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國의 興起 (서당국사)

|

三國의 興起

처음에 北扶餘의 임금 解慕潄가 아들 朱夢을 낳았는데 朱夢은 東扶餘의 임금 金蛙에게 養育되다가 그의 兄弟들의 猜忌에 못 배겨 部下를 거느리고 逃亡하여 卒本에 이르러 國家를 세우고 姓을 高라 하니 이가 高句麗의 始祖이다.

一說에는 朱夢이 卒本에 와서 卒王의 女婿가 되었다가 王이 죽은 뒤에 그 位를 繼承하였다 하는데 여러 가지 史實로 보면 이 말이 가장 近理하고 朱夢이 卒本 國號를 고쳐서 高句麗라 하였음으로 後人이 高句麗의 歷年數에 對하여 朱夢으로부터 亡할 때까지를 七百五年이라 하고 卒本까지를 合하여 九百年에 가깝다고 하는 것이다. 이 나라는 桂婁部 消奴部 絶奴部 順奴部 灌奴部의 다섯 代族團이 中心으로 이루어진 社會이며 山이 많고 土地가 여위어서 生活이 困難한 까닭에 사람들이 勸儉하였다.(高句麗 建國) (檀紀 二千二百九十七年)

高句麗始祖 朱夢王이 아들 沸流와 溫祚를 낳았는데 東扶餘에 있을 때에 낳은 아들 類利가 찾아와서 太子가 되었음으로 沸流와 溫祚는 部下 十人을 거느리고 南으로 向하여 漢의 樂浪郡을 지나서 馬韓에 들어가니 馬韓王이 두 兄弟의 雄傑함을 보고 東北 百里의 땅을 割與하여 써 居處하게 하였다. 沸流는 魚鹽의 利를 取하여 彌鄒忽(지금의 仁川地方)에 나라를 세우고 溫祚는 山川의 險과 平野의 利를 取하여 漢江岸의 慰禮城에 都邑하여 나라를 세우고 國號를 百濟라하고 姓을 扶餘라 하니 이가 곧 百濟始祖이다.(檀紀 二千三百十六年)

沸流는 그 땅이 卑濕하여 나라를 이루지 못하고 죽으매 그 百姓이 모두 慰禮城으로 돌아오니, 溫祚는 勢力이 漸漸자랐으니, 創業 初期에 北邊의 樂浪과 靺鞨이 자주 侵入함으로 漢山에(지금의 廣州 南漢山城)) 都邑을 옮겼다.

弁 辰韓의 斯盧國에는 六村이 있었는데 六村長이 會議를 열고 北方人의 勢力이 南으로 밀려오는 이때에 우리가 賢君 一人을 求하여 세우고 國家를 統一하지 아니하면 안되리라 하고 朴赫居世를 맞이하여 임금을 삼고 지금의 慶州에 都邑하니 이가 곧 新羅 始祖이다. (檀紀 二千二百七十七年) 新羅의 國號는, 처음에는 斯盧 그밖에 여러 가지로 불러 왔으나 後에 新羅라 고쳤으므로 新羅로 通稱하는 것이다.

三國의 始祖는 모두 一代의 英傑이라 當時의 各國이 여러 部落國家로 成立되어 完全한 統一國家를 이루지 못하고 部落과 部落사이에 互相 侵伐함이 있으되 國家 總王이 能히 制御치 못함을 보고 政治를 中央에 統一한다는 中央集權制를 쓰기로 하였다. 그 까닭에 建國初부터 附近의 部落을 倂合하여 郡縣을 만들고 官吏를 보내어 다스렸으니 이것이 我國 歷史上 政治制度의 大 轉換期이다.

高句麗는 太白山 左右에 散在한 여러 部落國家를 征服하고 漢이 玄菟郡을 쳐서 高句麗縣을 取하니 이때가 卒本이라는 國號를 高句麗로 改稱한 때이오 東으로 沃沮 地方까지를 그 版圖에 넣었다.

百濟는 漸次로 馬韓國의 여러 部落을 倂合하니 馬韓王이 責하여 曰 王이 처음에 我境에 들어 왔을 때에 客身할 곳이 없기로 土地를 주어 安居케 했거늘 이제 우리 國土를 侵犯하니 무슨 道理인고 하였으나 溫祚王은 듣지 아니하고 南으로 漸次로 疆土를 넓혔다.

新羅는 弁 辰韓의 北部를 漸漸 倂合하고 西로 馬韓國境에 다다르니 여기서 비로소 百濟 兵과 相見하게 되어 三國時代 六七百年 間의 戰亂의 幕을 열었다. 그러나 이 戰爭은 好戰氣風이 있어서 생긴 것이 아니라 中央集權制와 統一國家를 만들려는 運動 過程에 必然的으로 생긴 現象이었다.

馬韓과 弁韓이 各其 百濟와 新羅로 엉켜 갔을 때에 洛東江 下流 地方은 中央集權制를 이루지 못하고 六伽倻國이 分立하여 部族社會를 그대로 지내었다. 그 中에는 洛東江 下流의 金海 地方을 中心으로 金首露王이 駕洛國을 세우니 이가 곧 駕洛始祖이오 駕洛을 또한 金官이라 하며 (檀紀 二千三百七十五年) 그밖에 大伽倻 小伽倻 阿羅伽倻 古寧伽倻 星山伽倻 等이 있었는데 좁은 區域에 六國이 分立되어 있었음으로 國力이 모두 떨치지 못하고 또 그 位置가 我國의 最南端에 있어 北에서 밀려온 我國 文化圈의 가장 구석진 곳이다. 다만 洛東江이 흘러내려 가서 三角洲를 이룬 곳으로 國民의 生活은 가장 裕足한 곳이다.

三國時代의 制度와 風習에는 여러 가지 特色이 있고 創造性이 있었다. 新羅는 當時 一般的으로 行하고 있는 君主 一姓 世襲制를 打破하고 二世 南解王은 子 儒理와 婿 昔脫解에 일러 曰 我 死後에 朴 昔 二姓이 年長 且 賢者로써 王位를 嗣하라 하더니, 昔脫解가 第四代 王이 되니 이로부터 朴昔 二姓이 相傳하고 脫解王이 金閼智를 收養하더니 後에 閼智의 子孫이 또한 王位를 繼承하여 이로부터 朴昔金 三姓이 相傳하였다. 이 時代는 戰亂이 자주 일어나고 또 創業期에 있었는데 萬一 君主가 年幼하거나 또한 暗愚하면 或은 行政權이 臣下에게 옮기고 或은 國家大事를 處理할 能力이 없어서 반드시 危亡에 빠지게 되는 것임으로 新羅에서는 一姓 世襲制를 깨트리고 骨品制를 써서 朴昔金 三姓을 聖骨이라 하고 聖骨 出身이 王位 繼承權을 가지되 年長 且 賢者가 王이 되기로 하니 이 까닭에 新羅가 高句麗 百濟와 鼎立한 동안 一,二의 例外를 除하고는 幼君과 暗王이 거의 없었다. 高句麗와 百濟도 二,三의 例外를 除하고는 年幼한 君主가 거의 없으니 이로써 보면 年長 且 賢者의 君됨은 三國時代의 王位繼承의 한 原則으로 되어 있었던 것이며 後世에 自己 子孫에게 幸福을 주기 爲하여 黃口 幼兒에게 王位를 傳함은 國事를 爲함이 아니오 그 國家를 自家 血統의 私有物로 생각한 까닭이며, 이로 因하여 國事를 그르치고 아들에게 幸福을 준다는 것이 도리어 큰 災禍를 준 例도 적지 아니한 것이다.

三國時代에 人性은 渾厚하여 個人의 私慾보다 國家를 爲하는 마음이 더 두터웠다. 新羅에는 王位를 辭讓한 例가 여러 번 있었고 高句麗에서는 높은 벼슬을 다른 사람에게 辭讓하는 例가 있었으니 高句麗 故國王때에 五部에 命令하여 賢人을 薦擧하라한즉 五部가 宴留를 推薦하여 높은 벼슬을 시키더니 宴留가 말하되 臣이 庸愚하여 足히 써 國家 大政을 맡지 못할지라 鴨綠谷에 乙巴素가 있어 力田 自給하는데 性質이 剛毅하고 政治의 大才가 있으니 此人이 아니면 國事를 맡을 사람이 없으니 臣의 벼슬을 此에게 맡기라 하였다. 王은 곧 乙巴素를 擧用하니 을乙巴素의 政治가 賢明하여 百姓이 便安하고 또 百姓의 貧窮함을 걱정하여 봄에 國倉의 穀食을 내어 百姓에게 빌려주고 가을에 還收하여 해마다 常例를 삼으니 百姓이 모두 기뻐하고 이것이 我國의 賑貸制度의 始初였다.

三國은 國家에 큰 亂離가 있으면 貴族의 子弟가 먼저 槍劍을 집고 弓矢를 메고 軍隊의 先頭에 나서고 軍卒이 그 뒤를 따름으로 將 兵이 모두 一體가되어 當時 天下 强國이라는 이름을 들었다. 勿論 이때는 戰功이 있는 者에게 土地를 주는 田庄制度가 있고 또 捕虜를 獲得하여 農業 奴隸로 使用하는 制度가 있음으로 貴族의 子弟들이 先頭에 나서는 것은 戰功을 세우기 爲한 一面이 없지 아니하나 國家를 爲하여 生命을 아끼지 아니하는 崇高한 精神은 足히 後世의 微弱한 下民層만을 軍士로 내 세우고 自己는 安逸한 地位에 逃避하는 貴族層을 愧死케 할 것이오 有名한 新羅의 花郞도 이러한 精神속에서 생겨난 것이다. 이와 같이 三國時代의 사람은 渾厚한 氣風으로써 地位의 高下와 勢力의 强弱을 가리지 아니하고 오직 一心으로 함께 國事에 當하였으므로 三國時代는 我國歷史上 가장 光輝있는 時代를 現出한 것이다.

 

'我國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濟와 新羅의 發展 (서당국사)  (0) 2015.02.15
高句麗의 隆盛 (서당국사)  (0) 2015.02.15
古朝鮮 (서당국사)  (0) 2015.02.15
原始生活 (서당국사)  (0) 2015.02.15
我國의 自然環境 (서당국사)  (0) 2015.02.15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