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대의'에 해당되는 글 202건

  1. 2013.10.02 택화혁 (한장경 역경대의)
  2. 2013.10.02 화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3. 2013.10.02 중뢰진( 한장경 역경대의)
  4. 2013.10.02 중산간 (한장경 역경대의)
  5. 2013.10.02 풍산점 (한장경 역경대의)
  6. 2013.10.02 뇌택귀매 (한장경 역경대의)
  7. 2013.10.02 뇌화풍 (한장경 역경대의)
  8. 2013.10.02 화산려 (한장경 역경대의)
  9. 2013.09.30 중풍손 (한장경 역경대의)
  10. 2013.09.30 중택태 (한장경 역경대의)
  11. 2013.09.30 풍수환 (한장경 역경대의)
  12. 2013.09.30 수택절 (한장경 역경대의)
  13. 2013.09.30 풍택중부 (한장경 역경대의)
  14. 2013.09.30 뇌산소과 (한장경 역경대의)
  15. 2013.09.30 수화기제 (한장경 역경대의)

택화혁 (한장경 역경대의)

|

 

澤火

 

革은 澤地萃에서 變來하여 陰精中에 火를 包하고 陽氣가 뭉치는 象이오 陰精이 火를合한 生長卦이므로 胎宮卦가 된 것이며 三女生長卦로서 兌澤이 있으므로 元亨利貞의 四德이 있으니 下經에 四德이 있는卦는 오직 胎宮의 革一卦이므로 革에는 第二世가 孕胎되어 世代의 變革되는 象이 있는 것이다.

 

革은 兌澤中에 火를 包하고 水火가 沸湯하여 相息하는 象이니 이것을 文王八卦圖에 南의 離에서 西의 兌로 向하는 象으로써 보면 天道가 夏에서 秋로 變하여 鳥獸의 羽毛가 脫落하여 稀革하는 象이 되므로 卦名을 革이라 하니 그러므로 革字는 變革의 뜻으로 되는 것이다 (三女卦의 生長이라 함은 (蹇解와 相對)生長은 陽의 象이므로 陽이 陰體에 附하여 生長한다는 뜻이 된다)

 

또 胎宮의 理로써 보면 胎宮에는 水火가 調和되어 沸湯作用이 行하므로 胎兒의 一身이 皮毛가 없이 革으로되고 오직 首에 毛髮이 있으니 이는 首는 乾象이오 乾은 內部에 陽氣가 뭉치고 外廓이 寒하여 金의 象이 되는 것이므로 首에는 毛髮이 있는 것이니 이는 首는 熱함을 싫어하는 곳인 까닭이오 그 外에 部分的으로 毛髮이 있는 것은 모두 熱함을 싫어하고 寒함을 必要로 하는 곳이며 人體部分의 寒은 井卦의 井寒泉의 作用이다. 動物의 몸이 毛皮에 싸여 있는 것은 動物의 胎宮에는 火氣가 不足하여 沸湯作用이 行치 못하는 까닭이다.

 

已日乃孚라 함은 胎宮의 兌澤中에 太陽의 陽氣를 包하여 陽氣가 뭉쳐서 沸湯作用을 行한다 함이다. 澤火의 卦는 睽와 革으로서 모두 水火의 象이 되는데 睽는 火上水下하여 水火가 不同行하므로 睽가 되는 것이오 革은 水上火下하여 水가 火를 滅하고 火가 水를 涸하여 水火가 相息하므로 革이 되는 것이다. 睽와 革에 모두 二女를 말한 것은 三女의卦에 中女少女가 同居하는 때는 반드시 相睽相息하는 作用이 行하는 것이오 長女中女가 同居하는 때는 家人鼎이 되어 家道가 正하고 和平한 것이다.

 

天地革이라 함은 天時가 夏로부터 秋에 移하여 物이 變化한다 함을 말함이오 四時成이라 함은 秋에 物이 成熟한다 함을 말함이다.

 

革命이라 함은 天命을 變改하는 일이니 生長時運에 있어서는 生長하는 것이 天命이오 成의 時運에 있어서는 成熟하는 것이 天命이라 革卦는 萃卦에서 變來한 것인데 萃卦의 用大牲은 天命을 順하는 象이오 萃卦에서 坤이 終하고 革卦에서 夏로부터 秋하여 次世代로 될 子가 母體內에서 成熟하는 것은 天命의 變改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革에 革命의 象이 있는 것이다.

 

易經의 彖辭에 實際人物을 말한 것은 오직 明夷의 文王 箕子와 革의 湯武이다. 明夷는 地가 太陽의 陽精을 承受하여 胎育하는 象이오 革은 兌澤이 太陽의 陽精을 承受하여 胎育하는 象이니 明夷와 革에 胎宮의 象이 있음을 表하기 爲하여 明夷와 革에 實際人物이 그 속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湯武라 함은 殷國의 湯王과 周國의 武王의 史實에서 나온 것이나 또한 革卦에 湯武의 象이 있으니 湯이라 함은 熱水이니 澤中에 火가 있고 水가 火를 因하여 沸하고 함이 곧 湯의 象이오 武라 함은 用武의 뜻이니 離는 戈兵의 象이오 兌는 金革의 象으로서 戈兵과 金革은 모두 用武의 器이니 이는 武의 象이다. 順乎天而應乎人이라 함은 天命을 順하고 人心에 應한다는 뜻인데 革卦에 天의 天命과 사람의 天性의 象이 있다. 乾彖에 「乾道가 變化하여 各各性命을 正한다」하니 이는 物이 長으로부터 成으로 向하는 秋節이 되면 物이 여물어서 天命과 天性이 天賦한대로 正한다 함이오 天命과 天性이 天賦한대로 正하는 것이 곧 天의 天命을 順하고 人의 天性에 應하는 것이며 革卦는 夏로부터 秋하여 乾道變化하여 各正性命하는 象이 되므로 順乎天而應乎人이라고 한 것이다.

 

時大矣哉 頤卦下

大象에 治歷明時가 있으니 歷은 曆으로서 日月의 行度를 말한 것인데 달이 變革하면 曆이 또한 變改되는 것이니 胎宮은 달의 象이오 革은 變革한다는 뜻으로서 革卦에 달의 變革한다는 뜻이 있으므로 革卦에 治歷明時를 말한 것이다. 또 胎宮二十四爻는 閏日의 數이니 一年의 正日數는 乾坤合策數인 三百六十日이오 閏月의 드는 해의 十三月 總日數는 三百八十四日이므로 三百八十四日에서 正日數三百六十을 除하면 나머지 二十四日은 閏日數가 되는 것이며 易卦爻의 數가 모두 三百八十四爻로서 閏歲의 日數와 相同하니 이는 三百八十四爻中에 父母數인 六十卦 三百六十爻와 子數인 胎宮四卦 二十四爻가 合하여 있는 것이오 前記한 正閏日數의 理로써 보면 子數인 胎宮二十四爻는 閏數로 되는 것이다. 胎宮中의 胎兒는 長成하면 반드시 出産하는 것이오 胎兒가 出産하고 父母가 終하면 거기에는 先天乾坤은 없고 第二世의 后天乾坤이 새로 나오게 되고 后天乾坤에는 胎宮이 없으므로 乾坤正策數 三百六十만이 있어 이것이 一年의 日數로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后天에는 閏日없는 曆이 나오는 것이며 이 曆이 달의 變革하는 象의 革卦에서 나오는 것이다. (占은 天下의 疑를 斷하는 것인데 革에서 曆을 治하여 日月行度를 豫知하고 있으므로 疑가 없어서 占치 아니하는 것이다.)

 

革卦各爻에는 中四爻에 모두 孚가 있으니 (二爻는 已日乃孚) 孚는 陽氣가 뭉쳐서 新生命의 孵化함이라 이는 物의 變革되는 때는 반드시 自體의 內部에 陽氣가 뭉쳐서 孵化한 然後에 그 變革된 生命이 長壽하는 것이오 萬一 他力에 依하여 變革되면 그 生命은 完全치 못한 것이다.

 

九五에 大人虎變이 있으니 虎는 眼에 火光의 發하는 動物이라 革은 달의 陰精에 火光의 發하는 象이므로 陰物인 動物의 眼에 火光이 發하는 虎의 象을 取한 것이오 大人은 形質을 가지고 있으되 心性이 光明을 發하여 事物을 通觀하는 明이 있는 것이므로 또한 大人에 虎의 象을 말한 것이오 革卦의 火는 成의 中心인 九五에서 發하므로 九五에 大人과 虎象이 있는 것이다. 革卦는 萃卦에서 變來한 것이오 履卦에서 萃卦까지가 三十六卦이오 그 中間에 頤卦가 있는데 履에 履虎尾不咥人이 있고 革에 大人虎變이 있고 頤에 虎視眈眈이 있으니 履는 달의 生하는 象의 卦이오 頤는 달의 生長을 極한 象의 卦이오 革은 달의 變革되는 象의 卦이라 이 三卦에 모두 달과 人事를 말한 것은 履卦의 달에는 사람의 씨의 始하는 象이 있고 頤卦의 달에는 眼視의 象이있고 革卦의 달에는 사람의 形質에서 火光의 發하는 象이 있다 하여 달의 長成함을 따라서 사람의 天性에도 長成하는 象이 있다 함을 말한 것이다.

 

大人虎變은 그 文이 炳하니 이는 九五의 陽氣가 스스로 光明을 發함을 象함으로 炳이라 한 것이오 君子豹變은 그文이 蔚하니 이는 上六의 陰精이 陽氣를 受하여 光彩를 發함을 말함인데 君子는 火光의 發함이 없고 마치 草木이 日光을 받아서 光彩를 生함과 같이 火光을 反映하여 光을 發하므로 蔚이라 한 것이다.

 

小人革面이라 함은 小人은 그 心性이 動物의 愚와 같아서 動物과 같이 顔面이 毛皮로된 象인데 小人의 心性이 愚를 變하여 賢明으로 되면 이는 水火의 沸湯作用에 依하여 그 皮毛가 脫落하여 革이 되어 人間性을 가진 人面이 된다 함이다. 이 大人 君子 小人은 모두 달이 變革하여 后天時運으로 넘어가는 때에 사람에도 虎變 豹變 革面과 같은 變化가 일어난다 함을 말한 것이며 革卦에 사람의 身體의 沸湯하는 象이 있으므로 上六의 面位에 革面의 象을 말한 것이다.

 

革鼎은 三女卦이므로 革上爻에 面의 象이 있으니 離는 目의 光明의 象이오 巽은 鼻로서 鼻의 嗅香의 象이오 兌는 口味의 象이니 그러므로 面上에는 三女卦의 象이 있는 것이며 이 三女卦는 또한 花의 象으로 되어 花의 色은 離의 目光의 象이 되고 花의 香은 巽鼻의 嗅臭의 象이 되고 花의 蜜은 兌의 口味의 象이 되어 面上의 目鼻口는 花의 色香蜜과 그 象이 相通하니 그러므로 사람의 面이 和한 것은 花의 開함이오 面의 愁함은 花의 萎함이오 面의 毒함은 花의 腐敗함이다.

 

遯六二에 夏로부터 秋하여 陽의 遯退하는 象이 있으므로 執之用黃牛之革이라 하고 革初九에 또한 南方火가 西方陰中에 包入되는 象이 있으므로 鞏用黃牛之革이라 하니 文王八卦圖의 夏秋의 間에 坤이 있고 坤은 黃牛의 象이오 坤의 胎宮에서 水火가 革하여 胎兒를 胎育하는 作用이 있으므로 이 兩卦에 黃牛之革을 말한 것이다.

 

彖의 已日乃孚는 六二의 已日乃革之이다

 

革言이라 함은 九三의 火의 陽氣가 外에 發宣함이오 三은 一水二火가 相交하여 物의 씨로 됨이오 就는 火就燥의 就로서 火는 炎上하는 象이니 革言三就라 함은 九三에서 陽氣가 發宣하고 水火가 沸湯하여 胎育作用을 行한다 함이다. (水火相息의 卦에 九三은 火의 極이오 上六은 水의 極으로서 兩爻가 相應하는데 內에서 出하면 水火가 相息하여 減하므로 兩爻에 모두 征凶의 象이 있는 것이다)

 

九四는 彖의 革而當의 爻이므로 모두 悔亡의 辭가 있는 것이다. 彖에는 革命이라 하고 九四에는 改命이라 하며 下三爻는 모두 革이라 하고 九四는 改라하고 九五 上六은 變이라 하니 이는 下卦는 夏로부터 秋로 越하는 時이므로 羽毛의 脫落하는 革을 말하고 九四는 上卦 秋의 位에 移하여 革이 이미 成하므로 改라하고 九五上六은 秋時에 새로운 革이 成하여 文이 生하므로 變을 말한 것이다.

 

革卦는 달의 陰精인 兌澤이 太陽의 陽氣를 包하고 陽氣의 뭉친 位에서 光明을 生하는 것이므로 九五에 달의 光明의 象이 있는 것이다. 九五는 陽位陽爻이므로 달의 光明의 象이 되어 大人과 虎를 象하고 上六은 陰位陰爻이므로 달의 陰精의 象이 되어 君子가 豹를 象하니 이는 大人은 離大象의 大人과 같이 日月의 光明을 象하고 君子는 形質이 光을 受하여 光明을 發함을 象하며 虎는 눈에 火光을 發함을 象하고 豹는 虎와 相似하되 그 形이 小하고 文이 圜한 것이므로 虎는 달의 光明을 象하고 豹는 달의 形質의 圜文을 象한 것이다.

 

上六의 革面은 面이 革한 것이므로 巽의 廣顙寡髮의 象이다. 革上六은 兌인데 거기에 巽의 廣顙의 象이 있고 鼎初六은 巽인데 거기에 兌의 妾의 象이 있으니 이는 무슨 까닭인가 하면 革鼎은 三女의 生長卦이오 또한 胎宮生殖卦이라 그 卦序는 水火相息하는 革이 先하고 烹飪하는 鼎이 後하는 것인데 三女卦의 生殖作用은 먼저 巽股에 入한 然後에 離를 過하여 兌澤을 遇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革上六의 革面作用은 巽股中의 離火宮에서 行하여 巽에 廣顙의 象이 있는 것이오 또 巽股에 入하여 離火宮의 兌澤을 遇한 然後에 胎兒의 形質이 成하여 子가 生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鼎初六의 得妾作用은 兌澤에서 行하여 兌에 妾의 象이 있는 것이다.

 

上六은 달의 陰精이오 革이라 함은 皮毛가 脫落하고 草木의 水液이 下降하여 物의 顚倒하는 象이니 陰精의 顚倒는 곧 先天달이 太陽의 뒤로 넘어가면서 表裏의 面이 顚倒하여 從來의 裏面이 地를 向하니 이가 面을 바꾸는 革面의 뜻이오 小人은 陰精의 象이다. 달이 顚倒하여 裏面이 地를 向하면 兌가 顚倒하여 巽이 되니 이가 巽의 廣顙의 뜻이오 姤卦의 巽臀의 象이다.

順以從君은 順은 坤卦의 後順得常의 뜻으로서 달이 太陽의 뒤로 넘어감을 말함이오 從君은 太陽을 따라감이니 坤卦의 後得主의 뜻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수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수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화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뢰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산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화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

 

火風

 

鼎은 地風升에서 變來하여 陰精에서 火氣가 發하여 上升하는 象이오 陰精이 火를 合한 生長卦이므로 胎宮卦가 된 것이다.

 

鼎은 革의 反易이오 人工으로써 鼎을 作하여 革卦의 相息하는 水를 鼎中에 넣고 火를 焚하여 烹湯하는 것이니 井과 鼎은 水火의 器이오 胎宮이 또한 胎兒를 生養하는 水火의 宮이므로 井과 鼎으로써 胎宮卦의 卦名을 삼은 것이다.

 

사람의 胎宮에 水火烹湯作用이 있으므로 사람의 씨의 發生한 달의 속에 또한 水火烹湯作用이 있는 것이니 그러므로 鼎卦는 烹湯作用을 行하는 달의 象이다.

 

鼎卦는 離와 巽으로 되니 이는 目象이오 巽은 木象인데 木字를 쪼개면 爿(장)과 片(편)으로되고 目에 爿片을 合하면 鼎이 되니 그러므로 巽木과 離火로된 卦에 鼎字를 쓰고 彖에는 「鼎은 象이라」한 것이다. 繫辭에 「易에 聖人의 道가 四가 있으니 器를 制하는 者는 그 象을 尙한다」 하니 鼎은 器이라 聖人이 天工을 代行하여 火風卦의 象을 取하여 養人하는 器를 制하니 그것이 곧 鼎이며 또 「易이라 함은 象이라」하니 易은 日月이라는 뜻이오 日月이 곧 象이라 鼎을 象이라고한 것은 鼎에 달의 象이 있음을 表한 것이다.

 

地上動物의 體는 水氣가 勝하여 生食을 主하는데 오직 사람의 體는 水火가 調和되어 있어 不斷히 火氣를 補給하여야 되는 것이므로 사람은 主로 火食을 하니 이가 鼎의 烹飪하는 所以이다.

 

鼎에는 次世代인 子가 生하는 象이 있으므로 始祖神인 上帝를 享하여 始祖와 子孫의 生命의 줄을 連繼시키는 것이며 鼎은 水火烹飪의 器이오 水는 流下하고 火는 炎上하는 것이므로 水火를 烹하는 水火相合한 氣는 一上一下하여 上下圜行의 作用을 行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사람이 神을 享함에는 반드시 水火의 氣로써 上下하여 獻하고 受하고 하며 또 그 水火에 人工으로 된 井水를 汲하고 人工으로 된 飮食을 備하여 人工으로 된 鼎에 넣고 人工으로 된 火를 焚하여 烹飪하면 거기에는 水火의 氣와 人工의 功이 合하여 사람의 誠이 神에게로 올라가는 것이니 이가 飮食으로써 神을 享하는 原理이다. 그러므로 聖人이 水火를 烹하여 上帝를 享하면 天地圜行의 理와 水火의 圜行作用에 依하여 上帝는 그 水火를 大烹하여 사람에게 내려서 聖人과 賢人의 心性을 養하는데 聖人이 上帝를 享할 때에는 誠이 올라가고 上帝가 聖賢을 養할 때에는 神의 作用인 靈이 내려오는 것이다. 巽而耳目聰明이라 함은 巽은 天氣가 下降하여 地를 接함이오 耳目은 水火의 作用이오 聰明은 水火의 烹湯에 依하여 水火가 여물어서 心性의 聰明이 열리는 것이라 天氣가 下降하여 神의 靈이 사람에게 接하면 사람의 聰明이 열려서 聖人도 되고 賢人도 된다 함이다.

 

易理에는 坎水에 血象이 있는데 水中에 火氣를 合한 것이 곧 血이며 革鼎의 本卦인 萃升의 禴은 母體를 犧牲하여 그 血을 神에게 올리는 祭이라 水火의 氣로된 母體의 血로써 上帝를 享하면 上帝는 水火를 大烹하여 地上의 사람에게 神의 靈을 내려서 사람들의 心性을 聰明케 하는 것이니 이가 곧 鼎의 烹享原理이오 이는 또한 母體의 犧牲한 血이 그 子를 聖賢케 하는理이다.

 

巽而耳目聰明을 胎宮의 理로써 보면 胎兒가 胎中에 있을 때에는 耳目이 開치 아니하여 聰明이 閉하는 것이오 母腹을 出하면 耳目이 開하여 이제까지 相見치 못하던 父母의 얼굴을 對面하게 되는 것이니 이가 耳目聰明의 象이다. 長의 時運의 사람은 胎兒의 象이오 革鼎에서 胎兒가 出生하면 后天時運의 사람이 되어 聰明이 열리는 것이오 聰明이 열리면 이제까지 相見치 못하던 始祖神을 靈的으로 對面하게 되는 것이니 이가 胎兒가 母腹을 나와서 父母의 얼굴을 上面하는 理이다.

 

六五는 烹飪의 中心이니 黃은 鼎卦의 母體인 升卦의 坤土象이오 耳는 坎水의 象이오 金은 內部에 胎育되는 乾陽의 象이오 實은 烹飪하는 草木의 果實이니 黃의 土와 耳의 水와 金鉉의 金과 果實의 木과 烹飪의 火는 五行의 象이오 五行은 無形에서 有形의 生하는 理를 말한 것이라 鼎六五는 胎兒의 出生하는 位이오 胎兒의 出生은 無形에서 有形의 生하는 象이므로 六五에 五行을 말하여 無形에서 有形한 新生命의 出生함을 表한 것이다. 鼎에는 四德의 象이 없으나 后天月의 出生하는 卦로서 四德의 理가 있으므로 彖辭에는 六五爻의 位에 卦辭의 元吉亨의 吉字를 除하여 元亨이라 하고 또 六五爻에 利貞을 말하여 合하여 元亨利貞의 四德이 된 것이다.

 

六五에 金鉉이 있고 上九에 玉鉉이 있으니 鉉은 金과 玄으로되고 金은 乾陽의 象이므로 鉉은 天玄한 大空의 뜻이다. 金과 玉이 모두 乾陽의 象인데 金은 自體가 光彩를 發하므로 太陽光明의 象이 되고 玉은 石質로서 光明을 받아서 光彩를 發하므로 달의 象이 되니 金鉉玉鉉은 大空中을 運行하는 日月光明의 뜻이며 鼎上九에서 后天의 달이 太陽의 光明을 받아서 生하고 先天의 乾坤이 節하여 限度한다 함이다. 金과 玉은 또한 革卦의 虎豹와 相照하고 聖과 賢은 革卦의 大人君子와 相照하여 金과 虎는 大人과 聖의 象이 되고 玉과 豹는 君子와 賢의 象이 되는 것이다.

 

九四는 鼎의 中心의 位에 있는데 下로 巽股를 應하여 陽이 陷한 까닭에 烹飪한 飮食을 顚覆한 象이 되는 것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人事로써 말하여 德이 薄하면서 位가 尊하고 知가 小하면서 謀가 大하고 力이 少하면서 任이 重하면 鮮하여 及치 못하는 것이니 그 任을 勝치 못함을 말함이라 하니 鮮이라 함은 德知力의 적다는 뜻이오 鮮不及矣라 함은 德知力이 적어서 位謀任에 勝及치 못한다 함이다. 不及은 곧 悔吝의 吝이다.

 

序卦

胎宮의 事功이 革鼎에서 終하고 胎兒의 生成을 象하는 地道七宮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大象

鼎은 胎宮에서 사람의 出生하는 卦이므로 사람이 世上에 出하여 三才의 位를 正하고 天命을 受하여 凝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趾는 震子의 行止한다는 뜻이오 顚은 大過의 顚과 같이 陽이 陰體에 入하는 것이오 悖는 雷風不相悖의 悖로서 雷風相薄의 뜻이다. 顚趾라 함은 震子가 巽股에 入하여 生하는 象이오 未悖라 함은 震子와 巽股가 相悖치 아니하고 陰이 陽에 順한다 함이다.

 

否는 天地否이오 以從貴는 蹇上六의 以從貴의 뜻이니 利出否는 陰精이 天地否閉의 속에서 出하여 乾陽의 씨를 從하여 受胎함이다. 得妾以其子라 함은 震子가 兌澤中에 入하여 次世代의 子로 된다 함이다.

 

九二의 有實은 六五의 以爲實과 相照하니 六五가 九二의 陽을 應하여 鼎中의 實을 삼는 까닭에 九二에 實이 있는 것이며 胎宮卦는 木象을 取하므로 乾陽의 씨에 實의 象을 取한 것이다.

 

仇는 初六의 象이니 配를 仇라 한다. 胎宮卦의 巽股에는 陽이 陰에 陷하는 象이 있으므로 井九二에는 甕敝漏의 象이 있고 鼎九二에는 我仇有疾의 象이 있는데 井九二는 上에 應함이 없으므로 無與라하고 鼎九二는 上에 得中한 應이 있으므로 終無尤라 한 것이다.

 

九三은 鼎腹烹飪의 位에 있으므로 水火가 沸湯하여 革한다 한 것이며 耳는 坎象이니 鼎中의 水火相息이 곧 鼎耳革이다. 火는 鼎下에서 炎하고 水가 鼎中에서 沸함으로 그 陰陽의 義를 失한다고 한 것이다. 雉는 離火의 象이오 膏는 屯九五의 膏로서 坎水의 象이니 雉膏는 水火烹飪의 象을 말함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4
택화혁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뢰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산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풍산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중뢰진( 한장경 역경대의)

|

 

重雷

 

震艮은 損益의 天施地生에 依하여 胎育되는 것이므로 震에도 震兌의 象이있고 艮에도 艮兌의 象이있다. 地生은 坤元 兌의 象이다.

 

震은 三劃卦로는 다만 震子의 象이 되고 있으나 上震下震의 上下卦로 되는 때는 震子의 動行하는 象이 되어 乾陽으로부터 달에 下施하는 震子의 象이 되니 그러므로 震字에는 雷動과 姙娠의 두 가지 뜻이 있어 天地間의 雷動作用은 또한 萬物의 陰體에 震子를 施하는 交精運動이며 震艮은 文王八卦圖에 動萬物者莫疾乎雷의 震에 當하는 것도 또한 震雷의 動行하는 뜻을 말한 것이다.

 

震來虩虩笑言啞啞(액액)은 同人九五의 先號咷而後笑로서 歸妹의 象이 되어 씨의 生하는 象이오 彖과 初九爻에 特히 後字를 쓴 것은 後笑의 뜻을 表한 것이다. 震來虩虩은 震의 象이오 笑言啞啞은 兌의 象이니 이는 震子와 兌澤의 嘉會함을 말함이오 (虩虩虎象 笑言人象此言人씨自虎씨 變來也) 震卦에 兌澤이 있는 것은 무슨까닭인가 하면 震은 艮과 同宮하여 艮果의 속에 震子가 生하고 震子가 成하여 反易하면 艮身이 되는 것이니 神也者章에 神也者 妙萬物而爲言者也라 한바 이는 乾坤의 神이 六子를 用하여 萬物을 生成하는 象인데 文王八卦圖에는 帝出乎震하여 萬物이 生하고 說言乎兌하여 萬物이 實하고 成言乎艮하여 萬物이 成하니 妙萬物은 帝出乎震이오 爲言은 說言乎兌와 成言乎艮이다.

 

 震艮은 萬物을 生하고 成하고 하는 始終인데 震의 生에서 艮의 成으로 圜行함에는 반드시 震子가 東으로부터 西로 돌아가서 兌澤과 合하여 形質을 生하여 說言하고 兌澤中의 震子가 反易하여 艮果로 되어 形質을 成하여 成言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震艮의 속에는 반드시 兌澤이 있는 것이다. 이 理를 文王八卦圖로써 보면 乾父의 陽器인 東北艮이 東의 震子를 含하고 東南의 巽股를 接하면 艮은 終하고 震子는 巽股를 由하여 南方의 離火宮에 入하여 兌澤을 決하며 震子가 兌澤을 決하면 坎象이 되어 水中에서 生育되고 震子가 反易하여 艮童의 身이 되니 艮童은 第一世의 艮을 繼承한 第二世의 始가되며 이것이 艮의 成終成始의 象이오 艮兌가 后天의 用으로 되는 所以이다.

 

震艮을 달로써 보면 震艮은 胎宮中에서 震子의 자라는 象이오 兌澤은 달의 陰精이니 震子가 달의 胎中에서 자라는 것이 곧 震子와 兌澤의 相合함이다. 虩은 虎威이오 震子를 象함이니 이는 革九五의 虎變과 相照하여 말함이오 啞啞은 雌雄相和하는 笑聲이니 이는 兌口를 象함이며 (震來笑言의 象이 彖辭와 初九爻辭가 同一한 것은 初九가 震子의 象이 되는 까닭이다) 百里라 함은 地의 全面積을 象함이니 自然數는 十에 極하고 地廣의 縱과 橫을 모두 極數의 十으로하면 그 面積이 百이니 그러므로 全地面을 百里라 한 것이며 이는 震子가 本是 上下坤體에 震子가 來하는 象이 되고 있으므로 上下卦를 모두 極數인 十으로하여 平方한 것이다.

 

震은 太陽光明의 下向하여 震雷로 變한 것이라 太陽光明中의 震子가 地에 來施하면 地의 全面이 雷動作用을 受하여 姙娠하는 것이니 이가 震響百里의 象이다 不喪匕(시)鬯은 卦辭에만 있고 彖辭에는 없으니 이는 彖辭의 出可以守宗廟社稷 以爲祭主의 속에 不喪匕鬯의 뜻이 包含되어 있는 것이다 (驚은 敬以直內하는 馬이니 乾陽의 씨의 象이오 懼는 收斂함이다. 遠은 天의 象이오 邇는 地의 象이니 乾陽의 씨인 震子가 天에서 驚來하면 地가 承受하여 收斂한다 함이다)

 

匕는 匙이오 鬯은 香草이니 匕鬯이라 함은 匙로써 香草인 鬯과 秬를 合하여 香酒를 釀造하여 神에게 祭한다는 뜻이라 易理에 子孫을 生하는 일과 神을 祭하는 일은 生命의 줄을 連繼하는 同一한 일이므로 震子의 生하는 震卦에 祖上을 祭하는 象이 있는 것이며 또 震艮은 神也者妙萬物而爲言의 卦로서 震子의 出生과 兌澤의 說言과 艮童의 成言은 모두 乾坤의 神의 作用이므로 乾坤神의 象을 表하기 爲하여 匕鬯과 宗廟社稷의 象을 말한 것이다.

 

六二는 震子를 包하고 있는 달의 陰精의 位인데 陰이 陽을 乘한 象이 되어 스스로 昏暗하므로 달의 光明을 喪한 것이니 喪貝라 함은 貝의 珠胎는 與月盈虧 月虧則珠胎亦虧 喪貝者 珠胎之虧也 以乘剛昏暗 爲月虧之象也 七日은 달의 光明의 象이다. 달의 陰精인 兌澤은 生殖作用에 盈虛하는 時가 있으므로 지금에는 비록 달의 光明을 喪하고 있으나 時가 到來하면 스스로 得하게 되는 것이며 이가 勿逐七日得의 뜻이다.(貝는 兩殼의 偶形中에 陽이 生하고 있음을 象함이다.)

 

六五의 無喪은 彖의 不喪匕鬯의 뜻이니 震子가 반드시 生하여 달의 光明을 得함을 말함이오 有事라 함은 變通함이 있다 함이니 生의 中心에서 喪하였으되 그것이 成의 中心에서 變通되어 七日을 得하는 時機가 있다 함을 말함이다.

 

序卦

胎宮은 后天의 여무는 달을 胎育하는 곳이오 后天의 달은 艮兌가 여물어서 組織되는 것인데 艮兌는 震子가 兌澤을 合하면서 反易하여 艮身이 되어 여무는 것이니 그러므로 震이 胎宮에 次하는 것이다.

 

震艮以後는 坤道七宮으로서 胎宮에서 第二世의 달의 長成하는 宮이 되는데 乾坤은 이미 終하여 神이 되고 文王八卦圖의 六子의 位를 順行하는 것이다. 胎宮以前의 地道五宮은 母體로서본 后天의 여무는 달의 孕胎의 象이오 地道七宮은 胎兒로서본 后天의 여무는 달의 孕胎의 象이다.

 

震艮 = 動萬物者莫疾乎雷

漸歸妹 = 橈萬物者 莫疾乎風 = 收斂卦

豊旅 = 燥萬物者 莫熯乎火 = 收斂卦

巽兌 = 說萬物者 莫說乎澤

渙節 = 潤萬物者 莫潤乎水 = 收斂卦

中孚小過 = 終萬物始萬物者 莫盛乎艮 = 收斂卦

旣濟未濟 = 能變化 旣成萬物

 

易卦의 收斂卦中 三陰三陽의 陰陽調和된 收斂卦 八卦가 모두 地道七宮에서 巽兌를 中心으로하여 一處에 總集하니 이는 胎兒의 成하는 宮인 까닭이오 第二世의 달은 여기에서 成하는 것이다.

 

大象

震은 神의 威의 象이다. 恐과 懼는 受動하여 스스로 收斂함이오 修와 省은 警飭하여 스스로 察視함이니 사람은 神의 威嚴함을 알아야 한다 함이다.

 

躋는 足과 齊로 되어 足은 震象이오 齊는 齊乎巽의 巽象이니 文王八卦圖는 震이 東에서 西로 圜行하여 兌를 遇하는 것이므로 震子가 圜行하여 東南의 巽에 行하는 것이 곧 躋이다.

蘇는 死하여 다시 生함이오 蘇蘇는 雷의 生滅함을 象한 것이다. 六三이 上下卦의 洊雷의 界에 있으므로 蘇蘇라 한 것이다. 二震字는, 上의 震蘇蘇는 雷의 震이오 下의 震行은 姙娠의 震이니 이는 卦辭의 上文의 震來는 雷이오 下文의 震驚은 姙娠임과 같은 것이다.

 

泥는 水가 土를 和함이니 震遂泥는 震子가 坤의 水土와 合하여 있으되 光明이 없다 함이다.

索은 雷의 往來相交함이니 六子의 一索 再索 三索의 索이오 索索은 陰陽絪縕의 象이다. 矍은 鳥가 脫走하고자 하여 左右를 驚顧함이니 矍矍은 震子가 內에서 脫出하려는 象이다. 震索索의 上震은 雷의 震이오 震不于其躬의 下震은 姙娠의 震이다. 其躬은 上六의 位이오 其鄰은 陰陽의 鄰이니 곧 兌이다. 震之虩虩과 兌之啞啞은 上六에서 行하는 것이 아니라 震이 兌에 圜行하여 行하는 것이니 이가 곧 不于其躬于其鄰이다. 婚姻有言은 震兌가 上六에서 相婚하면 陽氣의 發宣함이 있다 함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화혁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화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산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풍산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택귀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중산간 (한장경 역경대의)

|

重山

 

艮은 震子가 胎宮에서 發育하면서 反易하여 胎兒로 되는 象이니 胎兒는 또한 草木의 果의 象이다. 艮은 地上의 一陽이 山頂으로 되어 天을 接하고 二陰이 下體로 되어 兩麓을 列하고 있으니 이것은 山의 象인데 山은 上峰으로부터 行하여 또 峰을 이루고 그峰이 또 行하여 다시 峰을 이루고하는 것은 山의 行하는 象이니 이는 山이 止하면서 또한 行함이라 그러므로 艮에는 時止則止하고 時行則行하는 象이 있는 것이오 果가 生할 때에 生하고 여물 때에 여물고 하는 것도 또한 時止時行의 象이다. 艮에 成終成始의 象이 있는 것은 果를 因함이니 木의 幹枝는 生滅이있어 生한 者가 死하고 長한 者가 消하고 하되 오직 果는 世傳하여 그치지 아니하고 지금의 存在하는 果는 天地開闢初부터 傳來하는 者이니 이는 天의 運行은 恒久不已하고 艮도 上劃의 一陽이 天을 接한 象이 되는 까닭에 艮果는 成終成始하면서 永遠히 世傳하는 것이다.

 

艮字는 果의 半字이니 長의 時運에 艮兌二少는 아직 未成하므로 艮兌咸夬가 모두 半字를 쓴 것이며 艮이 成熟하면 萬物을 終하고 萬物을 始하고 하는 果가 되는 것이다.

 

艮山은 萬物의 體로서 그 性이 止하여 背의 作用을 行하고 있다. 사람 一身의 上下前後의 頭脚腹背中에서 頭脚腹은 홀로 運動하되 오직 背는 止하여 홀로 運動치 못하니 易象의 三顯一藏의 理로써 보면 頭脚腹은 三顯의 位이오 背는 一藏의 位이다. 人身內部의 主要器官은 모두 背에 附着하여 一身의 生理를 主管하여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하는 것이니 艮은 背의 作用을 行하므로 時止時行하여 萬物의 成終成始하는 作用을 行하고 있는 것이며 其道光明이라 함은 艮은 달의 體가되고 上의 一陽이 天을 接하여 天으로 더불어 一陰一陽하여 光明을 發하고 있음을 말함이다.

 

上下敵應不相與라 함은 上下에 陰과 陰 陽과 陽이 서로 對敵하면서 相與치 아니한다 함이다. 八原卦는 모두 陰陽의 相與가 없는데 오직 艮에만 敵應不與의 象을 말한 것은 乾坤은 陽物과 陰物을 表示함이니 本是 純陽純陰으로 되어 있는 것이오 雷風水火澤은 모두 動하고 있어 서로 應與하는 機가 있는 것이로되 홀로 艮山은 止하여 動치 아니하므로 敵應하여 相與치 아니한다 함이다. 그러나 이 敵應不相與가 바로 胎宮의 不獲其身不見其人의 生理가 되는 것이다.

 

胎宮의 胎兒는 兌澤中에 止하여 獨自한 行動이 없고 서로 對敵하되 그 身을 私有치 못하니 이가 그 身을 獲치 못함이다. 庭은 宮中地로서 兌澤의 象이니 胎兒가 兌澤中에서 發育하고 있는 것이 곧 行其庭의 象이오 其人이라 함은 艮身과 함께 사람의 形質을 이루고 있는 兌澤을 象함이라 胎兒가 兌澤中에 行하고 있으되 그것이 사람의 形質임을 見치 못하니 이가 그 庭을 行하되 그 人을 見치 못함이다. 胎兒인 艮身은 自身도 私有치 못하고 兌澤의 人임도 見치 못하면서 艮兌가 서로 合體하여 長成하고 있으니 이는 人力의 所加가 아니라 神이 震에서 妙萬物하고 艮兌에서 爲言하고 하는 作用에 依하여 生成하고 있는 것이다.

 

六五는 成의 中心으로서 神의 妙萬物而爲言의 位이므로 言有序의 象이 있는 것이니 言有序라 함은 兌의 說言과 艮의 成言의 序로서 곧 艮兌의 體의 生成하는 序이다.

 

長의 時運에는 艮兌가 幼少하여 言語를 用치 못하였는데 地道七宮은 長의 時運의 成의 時期에 當하여 震子가 胎宮에서 形質을 成하니 形質은 곧 山澤이며 乾坤父母의 神은 萬物을 妙하게 하여 그 形質을 成하고 艮兌二少를 여물게 하여 言語의 說言과 文字의 成言을 發하게 하니 이가 言有序의 뜻이다.

 

九三은 艮의 中心一陽의 位로서 上下敵應의 限界에 있으므로 艮其限이라 한 것이다. 列은 陰陽의 位序이오 夤은 夕과 寅으로 되어 夕은 西方 日終의 뜻으로서 兌를 象함이오 寅은 東方陽氣의 上出하는 뜻으로서 震을 象함이니 列其夤이라 함은 九三의 限을 中心으로하여 震과 兌가 列하고 있다 함이다. 薰은 炎炎히 灼함이오 心은 陰體中을 出入하는 陽氣이니 九三은 震兌相列하는 地의 重陰中에서 接天하는 陽이 있어 地의 中心의 薰灼하는 象이 되고 地의 中心에 薰灼하는 作用이 있으므로 그 氣가 宣出하여 山이 되는 것이며 艮은 달의 體이므로 달의 中心에도 또한 地中과 같이 薰灼하는 作用이 있어 陽氣를 宣出하는 것이다.

 

序卦

震은 胎宮에 入胎되는 震子의 象이오 艮은 震子가 反易하여 人身이 되는 象이니 그러므로 艮이 震에 次하는 것인데 震艮은 原卦이므로 달에서 震艮이 第二世를 生한 것이 아니라 震子와 艮身이 第二世로 되는 象을 말한 것이다.

 

大象

兼山이라 함은 山의 重疊함이니 山은 各各 그 자리에 止하여 分하지도 아니하고 合하지도 아니하므로 兼의 象이 된 것이다. 山은 各各 그 자리에 止하여 物의 生生의 功을 이루고 있음과 같이 사람도 各各 그 자리가 있어 父子의 자리에서는 父子의 道를 行하고 夫婦의 자리에서는 夫婦의 道를 行하고 官民의 자리에서는 官民의 道를 行하고 人類의 자리에서는 人類의 道를 行하여 各各그 本職을 守하는 것이니 이가 思想이 그 位를 出치 아니함이다.

 

敦은 瓜가 蔓에 繫함이니 艮의 果蓏의 象이다. 繫辭에 安土敦乎仁이라 艮果가 結하여 子仁이 生한 것이 곧 敦艮의 象이오 이가 成始하여 成의 時運의 主가 되는 것이다.

 

艮의 諸爻는 震子의 形化組織을 人身으로써 象한 것이니 그러므로 人身의 組織은 咸卦와 같이 初拇 二腓 三股 四心 五脢 上輔로 되어 있는데 艮卦의 組織은 初趾 二腓 三心 四身 五輔 上敦으로 되어(六四의 躬은 自己自身이다) 咸보다 股의 位가 없고 敦의 位가 더 있으니 股는 一定한 時에 達한 然後에 用하는 것이므로 震子의 構造에 股가 나타나지 아니하는 것이며 敦은 臨上의 敦臨 復五의 敦復과 같이 씨를 庇護하는 果實이므로 震子의 組織에는 그것을 厚終하는 敦이 있는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풍정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뢰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풍산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택귀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화풍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풍산점 (한장경 역경대의)

|

 

風山

 

漸은 歸妹와 同宮하여 天地日月의 變形한 雷風山澤의 陰陽相交하는 收斂卦로서 艮陽과 巽陰이 相交하여 艮陽의 主爻九三과 巽陰의 主爻六四가 三四의 人位에서 相接하므로 男女婚姻의 象이 되는 것이오 文王八卦圖의 「橈萬物者 莫橈乎風」의 巽에 當하니 橈라 함은 大過卦의 棟橈와 같이 震子가 顚倒하여 巽股의 陰精中에 入하는 象이므로 漸卦에는 震子가 巽股中에 入하여 孕胎되는 象이 있어 爻辭에 孕育의 辭가 있는 것이다.

 

天地의 相交함에는 陽精水가 下施되는 것이므로 卦象에 水의 象이 없으되 또한 水의 字로써 表示하는 것이니 天地交의 泰가 大水로 되고 天施地生의 益이 溢水로 되고 女歸의 漸이 浸漸의 水로 되고 한 것이 모두 그러한 것이다.

 

天地에는 尊卑의 秩序가 있으므로 天地否卦의 속에는 互卦風山漸이 있어 天風山地의 等位로 되니 이가 곧 天地의 秩序이며 風山漸은 天地의 中間인 人居하는 位의 秩序로 되니 그러므로 水의 浸漸하는 뜻과 秩序의 漸進하는 뜻을 取하여 卦名을 漸이라 한 것이다.

 

天風山地의 上下秩序는 萃聚 感應 恒久 正大의 四情의 順序로 되는데 天地間의 風과 山은 感應과 恒久의 情이 되니 感應은 咸卦의 夫婦의 道이오 恒久는 恒卦의 夫婦恒久의 道이라 그러므로 漸卦에 夫婦의 道와 漸進하는 夫婦恒久의 道가 있는 것이다.

漸之進이라 함은 之는 草가 地上에 出하여 枝莖이 益大하여 上行한다는 뜻이므로 之進은 草木의 漸長함을 말함이니 漸卦가 山上에 木이있어 草木의 漸長하는 象이 되므로 之進이라 한 것이다. (中四爻가 모두 陽이 陽位에 있고 陰이 陰位에 있어 進以正의 象이 되므로 正邦이라 한 것이다)

 

六爻에는 모두 鴻의 象을 取하니 鴻은 水鳥로서 時候의 寒暑를 隨하여 移動하고 水邊으로부터 高陵에 이르기까지 居치 아니하는 데가 없고 또 鴻은 夫婦의 義를 尊重하여 夫婦和合의 象이 되고 그 飛行함이 極히 整列하여 秩序가 있으니 漸卦는 水가 浸漸하고 男女의 婚姻에 時期가 있고 夫婦가 秩序를 尊重하고 하는 象이 있으므로 鴻의 象을 取한 것인데 거기에 또 한가지 理가 있으니 漸은 后天胎兒의 孕胎되는 象이라 易理에 先天時運의 蠱의 幼虫이 長成하면 后天時運에는 飜生하여 飛鳥의 象이 되는 것인데 漸에는 后天飜生하는 飛鳥를 孕胎하는 象이 있으므로 隨候往來하는 水鳥인 鴻을 取하여 雌雄相交하는 뜻을 말한 것이다.

鴻의 漸進하는 地는 干磐陸木陵陸의 順으로 되니 이는 人居하는 風山의 境域을 말함이며 六三의 陸은 海陸이라는 陸이오 上九의 陸(규)은 土塊가 坴坴하여 土性의 强粱한 高燥의 地라는 뜻이다.

 

九五는 陽爻이로되 女婦卦인 까닭에 婦의 象이 되고 陽配가 없는 까닭에 孕胎치 못하는 象이나 文王八卦圖에 風山이 地를 夾하고 있으므로 動不窮의 象이 되어 마침내 震子가 자라는 것이며 莫之勝이라 함은 之는 草木의 長大한다는 뜻이라 六五는 后天月의 入胎되는 中心이므로 草木의 長大함을 勝할 이가 없어서 마침내 震子를 孕胎한다 함이다.

 

六四는 彖의 進得位往有功이니 巽陰이 艮陽을 承受하는 位이오 上卦巽의 六四는 天空中에서 달의 行하는 位이며 順以巽은 觀卦의 神道의 뜻이니 男女가 婚姻하여 子息을 孕胎하는 것은 神道이므로 女歸卦의 巽陰에 神道를 말한 것이오 또한 달에 鬼神이 依附한다는 理에 依한 것이다.

 

九三은 艮陽이 六四의 巽股를 接하므로 陽陷의 象이 되어 夫征不復이라 한 것이오 陽이 陷하여 一陰一陽하는 道를 失한 까닭에 婦孕不育이라 한 것이다 復은 震子의 來反이오 群은 陰의 象이오 離는 兩者가 麗함이오 醜는 男女의 相交함이다.

 

序卦

震艮은 胎兒의 象이오 漸은 男女가 婚嫁하여 第二世를 孕胎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漸이 艮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居는 木이 山에 根着하는 象이다. 賢과 善이 모두 仁의 象인데 賢이라 함은 仁으로써 自體를 修함을 말함이오 善이라 함은 仁으로써 世에 施用함을 말함이니 그러므로 德에는 賢을 말하고 俗에는 善을 말한 것이다.

 

賢德은 山을 象하고 善俗은 木의 長함을 象한 것인데 漸의 收斂卦에 木長의 象이 있는 것은 이것을 蠱와 漸으로써 比較하여 보건대 蠱는 生長卦로서 巽木上에 艮果가 있으니 이는 木이 生長하여 次世代의 果를 結하는 象이오 漸은 收斂卦로서 艮果上에 巽木이 있으니 이는 果가 收斂하고 거기에서 次世代의 木이 生하는 象이다. 漸은 木長卦이므로 果實의 子仁을 말하지 아니하고 仁의 作用인 賢과 善을 말한 것이다.

 

干은 水涯이니 天地秩序인 天風山地의 밑바닥에는 반드시 水가 있는 것이므로 山下에는 水가 있어 初六에 干을 말한 것이다. 小子는 陰中에 있는 震子이니 漸의 艮巽이 震을 夾하므로 初六에 震子를 말한 것이오 이는 蠱初六의 子와 同一한 理이다. 震子는 陰中에 있으되 之進의 卦이므로 陽氣가 內로부터 外에 發宣하여 有言의 象이 된 것이다.

磐은 넓게 펴진 大石이다.

 

陸은 高平한 地이다. 九三은 艮男이 巽股에 陷한 것인데 坤初六에 其所由來者漸이라 함은 漸九三의 夫征不復의 象을 말함이다.

爻辭에는 利禦寇라하고 小象에는 利用禦寇順相保也라 함은 蒙上六爻辭에 利禦寇라하고 小象에 利用禦寇上下順也라 함과 그 辭가 相似하니 禦寇라 함은 陰의 陷陽함을 防함인데 利用禦寇라 함은 神道를 用하여 寇를 禦함을 말함이니 蒙六五의 順以巽과 漸六四의 順以巽이 모두 神道이므로 漸九三의 順相保와 蒙上九의 上下順의 順이 또한 모두 神道이다.

 

六四는 山上木의 位이므로 漸于木이라 한 것이다. 桷은 木과 角으로되고 角은 頭上에서 陰이 盛하여 陽의 硬化한 者이니 九三의 艮首의 陽이 陰中에 硬化한 것이 곧 角이니 得桷은 六四의 木이 艮陽을 得함을 말함이다.

 

羽는 鴻의 飛함이 秩序가 있음을 象함이오 儀는 兩儀의 儀로서 陰陽의 義를 象함이니 漸은 風山의 自然秩序卦이므로 그 飛함이 秩序가 있어 陰陽이 和合한다 하여 其羽可用爲儀라 한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뢰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산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택귀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화풍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화산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And

뇌택귀매 (한장경 역경대의)

|

 

歸妹 雷澤

 

歸妹者 震兌之收斂 乃씨之組織也 隨爲씨之發育也

 

歸妹는 漸과 同居하여 天地日月의 變形한 雷風山澤의 陰陽相交하는 收斂卦로서 震陽과 兌陰이 相交하여 震陽의 主爻 九四와 兌陰의 主爻 六三이 人位에서 相接하므로 男女婚姻의 象이 되는 것이다. 歸妹는 兌少女가 震長男에게 歸하여 泰六五의 帝乙歸妹와 같이 달이 陽光을 受하는 象이 되므로 卦名을 歸妹라 한 것이오 兌女를 震男에서 歸妹시킨 것은 女의 得主의 象이 되어 달이 太陽에게로 歸함과 같으니 그러므로 歸妹에 月幾望의 象이 있는 것이다.

 

天地之大義는 家人과 歸妹에 있는데 陽이 陰中에 入하여 收斂하여 義가 和하고 하는 때에 天地의 大義가 되는 것이니 歸妹는 收斂卦로서 兌女를 震男에게 歸嫁시켜 씨의 組織의 象이 되므로(六五爻) 天地의 大義라 한 것이다.

 

男女相交의 象이 없으므로 四爻는 天地不交가되고 萬物은 光明하면 興하고 昏暗하면 興치 못하는 것인데 歸妹는 上下卦의 爻가 모두 陰이 陽을 乘하여 昏暗하므로 萬物이 興치 못하는 것이다. 萬物의 씨는 모두 震子와 兌澤으로써 構成되어 收斂한 것인데 歸妹는 震兌의 收斂卦이므로 씨의 象이 되니 同人卦의 先號咷而後笑는 사람의 씨인 歸妹卦를 말함이다. 文王八卦圖의 四維卦는 泰 蠱 大畜및 升인데 모두 歸妹를 互하니 歸妹는 天地의 속에 日月의 作用이 行하여 달의 씨가 生하는 象이오 이 四維卦가 모두 歸妹를 互한 것은 文王八卦圖는 長의 時運을 象한 것인데 長의 時運의 天地의 속에서 成의 時運으로 넘어가는 后天의 달의 씨가 生한다 함을 象한 것이다.

 

興이라 함은 物이 光明을 受하여 興起한다는 뜻이니 萬物은 一日中에는 朝에 興하고 一年中에는 春에 興하는 것이라 歸妹의 兌는 日入方이오 震은 日出方이므로 夕으로부터 朝하여 그 中間에 夜가 있고 秋로부터 春하여 그 中間에 冬이 있으니 夜와 冬은 萬物의 興起치 아니하는 時이므로 不興이라 한 것이다. 夜는 日의 終함이오 冬은 歲의 終함이니 그러므로 下卦 兌는 終의 象이 되는 것이며 朝는 日의 始이오 春은 歲의 始이므로 上卦震은 始의 象이 되는 것인데 歸妹는 婚嫁의 卦로서 사람의 象이 되고 또 兌의 主爻六三과 震의 主爻九四가 모두 사람의 位로서 거기에 兌終震始의 象이 있으므로 歸妹를 사람의 終始라 한 것이다. 이 終始의 理를 六子의 象으로써 보면 六子의 生함은 震에서 始하고 兌에서 終하는데 歸妹는 下卦兌의 人位에서 終하고 上卦震의 人位에서 始하므로 또한 人의 終始의 象이 되는 것이다. (人之終始는 九二爻이니 故有幽人之辭也)

 

終始의 象을 序卦로써 보면 乾으로부터 歸妹까지는 五十數이오 五十은 大衍數로서 陽의 推衍의 極數이라 乾에서 大明이 終始하여 日月의 終始하는 象이 있고 歸妹가 또한 乾元坤元이 收斂相合하여 달이 陽光을 받는 象으로서 兌로부터 震하여 終始하는 象이 있으니 이는 곧 달의 終始하는 象으로서 先天의 生長하는 달이 終하고 后天의 成하는 달이 始하는 것이며 六十四卦中에는 歸妹卦에 先後天의 달의 終始하는 象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六五爻에 先天月과 后天月을 말한 것이다.

 

사람은 달에서 生하여 사람과 달의 生理가 相似하므로 달의 終始는 또한 사람의 終始가 되는 것이며 女體가 大體로 五十歲에 月經의 行함이 終하는 것도 또한 大衍數의 五十에서 사람이 終始하는 理에 依한 것이니 그러므로 雜卦에는 歸妹는 女의 終함이라 한 것이다.

 

六五에 帝乙歸妹의 象이 있고 初九와 九二에는 履卦의 跛能履眇能視의 象이 있다. 帝乙歸妹는 泰卦의 乾陽이 先하고 坤陰이 後하여 달의 後得主하는 象이니 이는 歸妹의 六五와 九二의 象으로서 九二의 陽이 先하고 六五의 陰이 後하므로 달의 後得主의 象이 되어 月幾望의 象이 있는 것이오 跛能履眇能視는 履卦의 六三의 陰精이 先하고 乾陽이 後하여 달의 先迷의 象이니 (娣=동서제) 이는 歸妹의 下卦兌陰의 象으로서 兌陰이 先하고 震陽이 後하므로 달의 先迷의 象이 되어 跛와 眇의 象이 있는 것이다. 歸妹는 六五와 九二爻로써 보면 後得主의 象이 되고 上下卦로써 보면 先迷의 象이 되니 이는 歸妹가 달의 先后天變化하는 過程에 있으므로 先迷와 後得主의 兩象이 있는 것이다.

 

袂는 乾衣의 決한 것으로서 乾의 上劃이 缺한 兌의 象이니 달의 陰精을 象함이오 其君의 袂는 乾君과 兌袂를 合한 天澤履의 달이오 其娣의 袂는 兌妹巽娣의 理에 依하여 巽娣와 兌妹를 合한 風澤中孚의 달이니 履의 달은 生의 時運에 生한 달이오 中孚의 달은 后天의 成의 時運으로 넘어가기 爲하여 中宮에서 合朔하는 달이오 艮은 乾陽의 具全한 象이니 이는 生의 時運의 履의 달은 成의 時運의 中孚의 달의 圓全한 것만 같지 못하다 함이오 歸妹는 胎宮에서 第二世의 달의 入胎되는 卦이므로 歸妹에 先天后天의 달을 比較하여 말한 것이다. 娣를 巽이라 하는 것은 初九에 歸妹以娣以恒也라하니 恒은 雷風의 合이라 娣를 震에 歸嫁시켜서 雷風恒이 되는 것이므로 娣는 巽의 象이 되는 것이다.

 

歸妹는 文王八卦圖의 巽에 當하므로 上卦震이 兌妹를 遇함에는 반드시 巽陰中에 入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初九에 歸妹하기를 巽娣로써 하는 象이 있는 것이다. 跛能履眇能視는 履卦 六三의 象인데 履와 歸妹를 比較하건대 履는 兌澤이 乾陽을 應하고 光明을 受하는 것이므로 天空中을 行하는 달이 된 것이오 歸妹는 兌澤이 乾陽中의 震子에 歸하는데 地道七宮에는 乾이 終하고 震이 始하는 것이므로 이는 先天月이 終하고 后天月이 始하는 象이며 履는 달의 始生하는 象이므로 六三의 陰精에 眇能視跛能履의 象이 있고 歸妹는 已生한 달에서 第二世의 달이 生하는 것이므로 陽爻에 光明의 象이 있어 初九의 陽에 運行이 있어 跛能履가되고 九二의 陽에 光明이 있어 眇能視가 된 것이다.

 

 

序卦

漸은 夫婦가 婚嫁하여 第二世의 孕胎되는 象이오 歸妹는 孕胎되는 씨의 象이니 그러므로 歸妹가 漸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永終은 그 終을 永久히 하여 窮치 아니함이오 知敝는 物이 舊하면 敝한다 함을 知함이니 이는 歸妹에 先天달의 蔽하는 象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愆期는 時期를 過한다 함이다. 九四는 震의 始生하는 位이니 一日로는 夕에서 朝하는 사이이오 一年으로는 秋에서 春하는 사이이므로 아직 光明이 生치 아니하여 婚姻의 象이 없는 것이다. 遲歸有時라 함은 歸하는 時期가 遲하되 또한 그 時가 있다 함이니 이는 時를 待하여 行함을 말함이다.

 

上六은 歸妹의 終爻이므로 女之終이 되는 것이다. 女는 震子에 歸하는 兌妹이오 士는 成人한 震子이며 筐은 竹器로서 震의 蒼筤竹의 象이오 羊은 兌妹의 象이다. 女承筐無實이라 함은 兌妹가 震士를 承하되 震에 果實이 없다 함이니 이는 震의 生殖이 終함이오 士刲羊無血이라 함은 震이 兌를 決하되 兌에 經血이 없다 함이니 이는 兌의 生殖이 終함이다.

小象에 女承筐의 象만을 말하여 承虛筐이라 한 것은 歸妹는 女歸卦이오 上六이 陰位陰爻이므로 女의 承陽하는 象만을 取하여 震에 實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歸妹者 文王八卦圖之四維卦之互也 歸妹等四正卦之互 乃水火旣濟也 四維地天之中有四正 火水此地天之間日月運行也 四維地天之互爲雷澤(乾元坤元)之歸妹 四正火水之互 爲水火(水火相息之革)之旣濟 此乃文王八卦圖者 乾元坤元相交 爲씨而因胎宮水火革之作用 日月變化爲后天之象也

 

歸妹는 文王圖互旣濟이니 上爻陰下爻陽 故陰陽相交而成胎兒之形之象也 歸妹未濟二卦以胎兒言也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산간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풍산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화풍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화산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풍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And

뇌화풍 (한장경 역경대의)

|

 

雷火

 

豊은 雷火의 收斂卦이니 雷에는 炎上하는 火가 上劃이 陰으로變하면서 下向하여 雷로 되는 象이 있는데 豐卦는 重離卦의 上劃이 陰으로 變하여 上卦의 火가 下向하면서 雷火로 된 象이니 이는 下向하는 火의 震子가 離火宮에 入하는 象이다. 火가 下向하여 離火宮에 入하는 것은 太陽의 光明속의 震子가 달의 陰精에 入하는 것이오 震子가 離火宮에 入함에는 반드시 雷電雨下의 作用이 起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豊에 雷電雨下의 作用이 있으며 雷電雨下의 作用을 人事로써 보면 男體의 陽精水가 陰體의 陰宮에 入하는 象이다.

 

豊旅는 文王八卦圖의 燥萬物者莫熯乎火의 離에 當하므로 日光의 下向하는 豊에는 日中의 象이 있고 燥와 熯은 日光이 天下를 照하는 象이 되며 王假之는 乾陽이 달의 陰精에 來하여 假居하는 象이다.

 

豊에는 日光이 下向하여 日中하는 象이 있는데 그 日光이 달의 陰精의 속에 入하므로 昏暗의 象이 되니 이는 日이 中하여 昃하고 달이 盈하여 食하는 象이다. 天地의 盈虛도 時로 더불어 消하고 息하고 하므로 乾陽이 달에 假來하여 달이 變할 때에는 달은 사람의 씨의 發源地인 까닭에 사람도 終하고 始하고 하는 變化가 있는 것이니 이가 况於人乎의 뜻이오 사람이 終하고 始하고 할 때에는 사람이 死하여 鬼神이 되기도 하고 鬼神이 사람으로 生하기도하여 달에서 鬼神의 變化作用이 行하는 것이니 이가 況於鬼神乎의 뜻이다.

 

豊에 上卦離의 上爻陽이 陰으로 變하는 象을 取한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면 火가 變하는 때에는 炎上하는 火가 下向하여 雷로 되는 것이오 水가 變하는 때에는 流下하는 水가 上行하여 澤으로 되는 것이라 六劃卦에서 炎上하는 重離火가 下向하는 象은 오직 豐卦이오 流下하는 重坎水가 上行하는 것은 오직 節卦이니 그러므로 豊과 節에 水火의 變化하는 象이있고 이 水火의 變化作用으로써 胎兒를 生育하는 것이니 이 胎兒는 곤 后天의 달이다.

 

豊字는 豆器이니 飮食器의 豊滿하다는 뜻이다. 離火宮이 雷電雨下하는 陽精水를 承受하는 것은 豆器에 豊滿한 飮食을 盛함과 같으므로 豊字를 쓴 것이오 乾陽이 假來한 것이므로 乾의 大를 象하여 豊은 大하다고 한 것이다.

 

繫辭에 仰以觀於天文 俯以察於地理 是故知幽明之故 原始反終 故知死生之說 精氣爲物 游魂爲變 是故 知鬼神之情狀이라 하니 日月이 運行하여 晝夜를 生하는 幽明의 故는 豐卦의 天地의 消息함이오 始하고 終하고 하는 死生의 說은 豐卦의 사람의 消息함이오 物과 魂의 變化하는 鬼神의 情狀은 豐卦의 鬼神의 消息함이니 이는 사람과 鬼神의 消息함이 모두 日月의 幽明을 因하여 行하고 있음을 말한 것이다.

 

生의 時運이 長의 時運으로 變할 때에 謙卦에 天道下濟地道上行하여 天道 地道 鬼神 人道의 謙盈의 象이 있고 長의 時運이 成의 時運으로 變할 때에 豐卦에 日中則昃 月盈則食하여 天地人鬼神의 盈虛의 象이 있으니 이는 時運의 變하는 때에는 반드시 天地의 變化가 있고 天地의 變化를 因하여 사람과 鬼神에도 變化가 生하는 까닭이다.

 

六五는 天의 日中의 位이오 王假하는 位이며 章은 雷電의 合而章함이니 來章이라 함은 王이 假居하고 雷電作用에 依하여 陰精이 陽精水를 受한다 함이다.

 

豊의 日昃月食은 上六의 陽이 陰으로 變한 象으로서 上六에 明夷의 明傷의 象이 있으니 그러므로 豊上六의 天際翔은 明夷上六의 初登于天의 뜻이오 豊上六의 自藏은 明夷上六의 後入于地의 뜻이다. 豊九四에는 遇其夷主의 象이 있으니 明夷六四의 陰이 陽을 得하여 豊九四가 된 것이므로 여기에 또한 豊과 明夷와의 關聯性을 말한 것이다. 豊의 王假는 家人의 王假有家와 같이 乾陽의 生殖作用인데 上六이 昏暗하여 家人의 道에 合치 아니하므로 蔀其家 闃其無人이 된 것이다.

 

卦中諸爻의 豊其蔀 豊其沛 豊其屋은 上六의 陰이 陽光을 掩蔽함을 말함이오 日中見斗 日中見沬는 六五에 日中의 象이 있어 日中의 日光이 天下를 照하고 있으되 天下는 陽光이 掩蔽되어 昏暗하고 있음을 말함이니 이는 豐卦에 乾陽의 光明이 陰精中에 入하는 象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序卦

歸妹는 孕胎되는 씨의 象이오 豊은 씨의 元인 震子가 太陽에서 下向하여 달의 離火宮에 入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豊이 歸妹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雷威電明의 卦이므로 威明의 象을 取하여 折獄致刑하는 刑獄을 말한 것이다.

 

豊에는 陽이 陰中에 入하여 受胎되는 象이 있으므로 明入地中하는 明夷의 象과 相照하는 것이니 初九의 遇其配主는 九四의 遇其夷主와 相應하는데 九四는 明夷의 六四가 陽을 受하여 變한 것이므로 遇其夷主의 象이 된 것이다.

 

蔀는 草와 部로 되고 部는 星辰의 布列함이니 蔀라 함은 星光을 草蔽한 것으로서 天의 光明을 掩蔽한 象이며 諸爻中에 二四上에 蔀가 있는 것은 二四上이 모두 陰位로서 光明을 蔽하는 象이 있는 까닭이다.

 

日中이라 함은 六五爻의 象이니 中爻의 二三四에 모두 日中의 象이 있는 것은 六五의 日中光明이 來照하는 것이오 이가 彖에 말한 宜照天下이다 斗는 斗星이오 斗星은 陰中에 居하여 陽光을 發揚하는 것이니 豊은 天地盈虛의 象이 있는 天地日月卦이므로 諸爻에 또한 星辰 斗星等天體의 象을 말한 것이다.

 

沛는 雨의 下함이오 沫은 水의 噴함이다. 九三은 雷電皆至卦의 雷電相際處에 있어 雷雨의 來하는 象이므로 雨下와 水噴의 象이 되는 것이오 豊其沛日中見沬이라 함은 雷電이 下로 至하여 震子를 含有한 陽精水를 陰體에 施하는 象을 말함이다. 右肱은 明夷의 左股와 相對되는 것이니 左股가 女陰이므로 右肱은 男陽이다.

 

上六은 日昃月食의 位이다. 屋은 人居로서 室의 覆蓋이오 翔은 兩翼을 布함이니 上六은 陽이 變하여 陰으로 되어 上을 覄하므로 豊其屋의 象이 되며 豊에 사람의 消息의 象이 있으므로 上六에 屋家戶人等 人居의 象을 말하고 또 易理에 달에는 鳥의 象을 取하는데 豊에는 月食의 象이 있으므로 鳥의 天際翔의 象을 말하니 豊의 天際翔은 旅의 鳥焚其巢 小過의 飛鳥以와 같이 先天月의 消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闃은 門과 狊으로되고 狊은 鳥가 兩翼을 張하고 搖動하는 것이니 闃이라 함은 門內에서 鳥가 兩翼을 張하고 搖動하되 飛치 못한다 함이다. 闚其戶闃其無人이라 함은 室의 闔闢하는 口인 戶를 闚視한즉 門內에는 鳥가 兩翼을 張하고 搖動하되 飛치 못하고 사람은 없다 함이니 이는 上六에 天地盈虛의 象이 있어 先天달은 運行치 못하고 사람은 있지 아니하다 함이다.

 

生之時運之末 有水之審判 初出者着生 再三者瀆 長之時運之末 有火之審判 實稔者成 不實者焚 豐卦爲先庚三日之卦而 天地盈虛與時消息 人有雷電之刑 火焚之灾也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산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택귀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화산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풍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중택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And

화산려 (한장경 역경대의)

|

 

火山

 

 

旅는 艮童이 離火宮에 止麗하니 이는 豊에서 震子가 離火宮으로 下向하고 旅에서 震子가 反易하여 少男의 艮童이 되어 離火宮에 止하는 것이며 離火宮에 止하는 艮童은 太陽의 陽精水가 달의 陰精에 下施되어 所生하는 后天月이다.

 

旅라 함은 旅人이 外宮에 假居하고 外宮에서 旅人을 受容하고 하는 것이 곧 旅이니 震子가 陽體로부터 外에 出하고 外의 陰宮이 成의 中心에서 震子를 受容하여 止麗하고 하는 것이 곧 旅의 뜻이다.

 

陰이 外에 得中한다 함은 震子가 陽體로부터 出外하므로 陰이 또한 外의 中心에서 陽을 承受함이오 陰이 陽에 順한다 함은 陰이 入胎되는 震子를 順承함이오 明에 麗한다 함은 山澤의 形質은 光明의 引力에 麗하여 運行되는 것인데 艮童이 離火宮에 止하고 있으므로 陰子가 離火宮에 麗하고 있는 股와함께 麗乎明이라고 한 것이다.

 

 

時義大矣哉 豫卦下

旅는 震子가 離火宮에 入하여 艮童이 되는 象이므로 時義가 大한 것이다.

 

六五의 射는 水火相射의 뜻이오 相逮가 또한 水火相逮의 뜻이다. 雉는 離火의 象인데 鼎九三에 雉象이 있는 것은 水火烹湯의 뜻을 取한 것이므로 旅六五의 射雉도 또한 離火宮에서, 豐卦에서 오는 陽精水를 承受하여 水火가 相逮하는 것을 象한 것이다. 一矢라 함은 陽의 動直의 象이오 一矢亡이라 함은 陽體가 陽精水를 施하고 自身이 喪亡한다는 뜻이며 旅卦에 親寡의 象이 있는데 親이 寡婦가 된 것은 父가 喪亡한 까닭이니 그러므로 一矢亡은 陽體의 喪亡한 象이다. 雉字는 矢와 隹로 되는데 矢가 亡하면 隹만 남으니 隹는 鳥이라 이는 父가 喪亡하고 震子만이 胎宮에 入胎된다 함이다. 旅火宮에 入胎되는 鳥는 곧 漸卦의 鴻의 씨이니 鴻은 水鳥이라 水鳥의 씨가 離火宮에 入하므로 水火相逮가 된 것이다.

 

上九는 施精卦의 離火炎上의 極에 있는 陽이므로 陽의 自焚하는 象이 되니 鳥焚其巢라 한 것이오 易理에 鳥는 달을 象한 것인데 旅는 豐卦月食의 反易으로서 先天달의 消하는 卦이므로 鳥焚其巢는 先天달이 그 居를 失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同人之先號咷后笑者 言人自虎變來也 旅上火焚 而滅無火光故人滅 而反變於動物也 此失所附之陰體 而失火光也 易者陰陽交媾之際也

 

旅人先笑後號咷는 同人卦의 先號咷而後笑를 뒤집은 것이다. 先號咷而後笑는 震卦의 震來虩虩後笑言啞啞으로서 震子의 姙娠되는 象인데 上九의 先笑後號咷는 姙娠의 理에 어그러져서 旅人이 容納될 곳이 없는 것이다.

 

旅는 水火相逮의 卦이므로 上經에 習坎水가 離火宮에 施精하는 象이 되고 旅上九는 離九四의 象이 되니 그러므로 旅上九에 鳥焚其巢가 있고 離九四에 焚如死如가 있으며 旅에 旅而無所容이 있고 離九四小象에 無所容이 있는 것이며 旅上九의 喪牛于易은 곧 離의 畜牝牛와 相照되는 것이다. (旅人 先笑後號咷者 隨之씨也 旅人之씨喪也)易理에 后天은 丑運인 牛運이므로 先天의 水火通明하는 離卦에 畜牝牛의 象이있어 이것이 后天牛運이 되는 것인데 旅上九는 水火相逮하는 位를 過하므로 離火가 滅하여 母體를 喪하여 姙娠치 못하고 牛를 喪失한 象이 되어 后天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것이니 旅는 先后天의 終始하는 卦이므로 上九에 달의 象인 鳥와 時運의 象인 牛를 말한 것이다.

 

遯六五는 陽이 卵子中에 入하므로 羊을 喪하되 無悔하고 旅上은 陽이 陰體를 喪하므로 容納할 곳이 없어서 凶하다.

六二는 生의 中心이므로 乾坤의 資始資生의 資를 懷하여 童僕을 得하는 것이오 六三은 中치 못하고 止하되 또旅하니 이는 그 止舍하는 離火宮을 失함이오 離火宮에서 止舍할 곳을 失하므로 焚次의 象이 되어 童僕을 喪한 것이다.

童은 艮少男의 象이오 僕은 車馬를 御하는 者이오 資始하는 乾에 車와 馬의 象이 있고 資生하는 坤에 大輿와 牝馬의 象이 있으니 童僕이라 함은 資始資生하는 事를 御하는 震子를 말함이다.

 

資斧는 資는 乾坤의 資始資生의 뜻이오 斧는 父와 斤으로 되어 木을 斫하여 器를 制하기를 始하는 用具이다.

 

序卦

豊은 太陽의 震子가 달의 離火宮으로 下向하는 象이오 旅는 震子가 離火宮에 入하여 艮童으로 되는 象이니 그러므로 旅가 豊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豐旅가 反易하여 豊의 雷威電明에 折獄致刑의 象이 있으므로 旅의 火明에 明愼用刑이 있고 山止에 不留獄이 있는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택귀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뇌화풍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풍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중택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풍수환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And

중풍손 (한장경 역경대의)

|

 重風

 

巽은 上巽下巽으로 되어 天의 陽氣의 下施하는 象이 되니 彖의 重巽以申命이라 함은 天의 陽氣가 地에 下하고 또 다음의 天氣가 地에 下施하는 象이다.

 

巽은 天氣가 地에 下하고 또 다음에 天氣가 地에 下하는데 天氣의 下降은 天命의 下施하는 象이며 天命의 거듭 下施하는 것이 곧 申命이니 이는 革命이라는 뜻이 아니라 다만 長하는 物이 天의 陽氣를 受하여 여물어서 變通된다 함이며 剛巽乎中正而志行이라 함은 天의 陽氣인 震子가 巽의 陰精의 中心인 成의 中心에 入함이오 柔皆順乎剛이라 함은 上下二陰이 모두 陽氣의 來入함을 順承한다 함이다.

 

巽은 文王八卦圖의 「說萬物者莫說乎澤」의 兌에 當하므로 陰精이 陽氣를 順受하여 內部에 包하고 여무는 것이니 이는 달이 陽氣를 包하여 后天月의 씨가 入胎되는 象이다.

 

巽의 本字는 으로 되어 諸物을 具하여 丌로써 薦한다 함이오 丌는 下器이니 이는 陰精이 陽에 順하여 上奉함을 象한 것이다.

巽은 天의 陽氣中의 震子가 巽股中에 入하면 巽股中의 兌澤이 震子를 遇하여 合하는 것이므로 巽卦에 震子와 兌澤이 있고 또 剛이 來하여 柔에 下한다 하여 隨風의 象을 取한 것이오 生의 中心인 九二에 巫의 象이 있는 것도 또한 兌澤의 象을 말함이니 巫는 兌의 象이다.

 

九五는 彖의 剛巽乎中正의 位로서 달의 體를 成하는 位이다. 本陰體中에 天의 陽氣의 來入한 것이니 陽氣의 來入하기 以前은 山風蠱卦이라 그러므로 蠱에 先甲三日 後甲三日의 象이 있고 巽九五에 先庚三日後庚三日의 象이 있는 것이다.

 

巽은 陰精이 震子를 受하는 卦로서 地道七宮의 收斂八卦의 中心에 있어 胎兒를 入胎하여 여물게 하는 象인데 이것을 蠱卦와의 關係로써 보면 巽은 陽氣가 蠱卦의 六五에 來入하여 巽으로 變한 것이오 巽은 蠱卦로부터 三十六數의 乾策數에 當하여 變化의 象이 있고 巽은 또 文王八卦圖의 西方兌에 當하여 蠱의 東方震과 相對하고 있으니 그러므로 甲庚相對의 理에 依하여 蠱에 甲의 象을 取하고 巽에 庚의 象을 取한 것이다. 蠱는 生의 時運에서 長의 時運으로 變하여 甲의 始長하는 象이 되므로 終則有始라하고 巽은 長의 時運의 成의 時期에 當하여 陰精이 陽氣를 承受하여 여무는 것이므로 無初有終이라 한 것이다.(蠱卦下參照)

 

三日이라 함은 달의 形의 生함인데 蠱甲과 先甲三日 後甲三日을 合하면 七日이 되니 七日은 달의 光明의 象이라 蠱甲七日은 長의 時運의 달의 光明의 生하는 象이 되는 것이오 巽庚과 先庚三日 後庚三日을 合하면 七日이 되니 巽庚七日은 長의 時運의 成의 時期에 달의 光明이 陰精中에 入하여 藏하는 象이다. 그러므로 巽庚의 三日은 蠱甲의 三日과는 그 形態가 相異하여 蠱의 三日은 달의 長하는 形의 生함이오 巽의 三日은 달의 여무는 形의 生함이다.

 

巽兌에는 달의 光明의 藏하는 象이 있으므로 剝卦의 月消하는 象을 取하여 巽에는 剝卦의 牀字를 써서 巽在牀下라하고 兌에는 孚于剝이라 한 것이다.

 

牀이라 함은 割木이니 巽卦陰木의 下偶한 丌의 象이오 陽을 順受하는 陰器의 뜻이다. 九二의 巽在牀下는 陽이 生의 中心의 陰中에 入함을 象함이오 上九의 巽在牀下는 上九가 巽入의 極에 있어 天의 陽氣가 모두 陰中에 入하므로 牀下의 象이 되니 이 까닭에

 

上九는 上에 窮하여 陽器인 資斧를 喪하여 生命의 陷한 象이다.

 

序卦

旅는 太陽의 震子가 달의 陰精中에 入胎되는 象이오 巽은 달의 內部에 震子를 順受하고 달의 여무는 象이니 그러므로 巽이 旅에 次하는 것이다.

 

六四는 上卦巽의 得位한 位로서 달의 行하는 象이 있는데 巽兌는 地道七宮의 中心宮으로서 달의 入胎되는 位이므로 入胎宮의 六四爻에는 새달의 生하는 象이 있는 것이며 三品이라 함은 乾의 品物流形 坤의 品物咸亨 姤의 品物咸章으로서 모두 天地가 相交하여 달을 生하는 象을 말함이니 그러므로 田獲三品은 새달의 씨를 承受하여 獲한다 함을 말한 것이다.

 

初六의 武人은 先祖를 繼迹하는 後人이니 先天月에서 后天月의 生하는 것이 곧 武人의 象이오 震子가 巽陰에 入하여 第二世의 달로 되고 있음을 象한 것이다.

 

大象

申命은 命을 거듭 내리는 것이오 行事는 變通을 行함이니 時運의 變하는 때에 時運에 맞춰서 變通함을 말함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화풍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화산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택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풍수환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수택절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And

중택태 (한장경 역경대의)

|

重澤

 

兌는, 巽股에 入한 震子는 반드시 兌澤을 合하는 것이므로 兌에 說의 象이 있으니 說이라 함은 陰體의 속에 陽을 受하여 嘉會함이 곧 說이며 兌는 陽이 中에 있고 陰이 外에 있어 震子가 陰精中에 入하므로 陽이 陰中에 뭉쳐서 孕胎되고 있는 것이다.

兌는 說의 半字이니 少女로서 아직 未成한 까닭에 艮少男과 함께 半字를 쓴 것이다.

 

順乎天而應乎人은 乾彖의 乾道變化各正性命의 뜻이니 正命이 順乎天이오 正性이 順乎人이다. 乾彖의 乾道變化各正性命은 秋의 成하는 象이오 革과 兌가 또한 秋의 成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이 二卦에 順乎天 應乎人을 말한 것이다.(革卦下參照)

 

兌澤은 陰體의 陰子이니 陰은 民의 象이오 勞는 坎의 象이오 難은 陰이 陽을 蔽하는 象이오 死는 生의 終함이다. 震子가 陰體의 兌澤에 入하니 이는 嘉會하여 써 民에 先함이오 震子가 陰體의 兌澤에 入하면 陰中에 陽을 包하는 坎象이 되는데 陰體는 그것이 坎象이 되는 줄을 알지 못하고 다만 嘉會하기만 하니 이는 民이오 그 勞함을 忘함이오 震子가 陰體의 陰子에 入하면 陰이 陽을 蔽하니 이는 嘉會하여 써 難을 犯함이오 震子가 陰體의 陰子에 入하면 陰子는 決하여 그生을 終하는데 陰體는 陰子의 生의 終하는 줄을 알지 못하고 다만 嘉會하기만 하니 이는 民이 그 生을 終하여 死함을 忘함이다. 이것을 달로써 보면 西方의 兌에서 陽氣가 陰中에 入하여 坎의 象이 되고 다시 文王八卦圖를 順行하여 兌가 北方坎에 行하여 水澤節의 子中에 이르면 달이 光을 失하여 終하는 것이니 이가 勞와 死의 象이오 그러므로 節九二에 달의 極하는 象이 있는 것이다.

 

兌는 陰陽의 嘉會하는 作用이 大하므로 民이 勞와 死를 忘하고 勸勉하며 民이 勸勉하므로 陰中에 陽이 뭉쳐서 大한 것이니 이가 說之大民勸矣의 뜻이다.

 

달의 運行軌道의 變하는 象을 序卦로써 보면 乾卦에 大明終始의 象이 있는데 大明은 日月이오 太陽의 晝夜와 달의 晦朔은 곧 大明의 終始이며 大明終始의 理는 周天三百六十度의 日月運行에서 나온 것이다. 周天三百六十度는 晝夜의 平均한 春分秋分의 때에 晝夜가 各 百八十度로 되어 있으되 日出前 十八度의 朝景과 日入後 十八度의 暮景은 모두 晝에 屬하므로 晝는 百八十度에 朝暮의 景 合三十六度를 添加한 二百十六度가되고 夜는 百八十度에서 朝暮의 景 合三十六度를 除減한 百四十四度가 되는 것이니 이는 곧 乾策二百十六數와 坤策百四十四數의 根據이며 晝의 度數가 二百十六이 되므로 易經序卦에는 乾卦로부터 二百十六爻의 數에 當하는 明夷卦의 上爻에 日沒의 象이 있어 「初登于天後入于地」라하여 晝가 끝나고 夜가 始함을 말한 것이다.

 

달의 運行에도 또한 三百六十度의 理가 있으니 달은 每月에 한번씩 太陽과 合朔하는데 前述한 朝景暮景 各 十八度의 理에 依하여 太陽前 十八度以內와 太陽後 十八度以內 合 三十六度以內의 사이는 太陽의 光때문에 달의 光이 發치 못하는 것이므로 달은 三百六十度에서 太陽을 中心한 前後 三十六度를 除하고 그 나머지 三百二十四度의 사이에서만 光을 發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序卦에는 乾으로부터 兌까지의 三百二十四度는 달의 光을 發하는 最終度(胎宮四卦를除함)로서 兌九五爻에 陰이 陽을 變하는 「剝」의 象이있고 그 上爻에 「未光」의 象이 있는 것이다. 臨卦의 至于八月有凶도 兌卦의 三百二十四度線을 말한 것이니 臨으로부터 兌까지가 또한 三十六卦 二百十六爻의 乾策數에 當하는 것이오 그러므로 兌에서 달이 光을 失하여 八月有凶의 象이 되는 것이다.

 

兌卦以後의 十八度는 序卦의 中孚小過에 當하므로 中孚小過에 日月의 合朔하는 象이 있으니 中孚는 中宮에서 合朔하여 달의 內部에 陽氣가 뭉침이오 小過는 달이 太陽의 앞으로부터 太陽의 뒤로 지나감이다. 中孚小過 以後의 十八度는 序卦의 終한 後인 乾의 大明終始에 當하니 乾은 天의 象이라 后乾에서 달이 生하는 까닭에 后天이라 하는 것이다.

 

九二와 九五는 生成의 中心이므로 陽氣가 뭉쳐 있으니 九二는 生의 中心이므로 陽氣가 뭉쳐서 陰陽이 嘉會하고 九五는 成의 中心이므로 陽氣가 內에 뭉치고 陰氣가 外를 蔽하여 剝卦의 陰變陽의 象이 된 것이다.

 

序卦

巽은 달의 陰精이 陽을 受하여 后天달의 入胎하는 象이 되고 兌는 陰精이 陽을 蔽하여 달이 光을 失하고 그 內部에 陽氣가 뭉쳐서 后天의 달이 孕胎되는 象이 되니 그러므로 兌가 巽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麗澤은 上澤下澤이 相附하는 것인데 또한 麗는 離卦의 象이오 兌澤은 陽이 離火宮中의 兌澤에 胎育되므로 麗澤이라 한 것이다. 朋은 陰이오 友는 陽이오 講은 學問을 論議함이오 習은 學問을 實踐함이니 朋友講習은 澤이 物을 滋益하는 象을 取한 것이다.

和兌라 함은 兌는 正秋이오 陽이 陰中에 入하는 象이 되어 四德의 利가되니 利者義之和이므로 和兌라 한 것이다.

來라 함은 外로부터 內에 來함이다. 兌는 剛中柔外하여 嘉會하는 것인데 六三의 陰은 內로 下卦에 來한 象이니 이는 柔外의 旨에 違하고 陰이 內하면 陽이 外하는 것이므로 陽이 陷하여 凶한 것이다.

 

商은 復卦의 商旅의 商이니 外에 出하는 象이다. 未寧은 陽이 陰을 遇치 못함이니 屯比의 不寧의 뜻이다. 九四는 六三의 外에 있으므로 商旅의 象이 되어 未寧한 것이다.

 

諸爻中에 九五에 兌가 없으니 이는 陰陽의 嘉會하는 域을 넘어서 內部에 陽氣가 뭉쳐 있는 까닭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산려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10.02
중풍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풍수환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수택절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풍택중부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And

풍수환 (한장경 역경대의)

|

風水

 

渙은 天의 陽氣가 下來하여 北方坎水의 陰이 散하고 陽이 內에 入하여 收斂하는 象이니 天의 陽氣와 水가 合하고 否泰變化의 理에 依하여 陰이 空中에 上行하므로 달의 體의 象이 되는 것이다. 否泰變化의 理라 함은 長의 時運의 달은 賁卦의 陰陽上下에 依하여 天地否의 象이 되어 先迷의 달이 되고 長의 時運에서 成의 時運으로 넘어가는 달은 渙卦의 陰陽上下에 依하여 地天泰의 象이 되어 後得主의 달이 되는 것이니 彖의 剛來而不窮 柔得位乎外而上同은 모두 陰陽이 上下하여 地天泰의 象이 됨을 말함이며 賁卦下에 씌어있다.

 

渙節은 文王八卦圖의 「潤萬物者 莫潤乎水」의 坎에 當하여 달이 北方坎에 入하여 晦의 象이 됨을 말함이다.

 

渙字는 水와 奐으로되고 奐은 大하고 文采가 章明하다 함이니 水가 大하고 天의 陽氣를 受하여 文采가 章明한 것은 달이므로 渙字로써 卦名을삼고 거기에 散과 離의 뜻을 寓하니 散은 天의 陽氣가 陰을 散하고 그 속에 入한다 함을 말함이오 離는 相麗하면서 또한 各分한다는 뜻으로서 天의 陽氣와 달의 陰精이 各分하여 있으면서 또한 相麗하고 있다 함을 말함이다. 王假有廟의 象은 萃卦와 同一하니 乾陽이 坤體인 달에 假居하여 第二世의 새달로 孕胎되어 自身이 先天月의 子로 되고 鬼神은 달에 依附한다는 理에 依하여 祖上神은 새달에 依附하니 이는 사람이 廟를 세우고 祖上神을 거기에 奉享하는 象과 같다 하여 달을 象하기를 廟라고 한 것이다. 渙은 胎宮에서 새달의 體가 成하는 卦이므로 새달에 鬼神이 依附하는 象을 取하여 王이 假하여 廟를 有한다 한 것이며 萃卦에는 致孝享이라 하고 渙卦에는 王乃在中이라 하니 萃卦는 母體中에 乾陽이 來假하여 새달이 된 것이므로 父母와 子의 兩象을 因하여 子가 父母에게 孝하고 子孫이 祖上을 享하고 하는 뜻을 取하여 致孝享이라 한 것이오 渙卦는 胎宮內의 胎兒自身의 胎育되는 象을 말한 것이므로 乾陽인 王이 곧 胎兒自身인 새달이라 하여 王이 이에 中에 있다고 한 것이다.

 

九五의 渙汗其大號는 漸初六의 鴻漸于干小子와 相照하는 것이다. 地道七宮은 收斂八卦가 一團이 되어 달이 天의 陽氣를 承受하여 새달의 體를 成하는 象이 되고 天의 陽氣의 下降하는 卦는 風山漸 重風巽 風水渙 風澤中孚의 四風卦인데 上卦巽은 九五가 달의 體로 되고 六四가 天空中의 달의 位로 되고 初爻가 天에서 下來한 震子의 位로 되는 것이다. 地道七宮의 最初의 上卦巽은 漸이오 漸初六에는 天의 陽氣로부터 震子를 承受하는 象이 있으므로 小子라하고 漸의 初六은 山下에서 水가 出하는 것이므로 干이라 한 것이오 水와 干을 合한 것이 곧 汗이니 渙九五의 汗은 漸初六에서 鴻의 씨인 小子의 出生한 곳이며 汗에 漸한 鴻의 小子가 旅六五의 雉로 되어 巽兌의 陰宮에 入胎되고 渙九五에서 長成하여 大號하니 易理에 號는 震子의 象이오 大號는 震子의 長成한 象이라 渙汗其大號는 漸의 干에서 出生한 鴻의 小子가 渙九五에서 長成하여 새 달의 體를 成한다 한 것이며 渙九五는 王乃在中의 位이므로 王居라하니 王은 곧 漸의 小子의 大號하는 者이다. 渙九五에 漸鴻干의 象을 말한 것은 漸과 渙이 모두 水卦로 되어 小子와 大號가 모두 水中에서 生育하는 沈水潛月의 象이 되는 까닭이다.

 

兌에서 月光이 終하므로 다음 卦인 渙에 明入地中하는 明夷의 象이 있으니 渙初의 用拯馬壯吉은 곧 明夷 二의 用拯馬壯吉이오 渙의 夷는 곧 明夷의 夷이오 渙의 渙其血은 곧 明夷의 誅이다.

 

六二는 剛來不窮의 爻인데 卦에 木象이 있으므로 陽이 來하여 不窮하는 것을 木實로써 象한 것이다. 机는 桑實이오 奔은 物의 方生함에 賁然한 文이 있음이니 天地否卦에 苞桑이있고 渙卦가 否卦로부터 變하여 陽이 二爻에 來하므로 九二에 苞桑의 씨가 來하여 賁然한 달의 文采를 生한다 함을 말한 것이다.

 

初六의 用拯馬壯은 明夷의 六二爻辭와 同一한 것인데 馬壯은 震子의 象이오 用拯馬壯은 水中에서 震子가 出한다 함이니 이는 后天月의 씨가 水中에서 生하고 있음을 말함이며 다만 明夷六二의 用拯馬壯은 小象에 順以則이라 하여 陰體와 震子가 合體하여 陰體의 여무는 것을 象함이오 渙初六의 用拯馬壯은 小象에 順함이라 하여 陰體가 震子를 承受하여 胎育하는 것을 象함이다.

渙六爻中에 오직 初六에만 渙字가 없는 것은 初六은 陰精이 散치 아니하고 震子를 順承하는 까닭이다.

 

六四는 柔得位乎外의 爻이오 渙有丘는 上卦巽의 收斂卦로서 六四는 天空中의 달의 位로 되고 있으므로 六四에서 后天月의 體가 丘聚하고 있는 것이다. 渙과 明夷는 모두 光明의 晦하는 卦인데 同一한 晦의 象이로되 明夷는 天의 陽氣를 受하여 다만 陰體를 여물게 하는 象이 되고 渙은 天의 陽氣를 受하여 后天月을 胎育하는 象이 되니 그러므로 渙六四의 有丘는 明夷의 意思不到하던 바이라 함이다.

 

序卦

兌는 달의 兌精이 震子를 承受하여 胎育하고 달의 光明을 失하는 象이오 渙은 晦가되어 새달의 體가 成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渙이 兌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帝는 萬物의 化育을 主宰하는 神이오 無形에서 有形이 創生되는 것은 帝의 主宰하는 바이므로 易理에는 物의 創生하는 象에 帝를 말하니 履의 履帝位는 달의 生함이오 泰의 帝乙歸妹는 사람의 씨의 生함이오 豫의 殷薦之上帝는 長의 時運에 사람의 生함이오 益의 王用亨于帝는 后天月의 受胎함이오 鼎의 以享上帝는 后天月의 胎育함이오 歸妹의 帝乙歸妹는 人의 終始함이며 渙大象의 享于帝立廟는 달의 속에서 后天月의 胚胎함이다.

 

享于帝立廟는 物의 創生을 爲하여 上帝에게 獻하여 福을 求하기 爲함이다.

 

渙其血去逖出이라 함은 渙은 北方의 潤萬物하는 坎水의 位로서 晦의 象인데 天의 陽氣가 下降하여 坎陰의 血을 散하고 있으므로 上九에 坎血이 散去하고 쭉정이(害)가 되는 陰氣가 遠出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渙과 小畜은 그 象이 相似한 것인데 小畜六四에는 血去惕出이라 하고 渙上九에는 渙其血去逖出이라 하니 이는 小畜은 달이 처음으로 生하는 象이므로 卦主로 되어 있는 六四의 陰속에 陽氣가 뭉쳐서 陰血이 去하고 惕의 暗昧가 出함을 말한 것이오 渙은 生長을 極한 달의 속에 震子가 入하여 新月이 生하는 象이므로 그 終爻에 陰血이 去하고 北方의 陰氣가 出하여 쭉정이를 멀리함을 말한 것이다.

 

 

 

 

 

 

 

 

 

 

 

 

 

 

'易經大意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풍손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중택태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수택절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풍택중부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뇌산소과 (한장경 역경대의)  (0) 2013.09.30
And

수택절 (한장경 역경대의)

|

 

 水澤

 

節은 水와 澤으로되고 易卦中에 流下하는 重坎水가 上行하는 것은 오직 節卦이니 (豐卦下參照)이는 水는 流下하는 것인데 下에서 陽氣가 推上하면 水가 上으로 行하여 澤이 되는 것이므로 重坎水의 最下劃이 陽으로 變한 것은 節卦이다. 節은 水의 上行하는 象이오 坎水와 兌澤이 合하여 上行하는 것은 달이므로 節은 달의 象이 되는 것이다.

 

節은 文王八卦圖의 坎에 當하고 그 卦象의 水澤은 秋로부터 冬하여 一年의 節이 成하고 西로부터 北하여 一月의 晦와 一日의 夜中이 되니 이는 物의 終하는 象이오 節은 四正生成卦圖의 理에 依하여 下經 收斂卦의 終으로서 兌澤의 成하는 象이므로 先天의 달은 節에서 終하는 것이다.

 

彖에 剛柔分이라 함은, 節은 兌로부터 坎하는 子中卦이오 地球의 子午線의 理에 依하여 子中은 陰陽의 分하는 곳이라 하여 剛柔分이라 한 것이니 이는 噬嗑卦가 震으로부터 離하는 午中卦이므로 또한 剛柔分의 象이 됨과 같은 것이며 節은 子中卦이므로 一年의 冬至 一月의 晦 一日의 夜半 節이 되는 것이다.

 

節字는 竹節의 뜻이오 震은 蒼筤竹이니 節卦는 物의 長成過程의 節限이 되어 物의 成하는 때이며 物이 成하고서 다시 出發하는 것이 곧 節의 뜻이니 坎水中의 震子는 節에서 달의 形質을 成하고 다시 새로운 달로 出發하는 것이므로 震子의 成하는 象에 竹의 象을 取하여 節字로써 卦名을 삼은 것이다.

 

說以行險이라 함은 陰陽이 嘉會하여 坎水의 晦中을 行함이오 當位以節中正以通이라 함은 陽이 陽位에 있어 子中의 中正의 位에 節度하고 다시 通行하는 九五甘節의 象이다. 甘節은 水의 通하는 象이오 若節은 水의 塞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水가 土中을 通하여 行하는 者는 그 味가 甘하고 水가 土中을 通行치 아니하는 者는 그 味가 苦한 것이며 苦節不可貞이라 함은 保合하여 水가 通치 못하면 新月이 生치 못하여 一陰一陽치 못하고 그 道가 窮한 것이다.

 

天地에 節이 있으므로 사람의 生活하는 制度에도 節이 있다. 天地는 圜行하여 窮함이 없으되 그 圜行하는 속에 스스로 節이 있어 日行하는 北至의 夏至 南至의 冬至 赤道를 通行하는 春分 秋分같은 것이 모두 節이오 一月中의 晦朔弦望 一日中의 晝夜朝夕이 또한 節이다. 天의 氣候에 度數가 있는 까닭에 地의 生産力에 또한 度數가 있어 山海의 自然物生殖에는 스스로 限度가 있고 사람의 生活資料의 産出에도 또한 限度가 있어 物의 生産은 無制限 無盡藏한 것이 아니다.

 

易卦에는 午中卦의 噬嗑과 子中卦의 節에 生活資料의 理가 있어 噬嗑에는 貨를 말하고 節에는 財를 말하니 財라 함은 사람의 生活에 必要한 物資이오 貨라 함은 財가 아니라 財의 價의 表示이므로 化라하니 곧 지금의 貨幣이다. 貨財의 象이 噬嗑과 節에 있는 것은 噬嗑과 節은 剛柔分의 卦로서 噬嗑에는 分하고 合하고 하는 象이 있고 節에는 行하고 止하고 하는 象이있는 까닭이다. 噬嗑의 下卦 雷는 天下에 行하여 萬物이 應與치 아니하는 것이 없고 上卦離는 萬物에 明照하여 그 光을 받지 아니함이 없고 火는 變化의 原으로서 萬物이 火의 氣의 動함을 隨하여 變化하는 것이므로 噬嗑에는 貨의 象이 있는 것이오 節의 下卦澤은 形質을 成하고 瀦止하여 萬物의 體의 津液膏血이 되고 上卦水는 萬物에 通行하여 津液膏血을 運行하는 것이므로 節에는 財의 象이 있는 것이다. 噬嗑의 火는 明하고 節의 水는 通하여 貨財의 象이 되니 貨財는 곧 火明水通의 象이라 그러므로 사람의 貨財生活도 또한 水火通明의 作用에 依하여 行하는 것이다. 噬嗑은 貨이므로 「日中爲市 致天下之民 聚天下之貨 交易而退 各得其所」라하고 節은 財이므로 「天地節而四時成 節以制度 不傷財 不害民」이라 하니 傷財라 함은 消費의 過多함이오 害民이라 함은 生産의 不足이다.

 

九二는 子中에 及치 못하고 陽이 陰位에 있어 當位치 못하므로 節치 못하고 生의 中心에 있으면서 日月運行의 口를 出치 못하여 不出門庭이 된 것이니 陽이 當出할 때에 出치 못하므로 失時極이 되며 明夷六四의 于出門庭 같은 것은 달이 日月運行의 口를 出함을 말함이다. 節은 달의 形質의 成함을 象한 卦인데 天地의 節에서 달의 晦하는 象이 있어 舊月이 終하는 것이니 이는 臨卦九二의 至于八月有凶의 象이 節九二에 나타나는 것이다. 臨은 先天의 달의 光明이 形質에 依附하여 浸長하는 卦이오 이는 臨九二의 象이니 形質의 長한 者는 반드시 消하는지라 그러므로 臨九二에 至于八月有凶의 象이 있는 것이며 節의 九二에는 舊月의 終하는 象이있고 節九二의 終하는 달은 兌卦의 說以犯難 民忘其死의 달이니 臨卦의 九二 兌卦의 民 節卦의 九二가 모두 兌澤의 終하는 것이므로 節九二의 失時의 달은 곧 臨九二의 至于八月의 달이다.

 

初九는 本重坎水의 初六이 陽으로 變하여 流下하는 水를 止하여 澤을 삼은 것이므로 澤의 基底가되어 節의 成하는 始初가 되는 것이니 이가 陽氣를 發宣치 아니하여 不出戶庭의 象이 되는 것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人事로써 말하여 亂之所生也 言語以爲階 君不密則失臣 臣不密則失身 幾事不密則害成 是以君子愼密而不出也라하여 달이 內部의 陽氣를 發宣치 아니하는 것을 人事의 言語에 비겨서 말한 것이다.

 

序卦

渙은 달의 體의 成함이오 節은 先天月이 終하고 后天月의 始하는 마디이니 그러므로 節이 渙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數度라 함은 萬物의 運行하는 數爻와 限度이니 國家官員의 數 財政의 豫算같은 것이 모두 數度이오 德行이라 함은 사람의 道德과 行動이니 그 사람의 道德과 行動을 議하여 그 位를 맡기는 것 等이 모두 議德行이니 制數度議德行이 곧 節의 뜻이다.

 

 

 

 

 

 

 

 

 

 

 

 

And

풍택중부 (한장경 역경대의)

|

 

中孚 風澤

 

中孚는 巽兌陰精의 收斂卦로서 陰이 內에 있어 陽을 承受하는 象이 되고 陽이 得中하니 이는 陽이 內部에 뭉쳐서 陰體를 形成한 것이오 全卦가 大離의 象으로 되니 離는 陰火宮의 象이며 反易없는 圓狀卦로 되어 自體의 變易에 依하여 그生을 繼續하는 것이니 陰體의 圓狀으로되고 陰火宮이 內에서 陽을 承受하여 陽이 中心에 뭉치는 것은 달이 太陽과 合朔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中孚는 文王八卦圖의 終萬物始萬物者 莫盛乎艮의 艮에 當하여 先天의 舊月體가 終하고 日月이 中宮에서 合朔하여 后天의 新月體가 生하는 象이다.

 

中은 易學에 가장 善한 것으로서 日月의 相遇하는 中宮이라는 뜻이오 孚는 陽氣가 뭉쳐서 新生命의 孵化한다는 뜻이니 中孚는 日月의 合朔하는 象이므로 中孚로써 卦名을 삼은 것이다.

 

中孚는 后天달의 始生하는 象의 卦이므로 乾彖에 말한 大明終始의 象이 있으니 이제 日月光明의 始終하는 象을 보건대 太陽은 東方震에서 出하되 그 光明의 始現하는 것은 東北艮이니 이는 文王八卦圖에 艮이 萬物成始하는 곳이 되는 까닭이오 달은 西南坤에서 生하되 (太陽의 沒하는 것이 西方兌이므로 달의 生하는 것을 그 後方인 西南坤이라고 한다) 그 光明이 始現하는 것은 東南巽이니 이는 文王八卦圖에 巽이 陰卦의 始가 되는 까닭이다. (달은 太陽後 十八度以外에 있어야 光을 生하는 것인데 初一日에 日月이 合朔하면 初二日의 日月距離는 十二度餘이오 初三日 正午에 이르러 日月의 距離가 十八度餘가되어 달이 비로소 光을 生하니 初三日正午는 太陽의 位가 南方離에 있고 달의 位가 東南巽에 있는 때이며 東南巽에서 달이 生하는 것은 中孚卦의 巽에서 月幾望하는 理와 相通하는 것이다.)

 

太陽의 光明은 東北艮에서 始現하여 西方兌에서 終하고 달의 光明은 東南巽에서 始現하여 東北艮에서 終하니 이는 太陽光明의 始現하는 곳이 곧 달의 光明의 終하는 곳으로 되는 까닭이오 太陽光明의 終하는 西方兌와 달의 光明의 生하는 東南巽은 또한 文王八卦圖로본 大明終始의 象이다. 그런데 中孚는 兌로부터 巽하여 兌는 太陽의 終하는 位가되고 巽은 달의 始하는 位가되니 이는 中孚의 巽兌에 太陽이 終하고 달이 始하고 하는 大明終始의 象이있어 兌의 終爻인 六三에서 太陽이 終하고 巽의 始爻인 六四에서 달이 始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六三의 或鼓或罷或泣或歌는 離九三의 不鼓缶而歌則大耋之嗟의 象으로서 日昃의 象이 되며 六四의 月幾望은 달의 始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大明이 終하고 始하면 太陽 地球 달의 六位가 時로 成하여 사람이 또한 三才의 位를 成하는 것이니 孚乃化邦은 乾彖의 六位時成의 뜻이오 乃應乎天은 乾彖의 以御天의 뜻이다. 御天이라 함은 달이 馬의 象으로서 天을 달린다는 뜻인데 六四의 달이 幾望하여 先天의 달인 馬匹이 亡하고 馬匹의 所生한 新月이 絶類하고 上하니 이가 곧 御天의 象이다.

 

化邦이라 함은 人間社會를 化成함이니 中孚에서 新月이 生하면 六位가 時成하고 사람도 三才의 位를 成하여 人間社會가 化成된다 함이오 豚魚吉이라 함은 豚魚는 姤卦初六의 象으로서 陰體가 乾陽을 承受함을 象한 것이니 中孚의 豚魚는 달이 太陽의 光을 受함을 말함이오 豚魚吉은 달에서 朔日의 光이 生함을 말함이오 位及豚魚는 太陽의 陽氣의 뭉침이 달에 及함을 말함이다.

九五의 有孚攣如는 小畜卦 九五의 象이니 달의 陰精에 陽氣의 뭉침을 말함이다.

 

九二의 鶴은 澤邊에 居하여 鳴聲이 天에 聞하는 陽鳥이니 兌澤에 뭉쳐 있는 陽氣가 太陽과 合朔하는 때에 日月에서 律呂聲이 나는 것을 象함이오 鳴鶴在陰이라 함은 鳴鶴이 달에 있다 함이니 易卦에는 乾坤의 初爻 小象과 泰否의 彖以外에 陰陽을 말한 것은 오직 中孚의 九二뿐이니 이는 中孚에 后天달이 生하여 새 乾坤이 되는 象이 있음을 表한 것이다. 其子라 함은 太陽에서 오는 震子이오 和之라 함은 달에 뭉쳐 있는 陽氣와 달의 承受하고 있는 震子가 相應하여 律呂聲을 내고 있음을 象함이다. 我는 우리라는 뜻으로서 全體를 말함이오 吾는 나라는 뜻으로서 自己를 말함이오 爵은 位이니 六位時成의 位를 말함이오 靡는 屋下로 飛下하는 象이니 我有好爵吾與爾靡之라 함은 우리 달에는 天과 地와의 사이에 六位라는 好位가 있으니 나는 너 震子를 包하고 后天달이 되어 陰의 時運下로 飛下하리라 함이며 이 爻辭는 九二의 生의 中心에서 달에 뭉쳐 있는 陽氣가 太陽과 合朔하여 律呂聲을 내면서 震子를 承受하여 鳥象의 后天달이 되어 太陽 地球로 더불어 六位를 이룬다 함을 말함이다. 中孚의 鶴은 漸의 鴻 旅의 雉와 同一한뜻이오 다만 卦象에 따라서 그象을 달리한 것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人事로써 말하여 「君子居其室 出其言 善則千里之外應之 况其邇者乎 居其室出其言 不善則 千里之外違之 况其邇者乎 言出乎身加乎民 行發乎邇見乎遠 言行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 言行君子之 所以動天地也 可不愼乎」아 하니 이는 君子의 言行이 天地를 動하는 것은 鳴鶴의 소리가 天을 應함과 같다 함을 말함이다.

 

鶴兌象而月之陰精也 陰者无極之中之月位也 鳴者合朔時之律呂聲也 其子者 自太陽來之震子也 和之者 陽入於陰中也 鳴鶴在陰 其子和之者 日月合朔 太陽之震子 入於月精中也

 

初九의 虞는 震子의 象이오 他는 六四爻의 巽股이니 初九는 달의 震子의 生하는 位로서 달의 時를 따르는 것인데 巽股를 應하면 陽이 陷하여 燕과 같이 時를 따라서 往來치 못한다 함을 말함이다.

 

上九의 翰은 天鷄이다. 中孚에는 鳥鳴의 象이 있으므로 諸爻에 鳥의 孵化하는 象과 孵化함에 時가 있다는 象을 取하여 時를 知하는 鳥를 말하니 初九의 燕은 春秋의 時를 知하여 往來하는 候鳥이오 九二의 鶴은 夜半의 時를 知하여 鳴하는 陽鳥이오 上九의 翰은 晨의 時를 知하여 鳴하는 天鷄이다.

 

翰音者 白馬翰如之翰 而白馬之音也 白馬者 巽馬而卽牝馬先天月也 與六四之馬匹亡相照也 中孚合朔之時 有律呂聲而上九則 已亢之先天月 故先天牝馬月之登天而亢也

 

中孚는 陽氣의 뭉치는 卦이므로 陽爻에 모두 動物의 象을 取하는데 오직 九五에는 鳥의 象을 取하지 아니하고 豚魚의 象을 取하니 이는 九五는 成의 中心에서 陽氣의 뭉치는 位이므로 六爻中에 오직 九五에만 孚字가 있고 또 陰中陽의 坎象인 豚魚를 象한 것이다.

 

翰音의 音은 發宣하는 言이 大始하는 一을 含하여 陽體의 씨의 象이 되는 것으로서 蠱初六의 意(억)承考 明夷六四의 獲心意(억)의 意(억)과 同一한 것인데 蠱와 明夷는 사람의 象을 取한 까닭에 音에 心을 加하여 意(억)이라 하고 中孚와 小過의 音은 鳥鳴의 象을 取한 까닭에 音이라 한 것이다.

 

登于天이라 함은 明夷上六의 初登于天後入于地의 뜻인데 中孚上九는 天鷄의 씨가 天에서 孵化하고 있는 象이니 이것은 반드시 下로 下하는 것이므로 登于天의 象을 말한 것이오 小象의 何可長也는 上에서 下로 轉하여 變한다는 뜻이니 中孚는 反易이 없는 卦로서 自體의 變易에 依하여 生生을 繼續하는 것이므로 上에서 變하여 中孚가 小過로 되고 上九의 翰音은 小過의 飛鳥遺音으로 되는 것이다.

 

 

序卦

節卦는 晦의 象이오 中孚卦는 合朔의 象이므로 中孚가 節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議獄緩死는 獄事에 死刑을 쓰지 아니한다는 뜻이니 이는 兌의 民忘其死와 相照한다. 兌의 死는 달의 死하는 것인데 中孚에서 달이 다시 生하니 이가 緩死의 象이다.

 

 

 

 

 

 

 

 

 

 

 

 

 

 

And

뇌산소과 (한장경 역경대의)

|

 

小過 雷山

 

小過는 震艮의 陽卦로된 收斂卦로서 四陰의 收斂함이 極하고 陰의 收斂이 度를 過하여 下에 下하는 象이니 이는 先天달의 陰精의 收斂이 過度하여 太陽의 先에 있던 것이 太陽의 後로 過하여 后天달이 되는 象이오 그러므로 小過의 收斂하는 陰에 與時行하는 象이 있으며 文王八卦圖의 終萬物始萬物者莫盛乎艮의 艮에 當하여 舊體가 終하고 次世代가 始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易卦에 小字로써 卦名을 삼은 것은 小畜과 小過인데 小畜은 陰이 畜하여 달의 體의 生하는 象이오 小過는 陰의 收斂이 度를 過하여 스스로 下에 下하면서 自體의 質이 變易하여 새달로 生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小畜과 小過에 모두 密雲不雨自我西郊의 象이 있는 것이다.

 

飛鳥는 先天달이오 遺之音은 后天달의 씨를 남김이며 不宜上宜下라 함은 上하면 處地의 宜를 얻지 못하고 下하면 處地의 宜를 얻는다 함인데 上하는 것은 逆이 되어 달이 太陽의 先에 있어 先迷의 象이 되는 것이오 下하는 것은 順이 되어 달이 太陽의 後에 있어 後得主의 象이 되는 것이니 後得主가 곧 後順得常이므로 下하면 順하다고 한 것이며 后天달은 後得主의 달이므로 小過에서 나오는 달은 順하여 太陽의 後에 있는 것이다.

 

上은 先天密雲之位 先迷之位 密雲已上也의 뜻이다.

 

飛鳥가 音을 遺한다 함은 先天月에서 律呂聲이 出하여 日月合朔하여 太陽의 震子를 受함이다.

 

先天月爲終 故言遺也 先天月遺之音而終 故不宜上也 宜下者 越於太陽之後也 宜下하여 大吉하다.

 

易卦의 飛字는 乾의 飛龍 明夷의 于飛 및 小過의 飛鳥이니 이는 乾은 父의 象이오 明夷의 坤은 母의 象이오 坤母의 所生하는 小過의 震艮은 子의 象인 까닭에 父母 및 子에 모두 飛字를 말한 것이다.

 

易卦의 彖辭에 「象」字가 있는 것은 剝 鼎 및 小過인데 易이라 함은 象이오 易은 日月이니 小過彖에 象字를 쓴 것은 小過卦에 달의 象이 있다 함을 表한 것이다.

 

六五의 密雲不雨自我西郊는 小畜卦의 卦辭로서 달의 體의 生하는 象을 말한 것인데 小畜에는 卦辭에 있고 小過에는 爻辭에 있으니 이는 小畜은 密雲이 天空中에 上하여 처음으로 달의 體를 生하는 것이므로 卦辭에 말하고 小過는 旣成한 달의 속에서 次世代의 달이 繼生하는 것이므로 爻辭에 말한 것이다. 이 卦辭와 爻辭의 區別은 마치 蠱卦의 先甲后甲은 果實에서 樹木의 幹이 生함을 象한 까닭에 卦辭에 말하고 巽卦의 先庚後庚은 旣成한 樹木의 가지에서 果實이 生함을 象한 까닭에 爻辭에 말하고 함과 同一한 理이다.

 

密雲不雨已上也라 함은 小畜에서 生한 先天달은 已上한 달로서 上逆하여 先迷의 象이 된 것이라 함이오 公弋取彼在穴이라 함은 上逆한 달을 弋取하여 穴에 두어 下順케 한다 함이니 이는 小過卦의 後順得常의 달을 말함이다.

 

六二는 生의 中心이므로 飛鳥의 所遺한 音을 胚胎하고 있는 것이다. 祖妣라 함은 乾과 坤을 말함이니 乾은 乾父의 卦로서 飛龍이 있고 明夷는 坤母의 卦로서 于飛가 있고 小過는 遺音의 卦로서 飛鳥가 있는데 六二의 祖妣君臣의 關係는 이 三飛字로써 表示되는 것이다. 乾의 飛龍은 天에 在하여 萬物을 創造하는 始祖의 象이 되므로 乾의 飛는 祖가 되는 것이오 明夷의 飛는 地道의 象으로서 母가되는데 明夷의 坤母는 萃升에서 終하여 妣가 되는 것이오 小過의 飛鳥遺音은 六二의 生의 中心에서 胚胎되고 있는데 遺音의 生成順序를 보면 먼저 乾飛의 祖를 過하여 來한 것이므로 그 祖를 過한 象이 되는 것이오 다음에 明夷于飛의 母를 遇하여 胚胎되니 小過의 生의 中心의 六二는 곧 明夷于飛하는 母體이오 明夷의 母體는 이미 妣가 된 것이므로 小過의 遺音은 六二에서 妣를 遇한 象이 되는 것이다.

 

君臣은 乾의 太陽과 坤의 달의 象이다. 六二의 陰은 坤의 달의 象으로서 臣의 象이 되고 달의 承受하는 乾陽의 光明은 君의 象이 되는 것인데 六二의 生의 中心에서 달의 體가 始生하고 달의 體는 坤의 臣道이므로 이는 그 臣을 遇한 象이 되는 것이오 달은 반드시 太陽의 後에 있은 然後에그 光明이 生하는 것이니 이는 坤卦의 後得主의 뜻으로서 臣이 君의 後에 있어 그 君에 及치 못한 象이 되는 것이다.

 

祖妣君臣關係를 合朔의 象으로써 보면 달이 太陽의 後로 지나온 것은 復上月의 象인 先天의 乾을 過하여 온 것이니 이는 그 祖를 過함이오 달이 太陽의 後에 있으니 이는 그 君에 及치 못함이오 后天달이 先天의 陰精에 附하여 生하니 이는 달이 已死한 妣를 遇함이오 太陽은 君의 象이오 달은 臣의 象이므로 달의 生한 것이 곧 그 臣을 遇함이다. 그러므로 過其祖遇其妣라 함은 乾의 飛龍이 明夷의 坤에 胚胎되어 그것이 小過의 飛鳥遺音으로 된 것임을 말함이오 不及其君遇其臣이라 함은 달이 太陽의 後에 있어 그 光明을 生함을 말함이며 六二에 祖妣君臣의 象이 있는 것은 小過는 新舊의 달의 終始하는 卦이므로 六二의 生의 中心에 달의 生成하는 系統 및 配偶關係를 말한 것이다.

 

初六과 上九의 飛鳥는 모두 陷하니 이는 卦辭의 可小事不可大事의 뜻이다. 小事라 함은 收斂하는 事이오 大事라 함은 發用하는 事인데 陰이 得中한 까닭에 六二 六五의 陰이 收斂하여 后天달을 生하는 일은 可한 것이오 陽이 失位하여 不中한 까닭에 陽이 發動하여 飛行하는 일은 不可한 것이다. 小過는 飛鳥의 象이오 初六과 上六은 飛行하는 兩翼의 象이오 兩翼의 飛行은 發動하는 象이므로 이 兩爻는 飛하여 陷하는 것이다.

 

序卦

中孚는 合朔하는 象이오 小過는 달이 太陽의 後로 돌아오는 象이므로 小過가 中孚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山上에 雷가 行하여 終萬物始萬物의 象이 되는 것이오 時候로써 보면 大寒立春의 節에 雷가 鳴動하여 收斂하는 속에 生長하는 象이 있는 것이다.

 

行의 恭과 喪의 哀와 用의 儉은 모두 收斂하는 象이오 過恭過哀過儉은 모두 收斂의 過함이니 이는 終萬物의 象이오 過恭의 속에 行이있고 過哀의 속에 繼世가 있고 過儉의 속에 用이 있으니 이는 始萬物의 象이다.

九三은 東北艮의 달로서 太陽을 過치 못함으로 先天月이 되어 消하는 것이다.

九四는 太陽을 過치 아니하고 遇하여 合朔하는 것이다.

 

 

 

 

 

 

 

 

 

 

 

 

 

And

수화기제 (한장경 역경대의)

|

 

 

旣濟 水火

 

旣未濟者 胎宮水火(乾坤之水火)之相合 而爲乾坤之合者 故越於后天乾坤也

 

旣濟는 水火卦이니 萬物의 組織은 모두 有形의 始인 水火로써 體를 삼는 것이므로 次世代를 生하는 生生作用에는 水火通明 絶處逢生의 理에 依하여 水火로써 相交하고 物을 胎育하는 胎宮이 水火로써 構成되는 것이며 그러므로 后天달이 中孚小過에서 太陽의 後로 넘어와서는 또한 水火가 相濟하여 體를 成하는 것이니 旣濟未濟는 달의 體를 成하는 象이며 萬物의 體에는 모두 首尾가 있으므로 萬物의 體의 象이 되는 兩卦의 上爻에는 首를 말하고 初爻에는 尾를 말한 것이다.

 

달이 后天으로 넘어감에는 또한 水火運行의 力에 依하는 것이니 旣濟는 火가 下에서 推上하는 象이오 未濟는 火가 上에서 牽引하는 象이다. 또 旣濟는 水가 火上에 있어 光明이 掩하므로 夜의 象이 되고 未濟는 火가 水上에 있어 光明이 現하므로 晝의 象이 되는데 中孚에서 日月이 合朔한 後에 小過에서 달이 太陽을 過하여 太陽의 後로 돌아오고 旣濟未濟에서 晝夜를 反復하면서 小過旣濟未濟 三卦의 十八爻 卽 太陽의 後의 十八度以外로 벗어져 나간 然後에 달이 비로소 光明을 生하는 것이오 十八度以外는 곧 다시 乾坤으로 돌아가는 度數이니 달이 다시 乾坤度數로 돌아가서 光明을 生하는 까닭에 이것을 后天달이라고 하는 것이다.

 

旣濟라 함은 時間的으로 이미 濟한다 함이니 이는 長의 時運이 終盡하고 萬物이 모두 成하여 成의 時運으로 넘어감을 말함이다.

九五의 東鄰殺牛 不如西鄰之禴祭는 歸妹六五의 其君之袂不如其娣之袂良과 同一한 象이니 이는 文王八卦圖의 四正卦의 互卦가 모두 旣濟로 되어 旣濟와 歸妹에 先后天달의 變化하는 象이 있는 까닭이다.

 

先天달인 復上月이 生하는 때에 無妄卦에 天命의 象인 震子가 坤體에 下來하여 坤牛가 灾하니 震은 文王八卦圖의 東方이라 이는 東鄰殺牛의 象이오 東鄰殺牛는 先天달의 生함을 象한 것이다. 后天달의 生할 때에는 萃卦의 坤母가 大牲이 되어 禴祭에 用하니 萃卦는 天命을 順하여 兌澤의 속에 后天달을 孕胎하는 象이오 兌澤은 文王八卦圖의 西方이라 이는 西鄰禴祭의 象이오 西鄰禴祭는 后天달의 生함을 象함이며 小象의 吉大來는 朔日의 큰 달이 來한다 함이다.

 

 旣濟九五는 合朔後에 太陽의 後의 十度를 넘는 成의 中心이므로 여기에 先后天달의 象을 말하여 先天의 復上月은 后天달의 大來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한 것이다. 旣濟九五에 牛의 象을 말한 것은 무슨까닭인가 하면 后天의 달은 幼虫이 飜生하여 鳥의 象이 되는 것이므로 그 形象은 鳥를 象한 것이오 后天은 物의 成하는 坤陰의 時運으로서 坤牛의 象이 되는 것이므로 그 時運은 牛를 象한 것이니 그러므로 九五의 속에 있는 달은 大牲의 子인 童牛이며 이 童牛는 또한 先天에 無妄卦의 東鄰牛의 子인 大畜卦 童牛의 胎育된 者이다.

 

初九는 火가 下에서 推上하는 基底이므로 圓月을 推上함을 象하여 曳其輪이라 한 것이다.

 

娣는 巽娣이니 易理에 婦는 모두 巽의 象이며 六二의 婦는 歸妹卦에 말한 中孚卦의 月幾望하는 巽娣이다. 茀은 草와 弗로 되어 草가 動하여 下로부터 逆生함이니 震子의 象이다. 六二는 生의 中心에서 달의 生하는 位인데 旣濟는 夜의 象으로서 光明이 掩蔽되고 있으므로 巽娣가 震子를 喪失한 象이 되는 것이며 勿逐七日得이라 함은 七日은 달의 象이니 逐치 아니하여도 달의 光明은 저절로 얻어진다 함이오 彖의 初吉柔得中은 이 六二爻의 象을 말함이다. 終止則亂其道窮이라 함은 上爻의 濡其首를 말함이니 새달이 生하고 舊體는 終하고 止하여 一陰一陽하는 道가 窮하므로 小象에 何可久也라 한 것이다.

 

사람의 死後에는 游魂이 鬼神으로 되니 生前에 物質生活을 하는 生長本能은 鬼가되고 天性의 여문 것은 神이 되는 것이며 그러므로 死後에는 반드시 鬼神이 있는 것인데 오직 生長本能이 强하여 天性이 여물지 못하고 物質生活을 爲主하던 사람은 死後에 神作用이 거의 없고 鬼만 있으며 物質生活을 主하는 사람들의 居하는 곳에는 神이없고 鬼만 있으므로 그러한 地方을 鬼方이라 하는 것이다.

 

高宗은 震巽이니 震巽은 長男長女로서 五行의 宗이므로 高宗이라 하는데 易理에 雷風은 神의 作用을 行하고 鬼方을 伐하는 것은 雷風의 神이니 그러므로 旣濟九三의 高宗과 未濟九四의 震은 곧 雷風의 神이다. 旣濟에 雷風을 모두 말하고 未濟에 雷만을 말한 것은 雷는 時間的 繼承作用을 行하고 雷風은 모두 空間的擴大作用을 行하는데 旣濟에는 水火衝擊하는 空間的變化가 있으므로 空間的作用을 行하는 雷風을 아울러 말하고 未濟에는 易經의 最終卦로서 先后天을 連繼하는 時間的變化가 있으므로 時間的作用을 行하는 雷만을 말한 것이다.

 

鬼神을 水火로써 보면 鬼는 水의 象이오 神은 火의 象이니 그러므로 鬼方은 北方坎水의 象이며 坎水에 相接한 神이 鬼方을 伐하는 것이므로 旣濟에는 坎水에 相接한 九三의 火에 高宗伐鬼方이 있고 未濟에는 坎水에 相接한 九四의 火에 震用伐鬼方이 있는 것이다.

 

易卦의 互卦의 理에는 旣濟未濟에 易子而敎하는 師傅道의 象이 있으니 師傅道는 곧 神道로서 雷地豫의 聖人刑罰淸의 制度와 風地觀의 聖人神道設敎의 敎가 모두 師傅道이며 그러므로 旣濟未濟의 伐鬼方은 雷風神이 師傅道를 行하는 象이오 成의 時運에는 사람의 天性이 여물어서 神道가 行하는 까닭에 先后天을 連繼하는 旣濟未濟에 神道를 말한 것이다.

 

旣濟未濟는 文王八卦圖의 地方의 位는 없고 妙萬物而爲言하는 乾坤의 神에 當하여 能變化旣成萬物의 象이 되니 旣濟未濟에 雷風의 神이 있는 것은 乾坤神의 所使이며 易卦에 「變化」의 辭가 있는 것은 오직 乾彖의 乾道變化와 坤文言의 天地變化와 雷風恒의 四時變化이니 乾坤雷風에 神의 象이 있어 變化作用을 行하는 까닭에 이 三卦에만 變化의 辭가 있으며 繫辭에 「知變化之道者 其知神之所爲」라 한 것도 乾坤雷風의 變化作用이 곧 神의 所爲이라 함을 말함이며 그러므로 后天달의 生하는 旣濟未濟에는 神의 變化作用이 行하고 있는 것이다. 旣濟未濟는 天地水火의 相合한 反易 變易 交易의 三易卦이므로 이 神作用은 文王八卦圖의 어느 一地方에 局限하는 것이 아니라 天地水火의 運行하는 곳에 神의 作用이 行치 아니하는 곳이 없는 것이다.

 

序卦

小過는 달이 太陽의 後로 돌아오는 象이오 旣濟는 后天의 成의 時運으로 넘어와서 萬物을 모두 成하는 象이니 그러므로 旣濟가 小過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旣濟는 水가 火上에 있어 水火의 衝擊하는 象이므로 水火變動의 患이 있는 것이다. 豫卦는 生의 時運의 終卦인데 旣濟가 또한 未濟와 함께 長의 時運의 終宮이므로 豫字로써 旣濟에서 長의 時運의 終하는 象을 表示한 것이다.

 

繻는 關門을 出入하는 때에 包帛을 裂하여 符信으로 쓰는 帛邊이오 衣袽는 弊衣이니 六四는 水火의 界와 日入의 界에 있는 關門의 象이므로 布帛의 符信을 말한 것이오 弊衣의 象을 取한 것은 乾은 衣象이라 先天의 終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旣濟未濟는 文王八卦圖에 南北水火의 卦로서 上下를 圜行하는 象이 있어 旣濟는 南에서 北하여 南卦의 初는 尾가되고 北卦上은 首가되며 未濟는 北卦의 初는 尾가되고 南卦의 上은 首가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旣濟未濟의 初爻와 上爻에 모두 首尾의 象이 있는 것이다. 上經에서 下經으로 넘어가는 卦에는 頤 大過 坎 離가 있어 모두 反易이 없는 圜轉卦로서 顚倒하되 形이 變치 아니하는 卦인데 下經에서 后天으로 넘어가는 卦는 中孚 小過는 頤 大過와 같은 圜轉卦인데 旣濟未濟는 圜轉卦가 아니오 顚倒하면 形이 變하는 것이다. 그러나 旣濟未濟가 運行하는 때에는 水火가 南에서 北하고 北에서 南하여 循環함이 端이없어 首尾가 相聯하여 圜轉卦의 形態가 되는 것이니 旣濟未濟의 初爻와 上爻에 首尾를 말한 것은 兩卦에 圜轉하는 形態가 있음을 表한 것이다.

 

 

 

 

 

 

 

 

 

 

 

 

 

 

 

 

 

And
prev | 1 | ··· | 10 | 11 | 12 | 13 | 14 |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