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眞關係 (서당국사)

|

女眞關係

女眞은 처음에 渤海國을 構成한 靺鞨의 一族이라 渤海가 契丹에게 亡한 뒤에 女眞族이 南滿州 方面에 居住하는 者는 契丹에게 歸化하여 熟女眞이 되고 白頭山을 中心으로 한 北滿州와 沃沮故地에 居住하는 者는 恒常 契丹에 反抗하였음으로 이를 生女眞이라 한다. 우리나라와 隣接하고 있는 女眞族은 모두 生女眞으로서 貿易과 侵略을 되풀이하였으나 高麗를 두려워하는 氣色이 없지 아니하였다.

그런데 哈爾濱(하얼빈) 附近의 完顔 部에 烏雅束이 나서 그 勢力이 무척 늘어서 이웃의 여러 部族을 合치고 그 힘이 우리나라 國境에까지 미치니 烏雅束의 先世는 高麗 東北面의 和州(지금의 永興)사람 金某임으로 그들은 高麗를 父母之國이라 肅宗 九年 正月에 咸州(지금의 咸興)의 女眞 部落을 統合한 烏雅束의 部下는 國境을 넘어서 定平에 들어왔다. 이에 高麗에서는 林幹을 보내어 치다가 失敗하고 다시 尹瓘을 代身 보내었으나 또한 功을 이루지 못하고 겨우 敵을 宥和하여 돌려보내었다. 그러나 尹瓘은 이 싸움에서 女眞이 어찌하여 强한가를 알았다. 그것은 高麗의 步兵에 對하여 敵은 모두 騎兵이어서 처음부터 對敵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尹瓘은 이에 神騎隊라는 騎兵隊를 만들어서 猛烈한 訓練을 시켰다. 그러던 中 肅宗이 昇遐하면서 遺言으로 지금의 女眞의 勢力을 꺾지 아니하면 반드시 後患이 있으리라 하여 女眞을 치기를 付託하였다.

肅宗 二年에 (紀元 三千四百四十年) 女眞이 다시 國境을 侵犯함으로 尹瓘이 十七萬의 軍士를 거느리고 長城을 넘어 가서 敵의 巢窟 一百 三十餘所를 무찌르고 英州, 雄州, 福州, 吉州, 咸州, 公嶮鎭, 宜州, 通泰, 平戎의 九城을 쌓으니 이것이 有名한 東北面 九城이다.

九城의 땅이 지금의 어느 곳인지 確實히 알려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或은 公嶮鎭을 지금의 北間島의 땅이라 하고, 或은 吉州를 지금의 咸鏡北道 吉州라 하여 마치 九城의 땅이 豆滿江의 左右에 까지 미침과 같이 말하는 일도 있으나 當時 戰爭한 日數와 距離 等으로 생각하여 보면 지금의 咸鏡南道의 北部 海岸地方임이 틀림없는 것이다.

이 해로부터 다음해에 걸쳐서 女眞은 高麗에 怨讐를 갚고 九城을 恢復하려하여 쉴 사이 없이 反擊을 되풀이하고 또 完顔部가 數萬名으로서 英州 雄州 吉州等을 차례로 包圍하였으나 成功치 못하였다. 이때 女眞은 九城 等地에서 쫓겨나간 部落이 安住할 곳을 잃어서 몹시 疲勞하고 高麗도 또한 九城의 땅이 驗하여 지키기 어렵고 또 距離가 멀어서 모든 軍需物을 輸送하기 어려워서 國力이 疲弊하였다. 이에 女眞은 使臣을 보내어 와서 九城을 返還하여 달라고 哀願하여 曰 만일 九城을 돌려주면 以後로는 永遠히 高麗를 父母의 나라로 섬기고 子子孫孫이 朝貢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며 하늘에 盟誓하고 돌 자갈 하나라도 地境을 넘어서 던지지 아니 하겠다고 굳게 다짐함으로 高麗는 그들의 所願을 들어주기로 하고 官員을 보내어 女眞 面長들로 하여금 咸州城 밖에 壇을 모으고 하늘에 盟誓케 한 다음 九城으로부터 次例로 물러나니 이로써 여러 해 동안 애써 이루어진 東北面의 計劃이 모두 무너졌다.

그러나 返還은 效果가 결코 적은 것이 아니었으니 後日 高麗와 女眞과의 交涉에 큰 影響을 끼쳐서 오랫동안 不安하던 東北面의 國境이 이로부터는 平靜하여졌고 烏雅束의 아들 阿骨打가 女眞國을 크게 만들어 國號를 金이라 하고 契丹 卽 遼나라를 滅하고 다시 中國에 쳐들어가서 宋나라를 楊子江 南쪽으로 몰아내서 東洋 天地를 뒤흔들었건만 高麗에 對하여는 恒常 友好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擇里志라는 글에 쓰여 있는 것을 보면 滿洲에서 일어난 國家는 大江과 大野를 가지고 있어 그 氣風이 雄大함으로 高句麗와 渤海는 能히 中國大陸과 雌雄을 다투었고 渤海 遺族인 金나라는 能히 中國에 들어가서 帝王노릇을 하였는데 鴨綠江 以南에 (局蹐), 跼蹐하고 있는 國家는 千里의 江과 百里의 野가 없기 때문에 겨우 그 封域을 僅守할 뿐이라는 뜻을 썼는데 地理와 國民氣風의 關係가 있고 없는 것은 別問題로 하고 어쨌든 우리 民族이 滿洲를 잃은 後에 그 勢力이 갑자기 微弱하여진 것은 事實이다.

 

'我國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蒙古亂 (서당국사)  (0) 2015.02.17
繼生하는 叛亂 (서당국사)  (0) 2015.02.17
中期의 隆盛 (서당국사)  (0) 2015.02.17
儒敎와 佛敎의 文化 (서당국사)  (0) 2015.02.17
契丹關係 (서당국사)  (0) 2015.02.17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