 그 志가 同行치 아니하는 것이므로 睽가 된 것이다. 睽字는 目과 癸로 되어 目은 離火의 象이오 癸는 水가 四方으로부터 地中에 流入하는 澤의 象이라 睽는 離火와 兌澤으로 된 까닭에 目과 癸로된 睽字로써 卦名을 삼고 水火가 相乖하여 反目한다는 뜻을 表한 것이다.

 

睽는 火와 澤이 上下에 相對하는데 上은 南의 象이오 下는 北의 象이므로 南極과 北極의 相對하는 象이 되고 있다. 水火로된 旣濟未濟는 南北極의 象이 되지 아니하고 火澤의 睽가 南北極의 象이 되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면 旣濟未濟는 水火가 運行하여 相逮相濟하는 것이므로 南北兩極에 固定된 것이 아니며 睽는 火上澤下하여 上下의 方向이 定하여 있는 水火인 까닭에 南北極의 象이 된 것이며 澤에 水의 象을 取한 까닭은 火와 澤이 同居하는 때는 澤도 또한 水의 象이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澤火革에도 水火의 象을 取하여 水火相息이라고 한 것이다.

 

睽는 南北極의 相睽한 象이 되는데 睽에는 目의 象이 있고 또 文王八卦圖의 相見乎離에 當하여 物의 相見하는 象이 되므로 南北極의 相見하는 象이 있어 北極에서는 南極의 水火流行과 南方噬嗑의 象을 見하고 南極에서는 北極의 北方解와 水火流行의 象을 見하는 것이다. 南北極은 비록 相睽하되 그것은 一物의 兩端에 不外하므로 마침내 睽異가 變하여 同類가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彖에는 天地睽而 其事同也 男女睽而 其志通也 萬物睽而 其事類也라하여 모든 事物이 睽異하되 그 事功은 同一하고 또 事物이 睽異한 까닭에 서로 用을 삼아 合一한다고 한 것이다. 睽卦에 南北極相對의 象이 있으므로 女體의 離火宮과 陰子와의 사이에도 반드시 上하고 下하고 하는 南極의 相睽作用이 있어 睽하면서 同하고 달에도 또한 南北極의 相睽作用이 있어 그 作用에 依하여 運動이 일어나서 睽하면서 同하는 것이다.

 

時用大矣哉 習坎卦下

睽는 收斂卦로서 六五가 上行하여 달의 陰精의 中心이 되어 九二의 陽과 應하므로 九二의 陽이 六五의 陰中에 入한 것이오 이것을 象하여 噬膚라하며 六五와 九二가 生成의 中心에서 相應하는 까닭에 睽異한 者가 同行하게 된 것이오 그러므로 小事가 善하니 小事라 함은 收斂하여 合同하는 일이다.

 

六三은 北極의 爻로서 그 望見하는 바는 南極의 輿曳其牛掣하는 旣濟卦의 象과 其人天且劓하는 噬嗑卦의 象이니 噬嗑이 보이는 것은 噬嗑은 南方午門의 開門한 卦인 까닭이오 上九는 南極의 爻로서 그 望見하는 바는 北極의 豕負塗하는 解卦의 象과 載鬼一車하는 未濟卦의 象이니 北方子門의 節卦가 보이지 아니하고 解卦가 보이는 것은 節卦는 子門의 閉門된 象이오 解卦는 天地의 凍結된 것이 解坼된 象인 까닭이다.

 

初九에는 喪馬自復의 象이 있으니 天地에는 달의 乘龍御天하는 理에 依하여 文王八卦圖의 四正生成卦인 屯賁睽渙에 時運의 變化하는 象이 있어 陰이 馬를 乘하고 天으로 圜行하는 理가 있으므로 (屯卦下 參照)睽初九에 馬行의 象이 있는 것이오 睽卦가 先에 睽하고 後에 同하므로 先에 馬를 喪하고 後에 馬가 自復한 것이다,

 

序卦

家人은 股와 離火宮의 陰體組織이 收斂하는 象이오 睽는 陰體의 離火宮이 여물어서 陰子가 生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睽가 家人에 次하는 것이다.

 

睽는 序卦의 乾으로부터 第三十八에 當하는데 易學의 四象策數에 또한 三十八數의 象이 있다. 四象策數에 老陽餘策은 十三이오 老陰餘策은 二十五이오 少陽餘策은 二十一이오 少陰餘策은 十七인데 老陽老陰의 餘策이 合하여 三十八이 되고 少陽少陰의 餘策이 또한 合하여 三十八이 되니 餘策이라 함은 閏餘의 數로서 曆法에 十九歲七閏이라는 閏法數 十九도 이 三十八의 平均數에서 나온 것이다. 閏餘의 策은 生生閏殖하는 象이 되는 것이므로 物이 새로 生殖하는 것을 象하여 閏이라 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生殖을 主하는 陰體의 生殖宮인 家人睽는 序數의 第三十八 卽 十九宮의 閏法數에 當하여 序卦의 閏宮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家人睽는 生生의 閏宮으로 되어 있으므로 家人卦는 父子 兄弟 夫婦가 生生分岐하고 睽는 天地 男女 萬物이 모두 睽하여 生生하고 있어 長의 時運의 象이 되고 있는 것이오 이 까닭에 閏法의 數인 三十八數에 當하는 것이다 家人睽가 變하면 交易하여 后天出生하는 胎宮의 革鼎으로 되어 成의 時運으로 넘어가는데 成의 時運에는 日月度數가 變하여 閏曆의 法이 變하여 閏이 없어지는 것이니 革卦의 治歷明時는 이 閏曆의 變한다는 뜻을 말한 것이다.

 

大象

同而異라 함은 同하되 異함이니 繫辭의「同歸而殊塗 一致而百慮」의 뜻이다. 彖에는 睽의 中에 同이 있는 理를 말하고 大象에는 同의 中에 異가 있는 理를 말하니 睽는 同一地球의 兩極이므로 睽한 中에 同이 있고 同한 中에 異가 있는 것이다.

晉明夷의 陰體는 乾으로부터 馬를 受하고 그 馬를 受하는 곳은 睽의 陰體의 兌澤이니 그러므로 睽下卦兌에 馬自復의 象이 있는 것이오 先睽后同하는 까닭에 先에 喪하고 後에 自復하는 것이다. 惡人은 上卦噬嗑象의 사람이니 噬嗑에 惡積의 象이 있는 것이다.

 

九二는 彖의 應乎剛이오 六五의 明에 麗하고 있으니 九二와 六五는 爻로써 보면 九二는 陽이오 六五는 陰이며 卦로써 보면 九二는 澤水形質인 陰이오 六五는 太陽光明인 陽이다. 巷은 골목 小路이다. 九二의 遇主는 相遇하여 相合함이오 相交生殖함은 아니다.

 

六三은 下卦澤水의 極에 있으므로 北極의 象이 되며 北極上에 立하여 四方을 보면 四方이 모두 南이므로 南方만이 보인다. 輿曳는 南方火上에 坎輿曳가 있는 旣濟卦의 象이오 其牛掣가 또한 旣濟의 東鄰殺牛와 相照하여 旣濟의 下卦 離火中에 后天牛運의 牛가 있는 것이다.

 

睽는 火動上 澤動下하여 先睽后同하는 卦이므로 또한 水火卦가 水就下 火炎上하여 水火相濟하는 旣濟卦를 보는 것이다.

天且劓는 天은 上覄의 뜻이오 劓는 滅鼻의 뜻으로서 모두 噬嗑의 象이니 噬嗑 上九의 何校가 天의 象이오 九二의 滅鼻가 劓의 象이다. 睽는 火澤의 先睽后同卦이므로 또한 午中의 火에서 先分后合하는 噬嗑卦를 보는 것이다.

 

無初有終은 六三의 陰이 上九의 陽을 遇함을 말함이다. 自然數는 一의 陽數에서 始하여 十의 陰數에서 終하므로 陽은 始가 있고 終이 없으며 陰은 終이 있고 始가 없는 것이니 六三의 無初有終은 陰體의 여무는 것은 陽으로써 始를 삼으므로 六三의 陰은 初가 없는 것이오 陰體의 陰子는 物의 終을 作成하므로 六三의 陰은 終이 있는 것이다. 巽九五의 先庚後庚의 無初有終도 睽六三과 同一한 理이다. 그런데 無初有終의 象은 어느 陰陽相交의 象에도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物의 여무는 때에만 있는 것이니 睽의 陰體는 陽을 受하여 收斂하여 여무는 것이며 巽의 庚은 또한 陽을 承受하여 여무는 것이니 이는 物의 여무는 것은 반드시 神作用을 受하여 여무는 理이다.

 

孤라 함은 坤六二의 敬義立而德不孤의 孤이니 九四 上九의 火性이 動하여 上하고 外에 異居하므로 敬義가 立치 못하여 孤한 것이다.

 

宗은 震의 象이오 震이 陰精中에 入한 것이 곧 宗噬膚이니 噬嗑卦의 噬膚가 곧 그것이오 噬嗑六二의 陰精속에 震子가 噬膚하여 入하면 卦가 變하여 火澤睽가되니 그러므로 睽六五가 九二의 陽을 應하는 것은 곧 九二의 속에 있는 噬膚하는 震宗을 應함이다.

睽는 文王八卦圖 互旣濟의 卦이니 互旣濟는 水火變化 旣成萬物之意也 睽互旣濟는 上爻陽下爻陽 故女體中之火氣之坤作成物之作用也

 

上九는 上卦離火의 極에 있으므로 南極의 象이 되며 南極上에 立하여 四方을 보면 四方이 모두 北이므로 北方만이 보인다. 豕負塗는 坎豕가 震塗를 負하고 있는 解卦의 象이니 睽는 火澤의 先睽后同한 卦이므로 또한 北方의 水卦가 雷雨가 作하여 先凍后解하는 解卦를 보는 것이다.

 

載鬼一車는 鬼方의 坎輿에 鬼獸인 小狐를 載한 未濟의 象이오 弧는 坎의 弓輪이라 下卦坎이 張弧하고 上卦離가 說弧하는 것이 또한 未濟의 象이니 睽는 火澤의 先睽后同한 卦이므로 또한 先張弧后說弧한 未濟를 보는 것이다.

匪寇婚媾는 上九와 六三의 相遇하는 象이니 解가 先凍后解하고 未濟가 先張弧后說弧하므로 先暗后明하여 匪寇婚媾의 象이 된 것이다.

 

家人 睽 蹇解의 變易現象

家人睽는 南極作用이오 蹇解는 北極作用이다. 地球는 南北이 모두 收斂作用을 行하므로 家人睽 蹇解가 된 것이나 南北極은 서로 反對方向으로 動하고 있어 함께 天의 陽氣를 承受하니 女體의 生殖器도 同一히 收斂하면서 한便으로는 形質이 內向하고 한便으로는 火氣가 外向하는 作用이 있다. 三八線에도 이러한 作用이 있으므로 이 四卦가 三八線 象이 된 것이다.

金火正易圖에 中間의 地의 位에 東西南北은 內向하고 (女體生殖器의 形質) 戊己日月은 外向하니(女體生殖器의 火氣)이것이 또한 家人睽蹇解의 理이다. (金火正易圖에 三八線의 象이 있다)

 

易學의 씨의 生長하는 象은 三男生長卦인 屯蒙의 象이오 基督敎의 胎宮保血의 象은 三女收斂卦인 家人睽의 象이며 序卦 乾으로부터 睽卦까지는 三十八卦로서 地上 三十八度線의 象이오 三十八度線의 睽蹇은 地球의 胎宮의 象이며 乾元震과 坤元兌는 이 地球의 胎宮인 三十八度線에서 相交하는 것이며 地球의 胎宮은 달이므로 三十八度線은 달의 受胎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睽蹇에서 天地相交하는 損益卦는 陽精을 承受하는 달이 十朋之龜로 되어 있는 것이다. 睽蹇의 三十八線에 달이 밝고 있으므로 蹇의 乙酉年에 韓國에서 日暮月明한 것이오 損益의 天地相交는 夬姤萃升으로써 行하는데 姤에 天地相遇의 象이 있으므로 姤의 庚寅年에 震兌相交의 作用이 行하는 것이오 震은 中國이오 兌는 美國이라 그러므로 庚寅年에 韓國의 三十八度線에서 中國과 美國의 大師가 相遇한 것이다.

 

震兌相遇한 韓國三八線은 달의 象이오 달은 예수의 象이므로 三十八度線은 예수의 主管하는 곳이니 三十八線의 大師相遇는 后天을 生하기 爲한 天之所使이오 그러므로 三八線의 統一은 또한 예수의 主管에 있는 것이다.

 

三八線에서 后天이 生하고 后天의 象徵은 艮兌가 成道하는 것이므로 正易에는 八艮三兌가되어 艮兌가 三八數로 되는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화명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풍화가인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수산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뇌수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산택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And

수산건 (한장경 역경대의)

|

 

水山

 

蹇은 三男收斂卦 (三女生長卦와 相對)이니 陽氣가 收斂하여 陰精과 함께 陰體의 組織이 되는 象이므로 陰體의 組織中에는 蹇解의 陽氣가 들어 있고 陰體는 蹇解의 陽氣를 得하여 長成하는 것이다. 三男卦의 收斂이라 함은 收斂은 陰의 象이므로 陰이 陽을 受하여 收斂한다는 뜻이므로 蹇解는 坤受乾의 象이 된다.

 

蹇은 文王八卦圖의 齊乎巽에 當하고 巽은 天氣가 下降하여 地를 接하는 象이니 이는 또한 달의 坤陰이 乾陽을 承受하는 象이다. 蹇은 水와 山으로 되어 水는 險하고 山은 止하므로 險을 見하고 能히 止하는 象이 되니 艮은 果實의 象이오 坎은 冬寒의 象이라 果實이 冬寒을 만나서 收斂하여 止한다는 뜻이다. 蹇字는 足과 寒으로되고 足은 果實中의 震子의 象이니 果實中의 震子가 冬寒을 만나서 그 行함이 蹇難한 것이므로 蹇字로써 卦名을 삼은 것이다.

 

知라 함은 三顯一藏의 理에 依하여 冬에 陽氣가 內部에 藏하여 乾以易知의 作用을 行하여 生命의 發하는 源이 되는 것이니 蹇의 陽氣收斂에는 一藏의 作用이 있으므로 이것을 知矣哉라고 한 것이다.

 

달에 知를 말하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면 知라 함은 사람이 神明의 光明에서 天性을 稟受하고 天性에 知와 能이 있으니 知는 사람의 天性이 그 稟受한 光明을 다시 物에 照射하는 作用이다. 地와 달도 太陽의 光明을 受하여 光明을 生하고 그 光明을 다시 物에 照射하면 그것을 知라고 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坤六三의 知와 蹇의 知는 모두 달의 光明의 象이다.

 

蹇解는 坤彖의 西南得朋 乃與類行 東北喪朋 乃終有慶에 當하므로 蹇解에 西南東北의 辭가 있는 것이다.

 

蹇은 달의 陰精이 陽氣를 受하여 그 體를 여물게 하는 象이므로 坤陰이 乾陽을 受하는 象이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九五의 陽은 坤中劃이 乾陽을 受하여 坎이 된 것이오 九三의 陽은 坤上劃이 乾陽을 受하여 艮이 된 것이다. 그런데 九五의 陽은 成의 中心에 있어 坎月의 象이 되므로 月生의 象이 되어 陰陽의 義가 和하고 九三의 陽은 中을 得치 못하여 將消하는 艮月의 象이 되므로 月消의 象이 되어 陰陽의 義가 和치 못하니 西南이 利하다 함은 西南은 月生의 方이므로 九五의 月生함을 象하여 西南이라 한 것이오 九五爻의 朋來가 곧 月生한 것이며 東北이 利치 못하다 함은 東北은 月消의 方이므로 九三의 月消함을 象하여 東北이라 한 것이오 九三爻의 往蹇來反이 곧 艮月이 消하고 震月이 反生하는 것이다.

 

時用大矣哉習坎卦下

蹇의 諸爻는 生成中心의 九五와 六二를 除하고는 모두 往來의 象이 있으니 往은 外向함이오 來는 內向함이라 蹇은 陽氣가 陰體中에 內入하는 卦이므로 모두 外에 往치 아니하고 內에 來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九五는 彖의 利西南往得中의 爻이다. 朋은 달이니 朋來라 함은 坤體가 乾陽을 受하여 달의 光明을 生함을 말함이오 乾陽이 陰精中에 蹇하고 있으므로 大蹇이라 한 것이다. 節은 子中卦로서 水가 收斂하고 天地가 節하여 달이 다시 生하는 卦인데 蹇이 또한 水가 收斂하고 果實이 冬寒의 水中에 있어 그 象이 節卦와 相似하므로 中節이라 한 것이니 그러므로 節의 後에 中孚의 合朔緩死가 있고 蹇의 後에 解의 天地解緩이 있는 것이다.

 

六二는 生의 中心에서 乾陽을 受하므로 王臣이라 한 것인데 王臣字를 쓴 것은 蹇은 本坤體로서 或從王事하는 臣道라 하는 뜻을 表하기 爲함이오 또 蹇은 中四爻가 모두 當位하여 正邦의 象이 있으므로 邦과 王臣을 關聯시켜서 말한 것이다. 六二는 生의 中心에 있어 往來할 곳이 없으므로 往來의 象이 없고 往하여도 蹇하고 來하여도 蹇하다 하여 蹇蹇이라 한 것이다. 躬은 身의 行動을 말함이오 下卦 艮身의 뜻이며 故는 弊故함이니 匪躬之故라 함은 六二가 蹇蹇하고 있는 것은 艮果의 弊故함이 아니라 時가 冬寒中에 있는 까닭이라 함이다.

 

上六은 蹇의 極에 處하므로 剝上九의 碩果의 象이 되어 來碩이라 한 것이니 이는 艮果의 成終成始하는 位이며 剝이 窮하면 復으로 反하는 것이므로 蹇上六이 碩하고 內에 反生하여 解卦의 來復이 된 것이니 이는 小象의 志在內의 뜻이다.

 

 

序卦

家人睽는 달의 陰精의 收斂하여 자라는 象이오 陰精은 收斂하는 陽氣를 얻은 然後에 여무는 것이므로 陽氣의 收斂卦인 蹇이 睽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彖의 見險能止 知矣哉가 곧 反身修德이다.

蹇에는 彖과 上六爻에 利見大人의 象이 있으니 爻에 利見大人이 있는 것은 오직 乾九二 九五와 蹇上六뿐이다. 蹇彖의 利見大人은 九五爻의 象이오 九五의 利見大人은 九五는 本坤體로서 坤六五 坤元이 乾陽을 受하는 象을 蹇九五에 말한 것이오 上六의 利見大人은 坤上六의 龍의 象을 蹇上六에 말한 것이니 小象의 從貴라 함은 貴는 乾씨의 象이라 乾陽의 長子인 震龍을 從함을 利見大人以從貴라 한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화가인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화택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뇌수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산택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풍뢰익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And

뇌수해 (한장경 역경대의)

|

 

 

雷水

 

解는 三男收斂卦이니 陽氣가 陰體의 陰精中에 入하여 陰精의 凍蹇함을 解緩하고 陰體가 長成하는 象이다. 雷가 險을 出하여 屯으로 더불어 交易하므로 動하여 險을 免한 象이 되니 이가 解의 象이다.

 

解字는 刀와 牛角으로 되어 刀로써 牛角을 解剖한다는 뜻이니 角이라 함은 陽氣가 陰에 觸하여 硬化한 者인데 解卦는 陽氣가 陰體中에 入하여 陰氣를 散하고 硬化한 角을 消하는 象이 되므로 解字로써 卦名을 삼은 것이다.

 

解는 蹇과 함께 本坤體로서 乾陽을 受하는 象이니 九四의 陽은 上卦坤의 初爻에 陽이 往하여 震이 된 것이므로 震子가 坤衆을 得하고 달의 光明의 生한 象이 되며 그러므로 九四에 朋이 至한다 한 것이오 蹇卦에서 달의 光明의 生한 것을 利西南이라 하므로 解卦 九四에서 달의 光明의 生한 것도 또한 利西南이라 한 것이다.

 

彖의 天地解而雷雨作은 蹇卦의 冬寒이 解卦에서 解함이오 雷雨作 而百果草木 皆甲坼은 蹇卦의 艮果가 解卦에서 生育함이니 이는 모두 陰精이 陽氣를 受하여 陰陽이 義和하여 달의 陰體가 長成하고 있음을 象함이다.

 

時大矣哉 頤卦下

六五는 解의 成의 中心이므로 雷雨作의 象이 되어 陽氣의 繫維된 것이 解緩되고 陽氣가 陰精中에 뭉쳐서 陰氣가 退한 것이오 生의 中心인 九二는 乾陽의 來復한 位이므로 百果草木이 모두 甲坼하는 것이다.

 

上六은 달의 陰精이 乾陽을 射獲하여 光明을 生하여 陰陽의 相悖함을 解하는 象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人事로써 말하여「隼은 禽이오 弓矢는 器이오 射하는 者는 人이니 君子가 器를 身에 藏하고 時를 待하여 動하면 무엇이 不利함이 있으리오 動하여 括치 아니하는지라 그러므로 出하여 獲함이 있으니 器를 成하여 動함을 말함이라」하니 禽은 震子이오 器는 形而下한 器로서 陰體의 陰精이오 高墉은 同人卦의 高陵其墉이오 射하는 人은 달의 陰精이 乾陽을 承受하는 象의 同人卦이니 이는 解卦의 坤體의 陰精이 乾陽의 陽氣를 承受하기를 同人卦의 陰精과 같이하여 動하므로 乾陽의 震子를 獲하여 陰陽의 義가 和한다 함이오 成器而動이라 함은 달의 陰精이 陽氣를 受한 然後에 動하여야 陰體가 長成하여 括囊이 되지 아니하고 天地가 相交하여 震子를 獲하여 次世代를 胎育한다 함이다.

 

序卦

蹇은 陽氣가 收斂하여 冬寒의 陰精中에 止하여 行치 못하는 象이오 解는 陽氣가 陰精을 解緩하여 陰體가 長成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解가 蹇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雷雨作은 凍을 解하는 象이니 雷는 刑獄의 威이오 雨는 恩澤이라 人間社會의 刑獄은 사람의 自由를 拘束하여 凍의 象이 되고 刑獄을 免하는 것은 恩澤을 施하여 凍을 解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雷雨가 作하여 百果草木이 甲坼하는 것은 刑獄의 威의 中에 恩澤이 있는 것이므로 赦過宥罪의 象이 되는 것이다.

 

九二의 三狐는 彖의 其來復으로서 百果草木의 열매를 말하는 것이다. 狐는 解九二와 未濟彖에 있는데 解와 未濟는 下五爻가 一陰一陽의 交互한 卦로서 모두 不當位하여 安定치 못하니 이는 狐性이 一進一顧하여 狐疑不定한 象이며 解는 百果草木의 卦이오 未濟는 果實滋味의 卦인데 狐는 犬과 瓜로 되고 艮에 狗와 果蓏의 象이 있으며 狐는 또 艮의 黔喙의 屬이므로 狐는 艮果의 象으로서 解의 百果 未濟의 果實滋味를 象한 것이오 三狐는 艮果의 씨의 象이다.

 

田은 田土이니 田獲三狐는 彖의 其來復의 뜻으로서 坤地에 陽體의 씨가 來함을 말함이다.

解는 文王八卦圖 互旣濟이니 上爻陰 下爻陰 故女體中之水氣凝成 作物體之象也 睽解二卦以女體言也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택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수산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산택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풍뢰익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택천쾌 (한장경 역겨대의)  (0) 2013.10.04
And

산택손 (한장경 역경대의)

|

 

 

山澤

 

 

損은 益과 同宮하여 天地日月의 變形한 雷風山澤의 二少相交하는 山澤卦로 되고 또한 乾이 坤을 包하고 圜行하는 象이 되는데 山과 澤은 모두 上行性이 있어 山도 地의 聳上한 것이오 澤도 山上으로 上升하는 것이므로 天地가 圜行하면서 山澤이 모두 上行하여 損下益上의 象이 되는 것이다.

 

 

山澤損과 澤山咸의 同異한 바는 損咸이 모두 山澤으로서 上行性이 있으되 咸은 外坤內乾한 天地組織의 象이므로 上行치 아니하는 것이오 損은 內坤外乾하여 天地의 運行하는 象이 되므로 上行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또 物의 運行에는 能動하는 陽이 主하고 陰은 受動하는 것인데 咸은 三陽이 坤陰中에 聚居하여 上下하는 運動이 없으므로 上行치 아니하고 損은 上下의 陽이 坤을 包하고 圜行하는 象이 되므로 山澤의 氣가 上行하여 彖에 그道가 上行한다고 한 것이다.

 

損益은 그卦自體에만 天地圜行의 象이 있는 것이 아니라 損益兩卦의 사이에도 天地圜行의 象이 있으니 損의 山澤의 形은 地道이오 損의 道의 上行은 곧 地道의 上行이며 益의 雷風의 氣는 天道이오 益의 道의 下行은 곧 天道의 下行이니 그러므로 損의 地道는 上行하여 陰體의 象이 되고 益의 天道는 下行하여 陽體의 象이 되어 天地가 相交하는 것이다.

 

 

損은 乾坤의 圜行卦로서 艮兌로 되어 있으니 이는 乾의 九三의 陽이 坤의 上六에 往하여 艮이 되고 坤上六의 陰이 乾九三에 來하여 兌가 되고 한 象이다.

 

그런데 陰陽이 上下로 往來하는 現象은 乾陽의 能動하는 運行을 因하여 生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損卦의 陰陽往來도 九三의 陽을 損하여 上六의 陰을 益하는 損下益上이 되는 것이다. 卦名을 損이라 하여 損下의 뜻을 取한 것은 物의 生生은 下卦의 地의 位에서 行하는 것이므로 下卦의 物을 爲主하여 下를 損하여 上을 益하는 까닭에 損의 象을 取한 것이다.

 

損字는 手와 口와 貝로 되니 手는 艮象이오 口는 兌象이오 貝는 貨貝로서 交易의 象이라 損은 艮兌가 서로 交易하는 卦이므로 艮手兌口의 相交하는 損字를 쓴 것이다.

 

損은 乾坤卦로서 六三의 陰에서 陰陽이 往來하니 이는 坤卦六三과 같이 用六宮의 象이 되므로 損益은 坤彖의 用六宮의 安貞之吉應地無疆에 當하고 또한 文王八卦圖의 坤離에 當하여 陰體의 生殖作用의 象이 있는 것이다.

 

時運의 變化하는 때에는 陰陽의 上下하는 象이 나타나는 것이니 損益의 損下益上과 損上益下도 또한 陰陽上下의 한 形態이다. 長의 時運에 家人睽蹇解에서 陰體가 이미 長成하였으므로 損益에서 陰陽이 相交하여 第二世를 孕胎하는 作用이 行하는 것이니 이는 時運變化의 前兆이오 陰陽의 上下損益은 陰體와 陽體의 相交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損과咸이 모두 山澤의 有形한 形質로서 人身의 象이 되는데 咸은 人身의 後面의 象으로서 有形한 사람이 無形한 神에게로 돌아가는 象이 되고 損은 人身의 前面의 象으로서 無形한 神으로부터 有形한 사람이 出來하는 象이 되며 人身의 前面이 보이는 損은 股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男女가 構精하여 사람을 生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損益乃文王八卦圖之震兌 故帝出震 而有二簋享帝之象

 

享이라 함은 獻하고 受하고 하는 뜻이오 神에게 獻하여 올리는 것이 곧 享이다. 神은 사람의 始祖이니 사람이 上으로 始祖神을 繼하는 것은 또한 自身을 마디로 하여 下로 子孫에게 傳하는 일이며 이는 始祖神으로부터 生命을 受하고 그 生命을 繼承하여 子孫에게 傳하는 까닭에 始祖神과 子孫과의 사이에는 繼繼不絶하는 生命의 줄이 있는 것이다.

物의 運行의 理로써 보면 始祖神을 中心으로하여 下로 子孫에게 傳하는 것은 遠心運動이오 子孫이 上으로 始祖神을 모시는 것은 向心運動이라 向心運動은 반드시 始祖神에게 獻하여 올림이 있는 것이오 子孫이 始祖神에게 獻하여 올림이 있으면 始祖神으로부터 또한 子孫에게 賜하여 내림이 있는 것이니 이가 곧 獻하고 受하고 하는 享이다. 享에 獻受의 두 가지 象이 있는 것은 무슨까닭인가 하면 損이라 함은 下가 自身을 損하여 上을 益함이라 下에서 上을 益하면 天地圜行의 理에 依하여 반드시 上으로부터 下에 내리는 것이므로 下가 그 益을 다시 受하게 되는 것이니 이가 享에 獻受의 兩象이 있는 所以이다.

 

그러므로 易經에는 上으로 始祖神을 繼하고 下로 子孫에게 傳하고 하는 象이 있는 卦爻에 모두 享의 象을 말한 것이다. 사람이 始祖神을 享하는 것은 向心運動이니 向心運動은 收斂하는 象이오 遠心運動은 生長하는 象이라 序卦로써 보면 乾으로부터 明夷까지의 三十六卦는 乾策의 數로서 生長하는 遠心運動이 되고 家人睽가 비로소 收斂卦로 되어 向心運動으로 轉換하는데 遠心運動을 하는 卦爻의 中에는 享이라는 것이 全然없고 家人睽蹇解의 收斂卦를 지나서 비로소 享이 있으니 損彖의 二簋可用享 益六二의 王用享于帝 萃彖의 致孝享 鼎彖의 以享上帝 渙大象의 享于帝가 모두 始祖神을 享하는 向心運動의 形態를 말한 것이다.

 

 

簋는 外圓內方한 祭器이니 外乾內坤이 곧 外圓內方의 象이오 二簋는 咸의 二氣와 相照하여 艮兌를 말함이다. 曷은 止함이니 曷之用二簋는 夫婦의 二人相配의 뜻이다. 感應은 氣로써 하는 까닭에 咸에는 二氣라하고 相交는 形質로써 하는 까닭에 損에는 二簋라 한 것이오 祭器인 簋字를 쓴 것은 祭와 享의 뜻이 相照하는 까닭이다.

 

彖에 有時를 두 번 말한 것은 艮兌相交의 段階를 말함이니 二簋應有時는 艮兌는 달의 象이오 달에는 盈虛가 있으므로 二簋를 用하여 交合하는 生殖作用에는 時가 있다 함이오 이미 交合하면 陽體의 剛을 損하여 陰體의 柔를 益하는 것도 또한 時가 있다 함이다. 그러므로 損하고 益하고 하여 盈하고 虛하고 함은 時로 더불어 함께 行하는 것이니 損에는 時運變化의 前兆가 있으므로 損益盈虛의 時를 말한 것이다.

 

六三은 男女構精의 象이오 自身을 損하여 上을 益하는 主爻이다. 三人이 行하면 一人을 損한다 함은 乾三劃에서 陽一人을 損하여 上을 益함을 말함이오 需上六의 三人도 또한 下卦의 乾三劃을 말한 것이며 一人이 行하면 그 友를 得한다. 함은 六三의 一陰은 곧 一人의 行함인데 上九를 得하여 應을 삼는 것이 곧 그 友를 得함이니 陽을 友라하고 陰을 朋이라 한다. 三인 때는 一을 損하여 二를 만들고 一인 때는 一을 得하여 또한 二를 만들고 하는 것은 二는 陰陽相配의 致一하는 數이오 이가 一夫一婦의 原理이다. 卦辭의 曷之用二簋可用享은 六三爻의 原理를 말함이니 止하여 二簋를 用한다 함은 二人相配하는 一夫一婦라는 뜻이오 一人을 損하여 上六에 올리고 上九로부터 友를 得하고 하는 것은 獻하고 受하고 하는 享의 뜻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生生의 象으로써 말하여「天地絪縕 萬物化醇 男女構精 萬物化生」이라 하니 絪縕은 陰陽相交의 象으로서 一索 再索 三索하는 索의 뜻이오 醇은 穀을 釀하여 酒를 만드는 것이니 化學作用으로써 異質의 物을 生함을 象함이다. 坤文言과 繫辭 各爻文言中 噬嗑上九와 損六三에 子曰이 없으니 子曰은 師傅의 말이라는 뜻이라 子曰이 없는 것은 모두 女陰에 關한 일이오 女陰은 十數의 象이니 長의 時運에는 數가 九에 止하고 十이 열리지 아니하므로 師傅가 十數의 象을 말하지 아니한 것이다.

 

損은 損下益上하는 象이므로 上卦의 成의 中心인 六五에도 或益하는 象이 있으니 或이라 함은 彖의 有時의 뜻이다. 六五는 天地相交하는 陰精의 中心으로서 달의 長成한 象이 되니 十은 數의 成함이오 朋은 달의 陰精에 光明의 照하는 象이오 龜는 離火宮의 象인데 損의 大離의 象과 文王八卦圖의 坤離의 象을 아울러 取한 것이다. 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라 함은 乾陽이 或來施하여 益하는데 달의 長成한 陰精宮이 그것을 違치 아니하고 承受하여 天地가 相交한다 함이다.

 

損六五에 十數를 말한 것은 長의 時運에는 九數까지를 쓰는 것인데 損益은 后天의 第二世를 孕胎하는 象의 卦이므로 그 母體인 달에 十數를 말하여 后天의 前兆를 表하니 이가 損益에 時運變化의 象이 있는 所以이다.

 

 

上九는 六三과 함께 損下益上의 爻이오 得臣無家는 六三의 損人得友와 相照하니 六三이 乾上劃의 陽을 損한 것은 損人이 되고 上九가 坤上劃의 陰을 損한 것은 無家가되며 六三이 上九를 應하는 것은 得友가되고 上九가 六三을 應하는 것은 得臣이 되니 人과 友는 乾의 象이오 臣과 家는 坤의 象이다. 陰과 陽이 六三 上九와 같이 서로 損하고 서로 得하는 것이 損道의 原理이다.

 

序卦

上經에 小畜離에서 달이 生한 然後에 泰否의 天地가 相交하고 下經에 家人睽 蹇解에서 달이 長成한 然後에 損益의 天地가 相交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損이 解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損은 艮兌의 男女交合하는 卦이므로 忿이라 함은 男女間의 愛惡하는 感情이오 欲이라 함은 男女間의 情欲의 發露이니 忿과 欲은 모두 火氣의 動함이다. 損은 그 道가 上行하여 火의 炎上하는 象이므로 男女間의 炎上하는 火를 象하여 忿欲이라 한 것이다. 懲은 心을 收斂함이오 窒은 上行하는 氣를 反下케 함이다. 사람은 同人과 家人의 火로써 構成된 까닭에 火氣의 動하는 忿과 欲이 있는 것이니 愛惡하는 感情을 收斂하고 情欲의 發함을 反下케 하는 것이 곧 損의 象이다.

 

九二는 澤의 中爻로서 山을 上潤하는 主爻가되는데 澤을 損하면 涸하는 것이므로 出하면 陽이 陷하는 것이며 生의 中心에 있으므로 損하되 損치 아니하고 益하여 그 道가 上行하는 것이니 이는 井의 無喪無得 居其所而遷의 뜻이다.

 

益之는 自身을 益함이니 九二는 上을 益하는 中心이므로 自身을 益하는 것이 또한 上을 益하는 所以이다.

 

遄은 耑과 辶으로 되어 耑은 物의 初生하는 首이오 辶은 行함이니 遄이라 함은 物의 初生하는 首가되어 行한다 함이다.

 

損六爻中에 오직 六五에 損字가 없으니 이는 六五에 損益盈虛를 時로 더불어 偕行하는 作用이 있는 까닭이다.

龜는 頤初九의 靈龜와 相照하니 龜는 離火宮의 象이라 陽氣를 承受하는 陰宮을 象함이오 上經의 頤의 極長한 陽氣가 大過의 陰宮에 涉施되는 것이 곧 下經損益의 陰宮이 陽氣를 承受하는 일이니 그러므로 頤와 損益에 龜字를 써서 그 뜻을 表한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뇌수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풍뢰익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택천쾌 (한장경 역겨대의)  (0) 2013.10.04
천풍구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And

풍뢰익 (한장경 역경대의)

|

 

 

風雷

 

益은 損과 同宮하여 天地日月의 變形한 雷風山澤의 二長相交하는 風雷卦로 되고 또한 乾이 坤을 包하고 圜行하는 象이 되는데 風과 雷는 모두 下行性이 있어 風은 天氣가 下降하여 地를 接하는 것이오 雷는 太陽의 光이 下에 下하여 電氣로 되는 것이므로 天地가 圜行하면서 風雷가 모두 下行하여 損上益下의 象이 되는 것이다. 益은 天地가 圜行하여 乾陽의 陽을 달에 施하여 后天달을 孕胎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六二에 十朋之龜의 象이 있는 것이다.

 

風雷益과 雷風恒의 同異한 것은 益恒이 모두 風雷로서 下行性이 있으되 恒은 外坤內乾한 天地組織의 象이므로 下行치 아니하는 것이오 益은 內坤外乾하여 天地의 運行하는 象이므로 下行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또 物의 運行에는 能動하는 陽이 主하고 陰은 受動하는 것인데 恒은 三陽이 坤陰中에 原居하여 上下하는 運動이 없으므로 下行치 아니하고 益은 上下의 陽이 坤을 包하고 圜行하는 象이 되므로 雷風의 氣가 下行하여 彖에「上으로부터 下에 下하여 그 道가 大光하다」고 한 것이다. 益은 그 卦自體에만 天地圜行의 象이 있는 것이 아니라 損益의 사이에도 天地가 圜行하여 相交하는 象이 있는 것이다.(損卦下 參照)

 

益은 乾坤의 圜行卦로서 風雷로 되어 있으니 이는 乾九四의 陽이 坤의 初六에 來하여 震이 되고 坤初六의 陰이 乾九四에 往하여 巽이 되고 한 象이다. 그런데 陰陽이 上下로 往來하는 現象은 乾陽의 能動하는 運行을 因하여 生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益卦의 陰陽往來도 九四의 陽을 損하여 初六의 陰을 益하는 損上益下가 되는 것이다. 卦名을 益이라 하여 益下의 뜻을 取한 까닭은 物의 生生은 下卦의 地의 位에서 行하는 것이므로 下卦의 物을 爲主하여 上을 損하여 下를 益한 까닭에 益의 象을 取한 것이다.

 

益字는 橫水와 皿으로되고 皿은 器이니 益의 天施地生에는 天의 陽精水가 器에 橫溢하는 象이 되므로 水 皿의 益字로써 卦名을 삼은 것이다.

 

益은 乾九四의 陽이 坤初六의 陰에 來하여 相交하는 것인데 乾陽은 乾元震子로 되므로 坤陰은 坤元兌澤이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坤陰에 坤元兌澤을 象하여 民이 說한다 하고 益은 文王八卦圖의 離坤用六宮에 當하여 乾坤이 相交하고 또 坤彖의 安貞之吉應地無疆에 當하므로 民說無疆이라 한 것이다.

 

木道라 함은 河圖와 洛書의 東方三八木의 道이니 八卦中에 震은 陽으로서 三木이 되고 巽은 陰으로서 八木이 되는데 震巽의 益卦는 文王八卦圖에 東에서 出하고 東南에서 齊하여 木의 生長하는 象이 있고 六二와 九五의 生成中心에서 三木과 八木이 天施地生하여 一陰一陽하고 있으므로 木道라 한 것이다. 木道는 神道이니 震巽의 雷風이 모두 氣로서 神의 象이 되고 있으므로 震木의 着地한 豫卦와 巽木의 着地한 觀卦에 神道의 象이 있는 것이오 益 六二의 享于帝도 또한 神道의 뜻이다.

天地自然數에 三木은 生數의 中이오 八木은 成數의 中인데 易學에 爻는 三劃으로되고 卦는 八卦로 되니 伏羲氏가 비로소 八卦를 作하여 써 神明의 德을 通한 것은 이 三八木의 生成에 神道가 있음을 象한 것이다. 神과 萬物과의 關係를 보건대 八卦中에서 天氣가 下降하여 地에 接하는 巽風과 太陽光明이 地로 下向하는 震雷가 天에서 地로 下來하는 象이 있고 震巽은 모두 木의 象이니 이는 神이 처음으로 地에 下하여 草木으로 現形한 象이다. 그러므로 사람이나 動物은 自由意志가 있어 自然法則에 어그러지는 일도 있으되 오직 草木은 自然法則에 順應하여 조금도 어그러짐이 없으니 이는 草木의 生理가 바로 神의 表現인 까닭이며 그러므로 風雷로된 益卦의 木道는 곧 神道이다.

 

益에는 天氣가 下降하여 震子를 地에 施하는 象이 있으니 이가 彖의「 動而巽日進無疆 天施地生 其益無方」의 뜻이다. 이것을 卦象으로써 보면 益은 東方震으로부터 震子가 動하여 東南方의 巽股에 入하고 그 卦體는 大離로 되고 坤을 內包하니 離는 日進이오 坤은 無疆이며 天施는 九五에서 震子를 下施함이오 地生은 六二에서 民說하는 兌澤이 震子를 承受하여 第二世를 孕胎함이니 (益自震而離而坤而兌 故爲帝出乎震之象 而六二言帝以此也)이는 震에서 巽하고 離하고 坤하고 兌하여 震子가 文王八卦圖의 陰方을 順行하는 象이며 無方은 神無方의 뜻이니 其益無方이라 함은 그 益함이 神道와 같이 方이 없어 益치 아니하는 곳이 없다 함이다.

 

 與時偕行이라 함은 損彖의 與時偕行과 同一하니 陰陽의 生殖作用에는 時가 있다 함이오 時는 木道乃行하는 時이다.

 

九五는 天施의 位로서 陽氣가 뭉쳐 있으니 이가 陰體에 乾陽의 氣를 下施하는 惠心이오 惠心을 萬物에 普施하여 問辨取捨함이 없는 것이 곧 勿問이다. 六二는 달의 陰精으로서 地生의 位가되고 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는 損六五와 同一하니 九五의 惠心勿問이 곧 六二의 或益之이다. 九五에는 陽氣가 뭉쳐서 我의 生生의 德을 陰體에 施하는 것이오 六二는 子를 生하는 位이므로 上으로 帝를 享하여 獻하고 受하고 하는 것이니 九五의 惠我德이 곧 六二의 享于帝이다.

 

初九와 六四는 陰陽의 損上益下하는 位이오 利用은 一陰一陽하는 神道이니 初九는 一陰一陽하여 乾이 大始하고 (初九는 益下의 位也故爲大作也) 坤이 作成한다 하여 大作이라 하고 六四는 一陰一陽하여 初六의 坤土가 九四에 올라갔다 하여 國을 遷한다 한 것이며 六四에 巽股의 戒가 있는데 (告公者公之着生也) 初九의 震子는 巽股로 더불어 雷風相薄하는 象이 있으므로 下不厚事라하니 不厚는 곧 薄의 뜻이다.(雷風相薄者陽入陰中也)

 

上九는 益卦의 上에 居하니 全卦로써 보면 上九는 益의 極이오 益이 極하면 損하는 것이며 上下卦로써 보면 上卦가 下卦를 益하여 上九는 受損의 地가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上九는 益할 이가 없는 것이다(上九는 益이 極하여 先天달의 傷하는 象이 되며 先天달은 天心月이라 立心勿恒은 天心月의 恒久치 못함이다) 益의 極은 衰의 始이므로 或 外로부터 來擊하는 일이 있으니 이는 天灾와 같은 時運所關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人事로써 말하여「 君子는 그 身을 安한 然後에 動하고 그心을 易한 然後에 語하고 그 交를 定한 然後에 求하나니 君子는 이 三者를 修하는 者인 故로 全한 것이다. 危하여 써 動하면 民이 與치 아니하고 懼하여 써 語하면 民이 應치 아니하고 交함이 없이 求하면 民이 與치 아니하는 것이다. 與할 이가 없으면 이를 傷하는 者가 至하는 것이라 」하니 益은 天地가 相交하여 震子와 兌精의 相合하는 象이라 動은 震子의 象이오 語는 兌口의 象이오 求는 同氣相求의 뜻으로서 震子와 兌澤의 相交하는 象이오 全은 第二世를 成함이오 與와 應은 恒卦의 雷風相與와 剛柔皆應의 뜻이므로 不與 不應을 立心勿恒이라 한 것이다 上九는 益할 이가 없으므로 危以動 懼以語 無交以求의 象이 되어 民이 不與不應하는 것이니 不與不應이 곧 勿恒의 象이다.

 

序卦

損은 地道로써 山澤이 上行하여 天을 享하는 象이오 益은 天道로써 損의 上行하는 것을 受하고 天地圜行의 理에 依하여 다시 下施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益이 損에 次하는 것이다. 損益의 上下圜行하는 運動은 第二世를 孕胎하는 것이므로 天施地生의 象이 다음 四卦에 나타나서 夬姤의 乾의 作用은 天施가되고 萃升의 坤의 作用은 地生이 되는 것이다.

 

大象

益은 天이 地를 包하고 運行하여 風雷가 모두 上으로부터 地에 下하여 地를 益하는 象이다. 見善則遷이라 함은 善을 益함이오 有過則改라 함은 過를 改하면 또한 善이 益하는 것이니 物은 繼之者善하여 善은 萬物生生의 地가 되는 것이므로 善을 益하는 것이 곧 人生의 益이다.

 

六二爻에 吉을 再言한 것은 그 相應하는 九五에 有孚를 再言함과 相照하니 六二의 十朋之龜弗克違 永貞吉은 陽氣가 陰體中에 入하는 것으로서 九五의 有孚惠心勿問과 相照하는 것이오 王用享于帝吉은 萬物을 生生하는 것으로서 九五의 有孚惠我德과 相照하는 것이다.

 

圭는 封侯에 쓰는 瑞玉으로서 上圜下方한 것이니 損卦에는 簋의 外圓內方한 象을 取하고 益卦에는 圭의 上圜下方한 象을 取한 것은 損의 天地絪縕은 內外의 뜻이 되고 益의 天施地生은 上下의 뜻이 되고 하는 까닭이다.

告公者 公之着生也

六四 損上之位 故遷國也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수해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산택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택천쾌 (한장경 역겨대의)  (0) 2013.10.04
천풍구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지췌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And

택천쾌 (한장경 역겨대의)

|

 

澤天

 

夬姤者 戰乎乾也 萃升者 致役乎坤也 於損益天地相交 而乾入兌中 坤孕乾而乾坤終也

 

夬는 一陰의 外現한 卦이다. 一陰卦로서 一陰이 中爻에 있는 者는 小畜履同人大有의 四卦로서 모든 生의 時運에 物의 始生하는 象이 되고 一陰의 外現한 夬姤는 長의 時運에 陰의 長成하는 象이 되므로 夬姤에서 長의 時運의 달이 여물어서 第二世의 달을 入胎하는 것이다.

 

夬는 乾陽이 兌澤을 決하고 그 속에 들어가고 一陰이 主가되어 五陽을 覄하니 人身으로써 보면 男體의 陽子가 女體의 陰子속에 決하고 들어가서 入胎되는 象이 되니 그러므로 夬姤는 益卦의「 天施」의 象이다.

 

夬는 決字의 省함이니 易卦名에 半字를 쓴 것은 艮兌咸夬의 四卦인데 艮兌는 모두 少男少女로서 아직 未成한 까닭에 半字를 쓴 것이오 咸과 損은 또한 少男少女이로되 咸卦만이 艮으로부터 兌하여 六子出生의 順序대로 되어 未成한 象이 되므로 半字를 쓴 것이오 夬는 父母가 六子를 生함에 乾으로부터 始하여 兌에서 終하니 諸卦中에 夬가 最少하므로 또한 未成한 象이 있어 決字의 半字인 夬를 쓴 것이다.

 

健而說이라 함은 乾이 兌澤에 入함이오 決而和라 함은 乾이 兌澤에 決入함에는 乾陽의 씨인 震子가 入하는 것이오 震子와 兌澤은 太陽과 달과의 關係로 되어 陰陽의 義가 和하므로 決而和라 한 것인데 이는 또한 兌는 正秋의 象이오 乾陽이 兌中에 入하는 것은 利이오 利者義之和이므로 和를 말한 것이다.

 

揚은 眉의 美함을 象함이니 乾陽이 兌澤에 入하고 上의 一陰이 五陽을 乘하고 있어 마치 動作없는 兩眉가 兩目 兩鼻孔 및 口의 動作하는 五竅의 上에 擧揚함과 같으니 이는 上一陰의 象이오 王庭은 乾陽의 通行하는 宮中地이니 이는 五竅의 象이다 사람의 顔面의 五竅는 兩目은 離卦의 象이오 兩鼻孔은 巽卦의 臭의 象이오 口는 兌卦의 象이니 이는 顔面의 三陰卦이오 三陰卦는 乾陽이 坤陰을 得하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三陰卦의 五竅는 乾陽의 通行하는 길로 되어 있는 것이라 夬는 陽氣가 內로부터 發宣하여 陰精을 決함이 마치 人身中의 陽氣가 五竅를 通하여 出入함과 같으므로 夬에 五竅의 뜻을 表하기 爲하여 揚眉의 象을 取한 것이다.

 

夬는 乾陽이 兌口를 決하므로 陽氣가 發宣하여 言語의 象이 되고 있으나 또한 一陰이 五陽을 蔽하여 言語가 發聲되지 못하는 象이다. 言語는 있으되 그것이 發聲되지 못하고 다만 形象으로만 表示되고 있는 것은 文字이니 그러므로 夬에 文字의 象이 있어 이것을 書契라 한 것이다.

 

夬는 上一陰이 五陽을 蔽하고 乾陽이 西方兌에 入하여 日暮의 象이 되므로 九二 九五의 生成中心에 모두 陰暗의 象이 있어 九五에는 陽이 陰中에 行하는 中行의 象이 있고 九二에는 날이 저무는 暮夜의 象이 있는 것이다. 彖의 孚號有厲는 九五이니 陽氣가 뭉치고 震子가 號하는데 陰中을 涉하여 危하다 함이오 告自邑不利卽戎은 九二이니 自邑에 着生하여 上六과 對決하지 말라 함이오 利有攸往은 初九이니 初九의 前趾가 곧 有攸往의 뜻이다. 夬는 五陽이 陰中에 決하여 陽의 長함이 終하는 것이므로 그終하는 象을 前趾의 位인 初九에 말한 것이다.

 

五陽中에 一陰을 決하는 것은 上六을 接하는 九五와 上六을 應하는 九三이므로 이 兩爻에 夬夬의 象이 있으니 夬夬라 함은 決去한다는 뜻이다 九五의 莧은 山羊細角이오 陸은(규)土性의 强粱함이니 大壯卦의 羊이 藩을 觸하여 決하는 象이 있는데 夬卦의 象이 大壯과 相似하여 陽이 陰中에 入함이 大壯의 陽의 止함과 같으므로 九五에 羊角觸決의 象을 取하고 初九와 九三에 壯의 象을 取한 것이다.

 

上六은 彖의 揚于王庭의 爻로서 乾陽이 決하고 入한 것이나 乾陽의 入胎하는 位는 上六이 아니오 成의 中心인 九五이니 그러므로 上六은 長成치 못하고 空殼으로 되어 마침내 消滅하는 것이며 이가 陽氣에는 顯藏이있고 生滅이 없어서 剝의 一陽이 下에 反하여 復의 一陽이 되고 陰質에는 生滅이 있어서 長하는 者는 반드시 消한다 하는 理이다.

 

序卦

益은 天地가 相交하여 陽精水를 陰體에 施하는 象이오 夬는 乾陽이 陰體의 陰子에 入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夬가 益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澤이 天에 上하면 반드시 潰決하여 下로 流하는 것이다. 施祿及下라 함은 上의 恩德이 下에 及함이오 居德則忌라 함은 功德의 地에 居치 아니함이다. 祿을 施하여 下에 及하면 財가 聚치 아니하여 滿溢潰決의 患이없고 功德의 地에 居치 아니하면 스스로 卑下하여 顚倒墜落의 慮가 없는 것이다.

 

大象에 祿과 德을 말한 것은 否와 夬이니 兩卦가 모두 陽이 陰中에 胎育되는 象이므로 陽을 生養하는 祿과 德을 말한 것이다 否는 陽이 否閉되어 있으므로 陽을 主하여, 陽은 德을 收斂하고 祿으로 榮華치 아니한다 한 것이오 夬는 陽이 陰을 決하는 것이므로 陰을 主하여, 陰은 祿을 下의 陽에 施하고 功德에 居하기를 忌하는 것이다.

頄는 九와 頁로 되어 九는 陽의 極長數이오 頁은 首로서 乾象이니 壯于頄라 함은 夬姤는 序卦의 乾終의 卦이오 夬의 九三이 乾陽體의 終으로서 上六의 一陰과 應하여 陰中에 入하므로 九三에 乾陽의 終하는 象이 있는 것이다. 衆陽中에 오직 九三이 上六과 相應하므로 獨行遇雨라 한 것이니 剝六三의 剝之와 復六四의 獨復과 同一한 象이다.

 

臀은 體軀의 後底이니 乾陽이 兌澤을 決하고 入함에 그 後底를 決하는 것이므로 兌體의 後底인 九四를 臀이라 한 것이다. 九四는 上卦의 兌體에 屬하여 下卦乾陽의 決을 受하면서 또한 下卦로 더불어 五陽의 一團이 되어 上六을 決하고 있으니 이는 兌體의 臀이 決하여 膚가 없고 下卦乾과 合體되어 上進하는象이다. 次且는 머뭇거린다는 뜻이니 九四는 兌體의 臀으로서 諸陽과 함께 上進하여 自身을 決하는 것이므로 上進치 아니할 수도 없고 또 上進할 수도 없어서 그 行함이 次且하는 것이다. 夬九四는 先天의 달이 太陽의 뒤로 돌아가서 달의 裏面인 臀이 太陽의 光을 受하는 象이므로 臀을 말한 것이다.

 

夬와 大壯은 大兌로 되어 羊의 象을 取한 것인데 大壯의 當前한 陽은 九四이오 夬의 當前한 羊은 九五이니 그러므로 大壯九四는 藩決不羸가되고 夬九五는 莧陸夬夬가되며 大壯의 九三은 壯이 未及한 까닭에 그 角을 羸하고 夬의 九四는 夬가 未及한 까닭에 牽羊이 되는 것이다.

 

夬姤 以後의 序卦

夬姤〔乾〕 萃升〔坤〕=父母之役終而爲地道七宮之神 神也者 妙萬物而爲言者也

夬姤는 乾坤의 終으로서 神이 되고 夬姤의 속에 胎宮이 있는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택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풍뢰익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천풍구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지췌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지풍승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And

천풍구 (한장경 역경대의)

|

 

天風

 

姤는 夬와 함께 一陰의 外現한 卦로서 長의 時運의 달이 여물어서 第二世의 달을 入胎하는 것이다. 姤는 一陰이 下에 있어 乾陽을 遇하니 이는 陰精이 乾陽을 承受하여 益卦의「天施」의 象이 되는 것이다. 姤卦의 乾巽相遇에 對하여 剛遇柔라 하지 아니하고 柔遇剛이라고 하는 것은 男體의 陽子가 往하여 女體의 陰子를 決하는 것은 夬의 象이오 陰子가 內에 居하여 陽子의 來함을 受하는 것은 姤의 象이므로 姤는 柔遇剛의 象이 되는 것이다.

 

姤字는 女와 后로 되어 后는 女主라는 뜻도 되고 또 繼體하는 君主라는 뜻도 되니 이는 女主는 달의 象이오 繼體하는 君主는 先天時運의 달을 繼體하는 后天時運의 달이라는 뜻이 되는 것이며 姤卦에는 先天의 달이 后天의 달을 入胎하는 象이 있으므로 姤字를 쓴 것이다. 그러므로 序卦에는 夬姤에서 乾이 그 施精의 任務를 다하여 終하는 것이며 달의 始生한 小畜에서 姤까지는 三十六數의 乾策數로 되고 小畜이 交易하여 姤가 되는 것이다.

 

巽이 上卦에 있는卦의 六四는 天氣가 下降하여 空中에서 地에 接하므로 이러한卦의 六四에는 달의 象이 있는 것이며 小畜은 六四의 巽股가 乾陽과 接하고 股는 人身의 前面에 있는 것이므로 이는 달의 前面이 太陽의 光을 받아서 地上에 비치는 象이 되는 것인데 姤는 巽股의 後面에 있는 臀이 乾陽과 接하니 이는 달의 後面이 太陽의 光을 받아서 地上에 비치는 象이니 그러므로 先天의 달은 前面이 光을 비치고 后天의 달은 後面이 光을 비치는 것이다. 前面은 股인데 股는 陰이오 後面은 背인데 背는 陽이니 后天의 달은 背의 陽이 光을 비치므로 先天달의 股陰이 光을 비치는 때보다 더 淸明하고 光華한 것이다. 달의 組織은 陰이 陽을 藏하고 있으므로 後面은 陽이 되고 前面은 陰이 되는 것이다.

 

品物은 太陽 地球 및 달의 三圓物을 象한 것이므로 天地創造의 元이 있는 乾에 品物流形이 있고 坤에 品物咸亨이있고 그 外는 오직 姤에 品物咸章이 있으니 章이라 함은 物이 成終하여 열매를 맺는다는 뜻이라 姤에는 后天의 달의 入胎되는 象이 있으므로 天地創造의 象과 物의 열매의 象을 아울러 取하여 品物咸章이라 한 것이다.

 

勿用取女 不可與長者 陽娶於股則 陽爲陰蔽 而陰長也 陰不可與長 故不可娶也

 

姤는 上下卦로 보든지 全卦로 보든지 모두 天氣가 下降하여 地를 接하는 巽卦의 象이 되므로 天地가 相遇하는 象이 되고 九五의 陽은 달의 陰精中에 入하는 陽이므로 九五의 陽이 中正한 位를 遇한다 한 것이오 天下大行이라 함은 陽氣가 下降하여 天下에 行한다 함이니 이는 第二世의 달을 入胎하는 때에 天氣의 行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時義大矣哉豫卦下

姤는 女體가 乾陽을 遇하여 胎兒가 入胎되는 象이므로 時義가 大한 것이다.

 

九五는 天地相遇의 主爻로서 달의 陰精中에 入하는 陽이다. 杞는 木과 己로 되고 己는 中宮에 陽을 包하여 草木의 열매의 形이 맺는 것이다. 姤는 夏至의 象으로서 열매의 形이 맺는 때이므로 杞字를 쓴 것이오 또 杞는 柳의 屬으로서 柳器를 만들어 物을 盛하는 것인데 姤는 陰陽消息의 象으로써 보면 四月卦 大過로부터 顚來하고 大過九五에는 楊의 生華하는 象이 있으니 杞와 楊이 모두 柳의 屬이오 大過의 生華가 또한 姤의 包瓜와 相照하는 것이다 瓜는 蔓草로서 瓜實을 結하여 本이 弱하고 末이 實한 象이라 大過는 本末이 모두 弱한 것이나 姤는 初六의 本만 弱하고 末은 實하므로 蔓草에 맺는 瓜의 象을 取한 것이며 또 瓜는 艮의 象이니 大過에서 震子가 陰體中에 入하였는데 大過가 顚하여 姤가 된 것이므로 大過生華中의 震子도 또한 顚하는 것이오 震子가 顚하면 艮이 되는 것이니 이가 姤 九五에 艮瓜의 象이 있는 所以이다.

 

姤는 夏至一陰生의 象으로서 陽이 體가되고 陰이 用이 되니 初六一陰은 姤卦用事의 主爻이며 그러므로 大象에는 一陰爲主의 뜻을 取하여 后를 말한 것이니 易卦大象에 后를 말한 것은 오직 泰와 姤이다 (躑躅(척촉)者彳亍也行也 姤初爲月行之位 而自先天 越后天者也彳左足也亍은 右足也 有左右足者月行 自先迷越於後得主也)

 

初六은 巽木으로서 上卦乾陽의 圜行을 따라서 함께 圜轉하고 또 天氣下降하여 地를 接함에는 繩索의 下垂하는 象이 되는데 木과 繩索과 圜轉과의 三象을 合하여보면 실을 감는 木製 자새의 象이 되니 이가 柅이오 柅가 乾金과 合하므로 金柅라하고 乾陽을 따라서 圜轉하므로 金柅에 繫한다고 하니 이는 달의 陰精이 乾陽을 따라서 圜行함을 象함이다.

 

初六에는 柔道牽이라 하고 九三에는 行未牽이라 하여 모두 牽字를 쓰니 牽은 乾金과 巽風의 磁氣의 相牽하는 作用을 말함이오 이는 小畜卦의 牽復과 同一한 뜻이다.

 

九四의 陽은 初六의 巽股를 應하는 位에 있고 股는 陽陷의 地이므로 包함에 魚가 없다 하니 魚는 陰中에서 사는 生物의 象이다. 初六에는 豕와 魚의 兩象이 있으니 이것을 初六의 陰自身으로서 볼 때에는 初六은 陰이 陽을 含한 坎卦의 豕의 象이 되는 것이오 이것을 初六과 相接한 九二의 陽과 初六과 相應하는 九四의 陽으로서 볼 때에는 初六은 生物을 含한 陰의 象이 되는 것이므로 九四와 九二에 包魚의 象을 말한 것이며 剝의 貫魚와 中孚卦의 豚魚도 巽卦初六과 같이 生物을 含한 陰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魚를 말한 것이다.

 

序卦

夬는 乾陽이 陰體의 兌澤에 決入하고 姤는 陰體가 乾陽을 承受함이니 그러므로 姤가 夬에 次하는 것이다. (姤之后以卽 泰之后以也 泰爲后天之卦 而姤亦后天之卦也)

 

大象

姤는 一陰이 用事하고 달의 陰體가 乾陽을 受하여 光明을 發하므로 女王繼體의 뜻을 取하여 后라 한 것이다.

羸豕는 陰中에 陽을 繫纍함이오 躑躅은 足을 멈춰서 行치 못하게 함이다.

九三의 臀無膚其行次且는 夬九四의 象이니 乾三陽이 巽二陽과 相連하여 五陽이 一團이 되어 天氣가 下降하는 것이므로 乾과 巽의 兩體가 合하여 一體가 되는 뜻을 表하기 爲하여 夬九四의 臀無膚其行次且의 象을 말한 것이다. 달이 太陽의 뒤로 돌아가서 裏面이 太陽의 光을 받는 것인데 臀이 上卦乾陽과 行未牽한다 함은 日月이 合朔치 아니하고 달과 太陽의 사이가 牽着되지 아니하고 後得主의 象이 된다 함이다.

 

九四는 初六의 股를 應하므로 陽이 陷하여 包함에 魚가 없는 것이다. 起는 震의 象이니 (雜卦震起也) 乾體各爻는 震子의 象인 까닭에 九四도 震子의 象이다. 九四起凶은 初六의 有攸往見凶과 相照하니 九四의 凶이 곧 初六의 見凶이다.

角이라 함은 頭上의 陽이 陰에 觸하여 硬化한 者이다. 姤의 諸爻中에 오직 上九에만 姤字가 있으니 이는 天地相遇하는卦에 初六이 地가되고 上九가 天이 되어 初六과 上九가 天地相遇하므로 上九에만 姤字가 있고 上九의 陽이 上窮하여 初六의 陰과 相觸하므로 硬化하여 角이 된 것이다.

 

姤月 言母體孕月 故月之體也 乾月 言父氣施光 故月之用也 此坤道八宮言母體 坤道七宮 言胎兒故也

六十甲子 姤月乾月 皆當丁未 此亦 姤爲月之體 乾爲月之用也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뢰익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5
택천쾌 (한장경 역겨대의)  (0) 2013.10.04
택지췌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지풍승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수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And

택지췌 (한장경 역경대의)

|

 

 

澤地

 

萃는 坤이 兌澤을 合한 純陰卦로서 兌澤의 成의 中心에 陽을 內包하니 이는 女體의 陰子가 陽子를 承受하여 孕胎하는 象이오 달의 陰精이 乾陽을 承受하여 第二世의 달을 孕胎하는 象이 되니 그러므로 萃升은 益卦의 地生의 象이오 序卦에는 坤이 萃升에서 그 受胎의 任務를 다하여 終하는 것이다.

 

萃라 함은 聚함이니 陽氣가 內部에 聚하여 孕胎된 胎兒가 生長하는 象이다. 物의 聚함에는 順하고 說하고 中心에 陽이있고 應하고 하는 네 가지가 있으니 逆하며 順치 아니하면 聚치 못하는 것이오 心이 說從치 아니하면 聚치 못하는 것이오 中心의 運行力이 柔弱하면 聚치 못하는 것이오 聲氣가 同一치 아니하여 서로 應치 아니하면 聚치 못하는 것이다. 萃에는 坤이 順하고 兌가 說하고 九五의 陽이 中하고 六二가 應하므로 陽이 聚하여 胎兒가 生長하는 것이다. 臨卦에도 이 네 가지가 있으나 臨의 陽은 內部에 있지 아니하므로 浸長하는 象이 되고 聚하는 象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萃는 草와 卒로 되고 卒은 繫辭의「卒成之終」과 같이 成終의 뜻이니 草木이 長을 極하여 여물고 열매를 맺는 것이 곧 萃의 뜻이다. 萃卦는 母體가 여물어서 終을 成하고 第二世를 孕胎하는 象이 되므로 萃字로써 卦名을 삼은 것이다.

易理에는 모든 生物中에 神의 自然法則을 順應하여 조금도 어김이 없는 것은 草木이라 하여 易象에 主로 草木의 象을 取하고 序卦에는 乾坤이 처음으로 所生한 屯蒙도 모두 草木의 象을 取한 것이며 坤의 成終하는 萃卦에 草木의 象을 取한 것도 또한 이 理에 依한 것이다.

 

사람의 生生하는 것은 神의 分身으로 된 鬼神의 作用에 依하여 生하는 것이오 사람이 鬼神을 奉享하는 곳을 廟라 하는데 天上에서는 鬼神이 달에 依附하고 있으므로 (이 理는 序論에 씌어있다) 天上의 달은 人間의 廟의 象이 되는 것이오 人間에서 鬼神의 依居하는 廟를 새로 세우는 것은 天上에서 鬼神의 依附하는 달이 새로 生하는 것과 同一한 象이다. 萃卦에 王假有廟라 함은 乾陽이 坤體인 달에 假居하여 第二世의 새달로 孕胎되어 自身이 先天月의 子로 되고 鬼神은 달에 依附한다는 理에 依하여 祖上神이 새달에 依附하니 이는 사람이 廟를 세우고 祖上神을 거기에 奉安하는 象과 같다 하여 달을 象하기를 廟라고 한 것이다.

 

乾陽이 先天月에 假居하여 第二世의 달로 孕胎되고 거기에 鬼神을 依附케 하는 것은 사람이 胎兒를 孕胎하고 祖上과 子孫의 生命의 줄을 連繫시키기 爲하여 祖上神을 奉享하는 廟를 세움과 같으며 祖上의 廟를 세우는 것은 곧 祖上에게 孝하고 祖上을 享하기 爲함이므로 致孝享이라 한 것이다. 孝는 老와 子로 되어 子가 父母를 繼承한다는 뜻이오 享은 神에게 獻하고 受하고 한다는 뜻이니 이는 모두 祖上과 子孫과의 生命의 줄을 連繫하는 일이다. 사람의 씨는 달에서 生하여 사람의 生生하는 原理는 달에서 내려온 것이므로 第二世의 달의 生하는 萃卦에 사람의 孝享하는 理를 말하여 사람과 달의 生理의 相似하다는 뜻을 表한 것이다.

 

大牲이라 함은 神을 享함에 쓰기로 定한 生牛이니 用大牲이라 함은 坤母가 第二世를 胎育하는 것이 곧 生牛를 祭物로 쓰는 象이라 함이오 母體가 子를 生産한 後에 自身이 消滅하는 것은 또한 牲을 神에게 獻하는 象이니 萃升은 序卦最終의 坤으로서 第二世를 胎育하고 있으므로 用大牲의 象을 取한 것이오 이는 先天달이 后天달을 胎育하고 自身이 消滅되는 象이다. 萃의 用大牲 順天命은 無妄의 牛 및 天命과 相照하는 것이니 上經의 無妄大畜과 下經의 萃升은 서로 變易하여 無妄大畜은 陽體中의 震子의 長成함을 象한 것이오 萃升은 陰體中에 震子를 胎育함을 象한 것이다.

 

萃의 用大牲의 牛는 無妄의 行人所得한 牛이오 萃의 所順하는 天命은 無妄의 自外來한 天命이다. 無妄六三의 牛는 本是 下卦坤體의 牛인데 震子가 坤體內에 來한 까닭에 坤이 變하여 震으로 되니 이는 震이 坤牛를 得함이오 震이 坤牛를 得한 것이 곧 行人이 牛를 得하고 邑人이 牛를 失하여 灾(災)한 것인데 萃는 無妄으로부터 震子를 受한 것이므로 萃下卦坤이 震子를 受하면 또한 無妄의 下卦坤과 같이 自身을 犧牲하여 震子를 胎育하고 自身을 喪하게 되는 것이니 이가 用大牲順天命의 象이다. 萃와 無妄에 牛와 天命을 相照하여 말한 것은 母體가 胎兒를 胎育하는 것은 第二世의 繼承을 爲하는 犧牲인 同時에 또한 그것이 天命이라 함을 表示하기 爲함이다.

 

天地萬物之情 咸卦下

地가 兌澤을 合하므로 萃聚의 情이 된 것이다.

九五 元永貞은 坤元과 用六作用으로써 乾陽을 承受하여 새달을 孕함이오 匪孚라 함은 月體中에 陽氣를 뭉치는 것이 아니라 乾子를 孕하여 第二世의 달을 胎育한다 함이다. 九五는 王假有廟의 位로서 달의 胎育되는 位이니 聚有位라 함은 上으로 天命을 順하고 下로 坤母를 犧牲하고 그 中間에서 달이 生하여 乾彖의 말한 바의 六位를 이룬다 함이오 陰體中에 胎育되고 있으므로 志가 未光한 것이다.

 

六二의 孚乃利用禴은 彖의 用大牲의 뜻이다. 六二는 生의 中心으로서 거기에 陽氣가 뭉쳐서 胎兒가 胎育되면 이에 生牛를 神에게 祭享하는 祭物로 定하는 禴祭를 지내게 되는 것이니 이는 坤母를 犧牲하여 子孫을 生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序卦

姤는 陰體가 乾陽을 承受하여 달의 入胎하는 象이오 萃는 第二世의 달을 孕胎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萃가 姤에 次하는 것이다.

萃는 序卦의 第四十五卦로서 洛書의 數가되어 自然數의 九에 當하고 渙은 五十五數로서 河圖의 數가되어 自然數의 十에 當하니 萃는 陽數의 終이므로 先天月에서 后天月의 孕胎되는 象을 取한 까닭에 子가 父母를 繼함을 象하여 孝를 말하고 渙은 物의 成終하는 十數이므로 달이 母體의 第十竅에서 十朔만에 出生함을 象하고 渙의 달은 后天月이오 乾陽自身이 곧 后天月인 까닭에 胎兒自身이 곧 乾陽임을 象하여 王乃在中을 말한 것이다. 萃는 洛書數의 終하는 卦로서 母가 亡하고 第二世달의 胎育하는 象이 되고 胎中卦 革에 治歷의 象이 있으니 이는 萃卦에서 后天이 生한다 함을 말함이오 升에서 二百七十六日만에 胎兒가 生하는 것이다.

 

大象

萃는 生長本能의 卦이오 生長本能에는 반드시 生長競爭이 있는 것이므로 鬪爭에 쓰는 兵器를 除去하고 사람의 天性의 여물지 못한 것을 警戒하는 것이다.

 

咨는 歎하는 聲이니 口에 屬하고 涕는 目液의 出함이니 目에 屬하고 洟는 鼻液이니 鼻에 屬하는데 卦象으로써 보면 口는 兌이오 目은 離이오 鼻는 巽으로서 口目鼻는 三女卦의 象이다. 萃의 上爻는 內에 陽氣를 包하고 陰竅가 上에 開하여 澤聚의 極에 澤溢下流하는 象이 되는데 上六의 陰竅의 上開는 顔面上의 口目鼻의 象이니 그러므로 澤流下溢을 咨涕洟의 齎送으로써 象한 것이며 未安上이라 함은 上에서 安定치 못하고 溢流함을 象한 것이다.

 

澤이 天에 上한 夬는 上六이 五陽을 乘하여 顔面上의 目鼻口의 象이 되고 澤이 地에 上한 萃도 上六에 顔面上의 口目鼻의 象이 있으니 夬는 內에 乾陽의 氣를 包하므로 內部의 陽氣가 目口鼻를 通하여 外로 發하는 象이 되고 萃는 內에 坤陰의 形質을 包하므로 內部의 水液이 口目鼻를 通하여 外로 出하는 象이 되는 것이며 夬와 萃의 兌澤에 胎兒의 胚胎하는 象이 있으므로 上六에 顔面의 象을 말한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천쾌 (한장경 역겨대의)  (0) 2013.10.04
천풍구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지풍승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수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수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And

지풍승 (한장경 역경대의)

|

 

地風

 

升은 坤陰이 巽의 陰精을 合하고 天氣의 下降하는 陽을 內包하므로 달이 第二世를 孕胎한 象이 되니 益卦의 「地生」의 象이오 그러므로 下經에는 오직 升卦와 胎宮의 革鼎에만 元亨의 象이 있는 것이다.

 

物의 始生함에는 下로부터 上升하니 草木의 生長이 모두 下로부터 升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달의 生함을 象하여 升이라 하고 彖에는 陰이 時로써 升한다 하니 陰은 달의 體를 象함이오 달에는 盈虛消長이 있는 까닭에 時를 말한 것이다.

 

升은 文王八卦圖의 四維卦로서 南方離를 夾하므로 南征의 象이 있으니 이는 달이 南의 離火方으로 出하여 光明을 받는다 함을 말함이다.

 

升은 序卦에 泰의 天地交로부터 三十六數로 되어 있으므로 泰에 拔茅茹가 있고 그 中間인 大過에 藉用白茅가 있고 升에 地中生木이 있어 이에 天地交의 任務를 다하고 終하는 것이며 또 乾으로부터 升까지는 四十六卦 二百七十六爻가 되는데 二百七十六數는 사람이 受胎됨으로부터 出産하기까지의 大體의 日數이니 이는 升卦에서 달이 生하므로 사람의 出生하는 日數로써 달의 生함을 象한 것이다. 卦自體內에 달의 胎育하여 生하는 象이 있으므로 用見大人이라 한 것이다.

 

六五의 階는 下에서 高로 登하는 바이니 節卦에 言語以爲階가 있는데 節卦는 先天月이 終하고 日月이 合朔하면서 后天月이 生하기 始하는 곳이므로 階의 象이 되는 것이오 이 升卦가 또한 后天月의 生하는 始가 되므로 달이 時로써 升하는 것을 升階라고 한 것이다.

 

九二의 孚乃利用禴은 萃六二의 象과 同一한 것이오 六四의 王用亨于西山이라 함은 乾陽이 달의 兌澤을 岐山에서 嘉會한다 함이니 山澤은 달의 體이오 이는 달의 體가 六四爻에서 이루어짐을 말한 것이다. 長의 時運의 달은 隨卦上六에서 王用亨于西山하여 艮兌가 長하는 것이오 后天月은 升卦六四에서 王用亨于岐山하여 艮兌가 成하는 것인데 長의 時運의 달은 蠱甲이 달의 始가 되므로 隨卦上爻에 艮兌의 長하는 象이있고 后天月은 升五爻에서 升階하는 것이므로 四爻에 艮兌의 成하는 象이 있는 것이니 隨卦上爻는 兌澤인 까닭에 西山이라 하고 升卦四爻는 地의 四支인 山이므로 支와 山을 合하여 岐山이라 한 것이다.

 

序卦

文王八卦圖 互歸妹之升卦 上爻陰下爻陰 故女體受陽씨之象也 文王八卦圖 互歸妹之卦泰蠱大畜在上經 爲男體之씨 唯升一卦 在下經 爲陰體受陽씨之象也

 

萃는 坤母가 第二世의 달을 胎育하는 象이오 升은 第二世의 달을 生하는 段階에 升한 것이니 그러므로 升이 萃에 次하는 것이다.

地道五皇極宮에서 天地의 相交하는 后天胎育의 事功이 萃升에서 終하고 胎宮인 困井革鼎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雜卦에 升은 不來也라하니 升은 序卦 最終의 坤으로서 陰의 成한 것이므로 升字가 十으로 되어 自然數의 成함을 表한 것이오 十에서 成한 后天은 다시 生長으로 되돌아오지 아니하고 成의 時運이 그대로 繼續하는 것이므로 十數의 成한 象이 되는 升은 다시 來치 아니하는 것이다.

 

大象

后天月의 胚胎하는 卦이므로 地中生木의 象이 되는 것이니 易卦大象에 「生」字가 있는 것은 오직 升一卦이다.

順德은 坤德이오 積小는 陰精의 聚함이오 高大는 陽氣의 高升함이니 이는 胎兒가 陰精中에서 生長하는 象이오 사람이 坤順의 德으로써 以小成大하는 象이다.

 

升은 序卦의 乾坤最終卦로서 盈虛消長의 象이 있으므로 下卦의 終인 九三에 虛를 말하고 上卦의 終인 上六에 消字를 쓰니 盈虛는 空間의 象이오 消長은 時間의 象이라 上卦는 天으로서 時間의 象이 되므로 上六에 消長을 말하여 消不富라하고 下卦는 地로서 空間의 象이 되므로 九三에는 盈虛를 말하여 升虛邑이라 한 것이다. 升은 下經咸으로부터 第十六卦에 當하므로 上經 第十六卦인 豫와 같이 달의 虧하는 象을 取하여 上六에 冥升이라 하니 升의 冥은 長의 時運의 달의 冥함이오 이는 上六의 消不富와 同一한 뜻이다.

 

胎宮夬姤萃升과 困井革鼎

夬姤萃升은 父母卦의 終함이오 다음에는 震子卦인 震艮이 繼하는데 父母와 震子는 胎宮으로써 連結되고 있으므로 夬姤萃升의 다음에 胎宮인 困井革鼎이 次하는 것이오 地의 胎宮은 곧 달이므로 困井革鼎은 巽兌의 陰精이 水火를 合하여 生長組織으로 된 달의 陰精의 象이니 이는 胎宮은 胎兒를 生하기 爲하여 반드시 生長作用을 行하기 때문이다.

 

胎宮之水火 自夬姤萃升之乾坤來 此乾坤之子也 水火歷 地道七宮而成形 至旣濟未濟而水火之合 爲乾坤之合 越於后天 爲乾坤 乾坤者 夬姤萃升之 成道者也

 

夬姤萃升은 天施地生의 象으로 되어 乾坤이 巽兌를 合한 것인데 陰陽의 施受作用은 陰體의 陰精火가 陽體의 陽精水를 承受하여 陽精水中의 震子를 胎育하면서 水火의 烹湯作用으로써 胎兒의 體를 生하는 것이니 이는 火는 生生의 原이오 水는 生生의 始이라 火가 物의 生生의 原이 되는 까닭에 萬物의 씨의 元인 震子는 太陽의 光明에서 오는 것이오 水가 物의 生生의 始가 되는 까닭에 萬物의 씨는 水液中에 싸여 있는 것이며 이가 陽精水와 陰精火가 合하여 胎兒를 生하는 所以이다.

 

그러므로 夬姤의 乾陽에서는 陽精水가 나오고 萃升의 坤陰에서는 陰精火가 發하여 胎兒를 生하는 것이오 이 理에 依하여 澤天夬는 澤水困이 되고 天風姤는 水風井이 되고 澤地萃는 澤火革이 되고 地風升은 火風鼎이 되니 이는 水火는 乾坤에서 生하는 것으로서 乾中劃이 坤에 入하여 水를 生하고 坤中劃이 乾에 入하여 火를 發하는 까닭이며 困井革鼎의 胎宮四卦는 地道의 收斂하는 中에 홀로 生長卦로 되어 있는 것이다.

 

父母四卦와 胎宮四卦의 聯聯生生하는 象을 보건대 夬는 乾陽이 兌澤을 決하고 入한 것이므로 乾陽에서 坎水가 生하여 澤水困이 된 것이니 困은 地下水의 象이오 姤는 陰精이 乾陽을 遇하는 것이므로 乾陽에서 坎水가 生하여 水風井이 된 것이니 井은 地를 掘하여 井을 作하고 地下水를 汲上하는 象이다.

萃는 坤陰의 兌澤이 乾陽水의 震子를 受胎하면서 坤陰에서 離火를 發하여 澤火革이 된 것이니 革은 水火相息의 象이오 升은 坤陰中의 陰精이 乾陽水의 震子를 胎育하면서 坤陰에서 離火를 發하여 火風鼎이 된 것이니 鼎은 鼎中애서 水火를 烹湯하는 象이다.

 

胎宮은 乾坤의 第二世의 出生하는 곳인데 거기에는 物을 製作함에 사람이 天工을 代行하는 象을 取하여 人工으로써 製作하는 井과 鼎의 象을 말하니 乾은 生의 時運의 天道이오 坤은 長의 時運의 地道인즉 사람이 天工을 代行하는 胎宮은 成의 時運의 人道이라 后天의 成의 時運은 人道의 行하는 時運이라 하여 胎宮의 井鼎에 人工製作物로써 卦名을 삼은 것이니 이는 天工의 未成한 것을 사람이 人工으로써 代行하여 製作한 然後에 天地人 三才의 道가 具備하여 天地生生의 功이 大成하는 것이다.

胎宮은 地道이니 胎兒가 胎宮에 있는 동안까지는 地道에 依하여 生하고 있으나 胎宮에서 出生하는 때로부터 始祖神을 向하여 나가면서 神으로 더불어 相和하는 人道가 行하는 것이다.

 

下經地道의 序卦로써 보면 下經은 收斂作用을 主하는데 三十四卦中에서 咸恒父母를 除하고 그 나머지 三十二卦의 中央部에 生長作用을 行하는 胎宮四卦가 있으니 이는 天地自然數에 二四六八十의 地數五位의 中央에 用六宮이 있는 理이므로 胎宮은 用六宮의 象이 되는 것이다.

 

胎宮의 數가 四卦로 되는 까닭은 乾은 父象으로서 用九가되고 坤은 母象으로서 用六이 되고 九六父母가 相交하여 子一數를 生하니 이는 九六十五가 一을 生하는 것이며 그러므로 父母와 子의 數는 十五對一로서 合하면 十六이오 易卦六十四를 父母子의 生生數에 맞춰 보면 父母의 數는 六十卦가되고 子의 數는 四卦가되니 이 子數四卦가 곧 胎宮四卦의 數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풍구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지췌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수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수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화혁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택수곤 (한장경 역경대의)

|

 

 

澤水

 

困井 陽精水之施也 革鼎 陽精水 附於陰精而生長也

 

困은 澤天夬에서 變來하여 陽精水가 兌澤을 決하고 入한 象이오 陰精이 陽精水를 合한 生長卦이므로 胎宮卦가 된 것이다.

困字는 木과 圍로 되어 木이 圍中에 生하는 象이오 木은 震子의 象이니 困은 陽精水가 澤底에 入하므로 陽掩의 象이 되고 震子가 澤底의 圍中에 入하므로 困이라 하니 이는 乾陽의 震子가 入胎하는 象이다. 陽이 陰에 掩蔽되고 있어 困하되 兌澤과 震子의 嘉會하는 바를 失치 아니하니 이는 第二世의 달의 入胎하는 象이다. 有言不信은 九二의 陽이 內部에서 陰에 掩蔽되어 發宣치 못한다 함이다.

 

九五는 震子入胎의 位이오 劓刖은 噬嗑卦의 滅鼻滅趾이니 震子가 陰中에 入함을 象함이다. 九五에는 祭祀의 象이 있는데 易理에는 사람이 神에서 生하므로 子孫을 生하는 象의 卦에 神에게 祭祀하여 上으로 祖上을 繼하고 下로 子孫에게 傳한다는 뜻을 表한 것이니 祭는 人과 神의 相接함이오 祀는 敬慕하여 記念함이라 九五는 震子와 兌澤이 相遇하여 第二世의 入胎하는 象이므로 祭로써 神明을 接하고 祀로써 祖上을 敬慕하고 함을 말한 것이다.

 

九二의 酒食은 飮食으로써 物을 生養하는 象을 말함이니 이는 生의 中心에서 入胎한 震子를 生養함이오 亨祀라 함은 亨은 嘉會함이오 祀는 敬慕記念함이니 이는 第二世의 入胎하는 生의 中心에서 神과 人이 相和하여 사람이 神에 生한다는 뜻을 表한 것이다. (有言不信 尙口乃窮 = 九二之征凶)

 

胎宮은 달의 胎育의 宮이오 困은 달의 始生하는 卦인데 六三은 無水하고 또 乘剛하여 生命과 光明이 없으므로 先天달의 消하는 象이 되어 凶한 것이다.

 

六三은 上으로 剛鹵한 澤底를 負하니 이는 石에 困한 象이오 下로 陽을 乘하여 陽水를 掩하니 이는 蒺藜에 據한 象이다. 蒺은 草와 疾로 되고 疾은 陽이 陰에 陷하여 病한 것이니 蒺의 刺가 사람을 傷함을 象함이오 藜는 旱草로서 旱害가 있는 때에 蒺藜가 먼저 生하는 것이니 六三은 陽水를 掩하여 澤에 水가 없으므로 旱草의 象을 取한 것이다. 兌澤은 女體의 陰子의 象이오 陰子는 妻의 象인데 澤에 陽水가 없어서 陰子가 生치 못하니 이는 그妻를 見치 못하는 象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人事로써 말하여 困할 바가 아닌 데에 困하니 名이 반드시 辱되고 據할 바가 아닌 데에 據하니 身이 반드시 危할지라 이미 辱되고 또危하여 死期가 將至하거니 妻를 그 可히 見함을 得하리오 하니 이는 六三에 物의 生生하는 象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初六은 剛揜卦의 最底에 있어 暗昧不明한 象이 되는 것이다. 사람은 行하면 臀이 體軀의 中間에 있고 坐하면 臀이 底에 있는 것이니 夬姤는 乾陽이 陰中에 入하는 行人의 象이므로 臀이 卦의 中間에 있고 困은 夬에서 生한 卦이므로 그 뜻을 表하기 爲하여 臀의 象을 取하고 胎宮의 胎兒는 坐하는 것이므로 臀이 底에 있는 象을 取한 것이며 困卦의 底는 初六이므로 初六에 臀의 象을 말한 것이다.

 

株는 木과 朱로 되고 朱는 赤心木이다. 坎은 木의 堅多心의 象이 되고 內에 陽을 含함으로 朱木은 坎의 象이며 初六은 胎兒가 木圍中에서 生하고 있으므로 臀이 朱木에 掩蔽되어 있다고 한 것이오 九二의 朱 九五의 赤이 모두 朱木의 뜻이다.

幽는 光明이 가려서 隱微함이오 谷은 水가 半見하여 山間口에 出함이니 幽谷은 山間에 泉이 始出하는 隱微한곳이오 胎宮의 最底를 象한 것이다.

 

酒食은 需九五의 酒食과 同一하니 困九二에 需九五의 生命水가 있음을 말한 것이다.

 

金車는 剛鹵의 뜻이니 車는 鹵簿이므로 車에 鹵의 象을 말한 것이다.

 

葛藟는 旱田에 生하는 蔓草로서 蔓纏上覄하는 것이니 困은 無水의 澤에 草木의 生하는 象이있고 上에 纏하여 九五를 覄하고 있으므로 旱田에 生하는 葛藟를 象한 것이다. 臲은 隍의 뜻으로서 阜의 毁함이오 卼은 扤의 뜻으로서 木의 枝가 傷하여 없음이니 上六은 澤無水한 곳이므로 阜가 毁하고 木이 無枝하고 한 象이다. 上六은 六三과 함께 陽을 掩蔽하는 爻이므로 上六의 葛藟는 六三의 蒺藜와 같고 上六은 臲卼은 六三의 石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六三은 入하므로 澤이 涸하여 凶하고 上六은 行하므로 水가 來하여 吉한 것이다.

 

困하기를 于葛藟하고 于臲卼하니 이는 曰하기를 動悔하고 有悔하고 한 것이다. 動悔는 困하기를 葛藟에 함이오 有悔는 困하기를 臲卼에 함이다

 

大象

澤無水는 剛揜의 뜻이다. 險中에서 困하므로 天命을 致하여 自己의 意志를 遂行하는 것이 곧 困을 變通하는 길이니 致命은 繫辭의 「盡性至命」의 뜻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지췌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지풍승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수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화혁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화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수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

 

 

水風

 

 

井은 天風姤에서 變來하여 陰精이 陽精水를 遇하여 生命水를 汲上하는 象이오 陰精이 陽精水를 合한 生長卦이므로 胎宮卦가 된 것이다.

 

井은 困의 反易이오 人工으로써 地를 穿穴하여 澤中의 水를 汲上하는 것인데 또한 水가 樹木의 根으로부터 가지에 上升하여 樹木을 養하는 象이있어 마치 井水가 사람을 養함과 相似하므로 井에 또한 木上有水의 象을 取한 것이다.

 

邑이라 함은 人居의 地이오 改邑이라 함은 사람의 移來移居가 있다 함이오 不改井이라 함은 사람의 移來移居는 있으되 井의 位는 變치 아니하여 모두 그井을 井으로한다 함이니 이것을 胎宮의 理로써 보면 胎宮에 居하는 胎兒는 前者가 出産하고 後者가 來居하고 하여 그 居人은 반드시 다른 邑人의 新來하는 者이니 이는 改邑하는 象이오 胎兒는 前者가 往하고 後者가 來하고 하되 모두 그 胎宮을 胎宮으로 하니 이는 不改井의 象이다. 井卦는 洛書의 象이오 洛書는 胎宮의 象이다. 洛書東北의 一六水 三八木은 水風井卦의 坎水巽木으로서 그 方位가 河圖의 方位를 變치 아니하니 이가 不改井의 象이오 洛書西南의 二七火 四九金은 胎宮의 萃卦의 離火兌金으로서 그 方位가 河圖의 方位를 變改하니 이가 改邑의 象이라 그러므로 洛書의 一六三八은 胎宮不改의 象이오

 

二七四九는 胎兒來往의 象이다.

 

洛書의 中宮五土는 生數의 生命體로서 胎兒의 象이다.

 

澤底에 흐르는 地下水는 限度가 있어 그 限度에서 더 上하지도 아니하고 더 下하지도 아니하는 것이므로 그것을 穴穿한 井水도 또한 限度가 있어 汲치 아니하여도 더 上하지 아니하고 汲하여도 더 下하지 아니하니 汲하여도 더 下하지 아니함은 無喪이오 汲치 아니하여도 더 上하지 아니함은 無得이다. 井은 그 處所에 固定되어 있으므로 人居에는 往來함이 있으되 井에는 往來가 없어 모두 그 井을 井으로하는 것이다. 사람이 來하여 汲上하되 더 喪함이 없고 사람이 없어서 汲上치 아니하되 더 得함이 없고 物을 養하여 窮치 아니하니 無喪無得은 井의 體이오 往來井井은 井의 用이라 繫辭에 「井은 그所에 居하여 遷한다」함은 井의 體와 用을 말한 것이다.

 

汔至未繘井 羸其甁은 九二와 初六의 象을 말함이니 井은 生命水가 地中으로부터 出來하는 卦인데 初六에 巽股가 있어 陽을 害하는 象이있고 九二가 初六과 接하여 陽의 陷하는 象이 있으므로 九二의 井水는 下로 漏하여 汔至가되고 下로 汔至하여 上行치 못하므로 未繘의 象이 되고 初六의 陰은 汲水器의 象인데 巽股가 陽을 害하므로 汲水器가 繫纍되어 用치 못하는 象이 되니 爻辭에 甕敝漏와 舊井은 井器의 敝함을 말함이오 無禽은 水中에 生命이 없음을 말함이다.

 

九五는 彖의 不改井의 位이오 寒은 乾의 象이다. 乾은 純陽이오 乾이 陰精에 入하면 陽氣가 뭉쳐 있고 그 外廓이 寒하여 收斂하는 것이니 이가 乾에 寒象이 있는 所以이오 사람의 頭가 陽氣의 뭉쳐 있는 乾象으로서 寒한 것도 또한 이理에 依한 것이다. 井九五는 姤九五의 乾에서 變來한 것인데 井泉中에는 陽氣가 뭉쳐 있고 外가 收斂하는 까닭에 寒泉이 된 것이니 上六의 收와 孚는 九五의 泉의 收斂하고 陽氣의 뭉쳐 있음을 말한 것이다.

 

上六은 井面의 汲水하는 位에 있어 無喪無得하는 곳이며 大成이라 함은 乾知大始坤作成物의 뜻이니 上六에서 養物不窮의 功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乾坤大成의 象이 된 것이다.

 

胎宮四卦는 陰精이 水와 火를 合하여 된 것인데 水는 就下하는 形質의 象이오 火는 上發하는 天性의 象이다. 이것을 사람의 一身으로써 보면 사람에게도 形質과 天性의 兩面이 있어 形質은 水의 象이 되고 天性은 火의 象이 되니 그러므로 困井의 水에는 主로 形質을 養하는 象을 말한 것이오 革鼎의 火에는 主로 天性을 養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또 이것을 달로써 보면 困井의 水는 달의 陰精이 乾陽의 陽精水를 承受하여 第二世의 陰精을 養하는 象이 되고 革鼎의 火는 달의 陰精이 乾陽의 火氣를 承受하여 第二世의 陽氣를 養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第二世의 달이라 함은 사람과 같이 母體가 子를 生하여 母體와 胎兒가 따로 存在하는 것이 아니라 蠱의 幼虫이 蛹化하여 成蟲으로 飜生함과 같은 것이니 胎宮四卦는 달의 蛹化飜生하는 宮中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大象

木上有水라 함은 樹木에 水液의 上升함이니 이가 井水上行하는 象이며 그러므로 井의 地中水가 上行하는 것은 地中土에 木根과 같은 組織이 있어 木根이 地中水를 吸上함과 같은 것이다.

 

勞는 勞乎坎의 뜻이니 井水는 民을 勞養한다 함이오 相은 도움이니 共同으로 井을 穿하여 서로 돕는다 함이다. 勞民勸相은 國家가 民衆을 勞養하고 民衆相互間에 서로 돕게 한다 함이다.

 

渫은 治井함이다. 九三은 巽乎水而上水하는 界에 있어 泉의 湧出하는 位이다. 困은 九四에 困于金車의 象이 있어 乾陽이 陰中에 掩蔽되고 井九三은 困九四의 反易으로서 乾陽의 水가 外로 出하는 象이있어 可用汲王明이라 한 것이다.

 

井의 初六 九二의 舊 敝는 胎宮의 經水의 濁하고 敗한 象이오 九三 六四의 渫 甃는 經水가 通하여 胎宮이 淨化하는 象이오 九五 上六은 胎宮의 成한 象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풍승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수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화혁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화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뢰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prev | 1 | ··· | 9 | 10 | 11 | 12 | 13 | 14 |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