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중의 소운과 지역의 기운 (역학원론)

|

 

대운중(大運中)의 소운(小運)과 지역(地域)의 기운(氣運)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은 천지(天地)의 대운(大運)을 말한 것이오 대운(大運)의 속에 소운(小運)의 유행(流行)이 있고, 또 각지역(各地域)에 따라서 음양성(陰陽性)의 기운(氣運)이 상이(相異)한 것이다. 그러므로 비록 동일(同一)한 대운(大運)이라 하더라도, 그 시기(時期)와 지리(地理)를 따라서 그 시운(時運)에 적지 아니한 차이(差異)가 있는 것이다. 소운(小運)의 유행(流行)이라함은 음양(陰陽)의 유행(流行)하는 기운(氣運)은 때를 따라서 소장(消長)과 성쇠(盛衰)가 있어, 그것이 사람의 생활(生活)과 사회(社會)의 변동(變動)에 영향(影響)하고 있음이다. 이제 음양(陰陽)의 기운(氣運)이 인체(人體)의 생리(生理)에 영향(影響)한 일례(一例)를 보건대, 중국(中國)의 송조말엽(宋朝末葉)에는 병(病)의 발원(發源)이 대개(大槪) 양기(陽氣)의 부족(不足)함에 있으므로, 張潔古․李東恒 등(等) 제현(諸賢)의 약방(藥方)이 모두 중궁(中宮)을 보(補)하고 양기(陽氣)를 부조(扶助)하는 약(藥)을 주(主)하고, 명조말(明朝末)에 이르러서는 병(病)의 발원(發源)이 대개(大槪) 음허(陰虛)함에 있으므로 朱丹溪 이하(以下) 제의(諸醫)가 모두 음기(陰氣)를 보(補)하고 하초(下焦)를 자익(滋益)하는 약(藥)을 주(主)하니, 이는 때를 따라서 기운(氣運)의 유행(流行)이 상이(相異)한 까닭이다.

지역(地域)의 상이(相異)라함은 지리(地理)의 동서(東西), 남북(南北) 또는 고저(高低), 조습(燥濕) 등(等)을 따라서 음양(陰陽)의 유행(流行)이 동일(同一)치 아니하여 또한 인생생활(人生生活)에 영향(影響)하고 있음이다. 이제 동양(東洋)과 서양(西洋)의 대체(大體)의 예(例)로써 보건대, 동양(東洋)은 양방(陽方)에 속(屬)하고 서양(西洋)은 음방(陰方)에 속(屬)함으로 음양(陰陽)의 기운(氣運)이 상반(相反)하는 것이 적지 아니하다 종횡(縱橫)으로써보면 동양(東洋)의 가족제도(家族制度)는 부전자수(父傳子受)하는 종적(縱的)이오, 서양(西洋)의 가족제도(家族制度)는 부부(夫婦)를 중심(中心)으로하는 횡적(橫的)이니, 종(縱)은 양(陽)이오 횡(橫)은 음(陰)이며, 서적(書籍)같은 것도 동양(東洋)은 종서(縱書)하고 서양(西洋)은 횡서(橫書)하는 것이다. 종합(綜合)․분석(分析)으로써 보면 종합(綜合)은 양(陽)이오 분석(分析)은 음(陰)이라, 동양(東洋)의 학문(學問)은 종합(綜合)을 주(主)하니 모든 인문학(人文學)과 한의학(漢醫學)이 그 일례(一例)이오, 서양(西洋)의 학문(學問)은 분석(分析)을 주(主)하니 지금의 과학(科學)과 의학(醫學)의 여러 분과(分科)가 그 일례(一例)이며, 문장(文章)의 구절(句節)같은 것도 동양(東洋)은 종합(綜合)된 일구(一句)를 한마디로 쓰고, 서양(西洋)은 구(句)를 분해(分解)하여 일단어(一單語)를 한마디로 쓰며, 문자(文字) 같은 것도 아국국문(我國國文)은 초중종성(初中終聲)의 종합(綜合)이오, 서양문(西洋文)은 분해식(分解式)이며, 음식(飮食) 같은 것도 동양(東洋)은 비빔밥식(式)의 종합식(綜合式)이오, 서양(西洋)은 일미(一味)씩 분식(分食)하며, 신체(身體)의 생리(生理)에도 이러한 현상(現象)이 있어, 대소변(大小便)같은 것도 동양인(東洋人)은 공제(共濟)이오 서양인(西洋人)은 분제(分濟)이다. 음양(陰陽)의 상구(相求)로써 보면 동양(東洋)은 채식(菜食)이 많고 서양(西洋)은 육식(肉食)이 많으니, 채식(菜食)은 그 성(性)이 대체(大體)로 양(凉)하고, 육식(肉食)은 대체(大體)로 온(溫)한지라, 동양(東洋)은 양(陽)에 속(屬)함으로 그를 조화(調和)하기 위(爲)하여 채식(菜食)을 주(主)하고, 서양(西洋)은 음(陰)에 속(屬)함으로 또한 그를 조화(調和)하기 위(爲)하여 육식(肉食)을 주(主)하는 것이니,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이(理)에 장부(臟腑)에 냉(冷)이 많은 소음인(少陰人)은 육식(肉食)을 요(要)하고, 열(熱)이 많은 소양인(少陽人)은 채식(菜食)을 요(要)하는 것이 또한 그 까닭이며, 시력(時曆)에 있어서, 자래(自來)로 동양(東洋)은 태음력(太陰曆)을 쓰고, 서양(西洋)은 태양역(太陽曆)을 쓰니, 이는 양성(陽性)은 음성(陰性)을 구(求)하고, 음성(陰性)은 양성(陽性)을 구(求)하는 이(理)에 의(依)한 것이다. 이외(以外)에도 상하(上下), 내외(內外), 좌우(左右) 등(等)에 상대(相對)되는 것이 적지 아니하니 의관(衣冠)에 있어서 동양(東洋)은 갓을 쓰는 것을 예(禮)라하고 서양(西洋)은 모자(帽子)를 벗는 것을 예(禮)라하며, 가옥건축(家屋建築)의 의식(儀式)에 있어서 동양(東洋)은 상량식(上梁式)을 행(行)하고 서양(西洋)은 정초식(定礎式)을 행(行)하며, 문(門)을 열 때에 동양(東洋)은 밖으로 열고 서양(西洋)은 안으로 열며, 식사(食事)할 때에 동양(東洋)은 우수(右手)로 먹고 서양(西洋)은 좌수(左手)로 먹으며, 수지(手指)로 수(數)를 계산(計算)할 때에 동양(東洋)은 무지(拇指)에서 하나를 시작(始作)하고 서양(西洋)은 소지(小指)에서 하나를 시작(始作)하는 등(等) 일일(一一)히 매거(枚擧)할 수 없으니, 이는 우연(偶然)함이 아니오 실(實)로 지리(地理)와 풍토(風土)의 음양대대(陰陽對待)로부터 자연(自然)히 발생(發生)한 것이다.

西洋 主分析 故個人自由主義發達 東洋主綜合 故家族宗族鄕里 등(等) 血統主義 發達

東洋人 看地圖 上爲南 下爲北 左爲東 右爲西 西洋人 上爲北 下爲南 左爲西 右爲東 此 東洋人 南面爲主 西洋人 北面爲主故也

 

음양상구(陰陽相求)의 이(理)에 의(依)하여 동양(東洋)과 서양(西洋)이 서로 타(他)의 유여(有餘)함을 수입(輸入)하여 아(我)의 부족(不足)함을 보익(補益)하는 것은 생존작용상(生存作用上) 절실(切實)한 일이다. 그러나 음양상구(陰陽相求)라 함은 아(我)의 본체(本體)를 살리면서 타(他)의 작용(作用)을 받아들여 용(用)을 삼는 것이오, 결(決)코 아(我)의 본체(本體)를 폐기멸각(廢棄滅却)하는 것이 아니니, 만일 본체(本體)를 폐기멸각(廢棄滅却)하면 이는 음양상구(陰陽相求)가 아니오 곧 타(他)가 편승(偏勝)하고 아(我)가 편패(偏敗)하는 자멸작용(自滅作用)이다. 그 일례(一例)를 들건대 동양(東洋)의 한의학(漢醫學)은 종합의학(綜合醫學)이므로 안병(眼病)이 생(生)한 때에 간장(肝臟)을 치료(治療)하는일도 있고, 이병(耳病)이 생(生)한 때에 신장(腎臟)을 치료(治療)하는 일도 있으니, 이는 동양의학(東洋醫學)의 본체(本體)이다. 만일 안이병(眼耳病)이 생(生)한때에 안이(眼耳)만을 대증(對症)하는 서양의학(西洋醫學)을 주(主)하고 한의학(漢醫學)의 본체(本體)를 폐기멸각(廢棄滅却)한다면, 이는 의학(醫學)의 퇴보(退步)이며, 지금 세간(世間)에 정치(政治)․학술(學術)․윤리도덕(倫理道德) 등(等) 각(各) 부면(部面)에 긍(亘)하여 본체멸각(本體滅却)의 경향(傾向)이 적지 아니한 것은, 모두 음양상구(陰陽相求)의 원리(原理)를 알지 못하고 자아(自我)의 본체(本體)를 자각(自覺)치 못하는 우거(愚擧)이다.

이와 같이 대운(大運)의 속에는 소운(小運)이 있고, 또 각지역(各地域)에 따라서 기운(氣運)이 동일(同一)치 아니한지라, 그러므로 비록 대지상(大地上)의 전인류(全人類)가 모두 동일(同一)한 시운(時運)의 속에 살고 있으되, 그 국민(國民)의 변통(變通)의 재(才)와 창조(創造)의 역(力)이 능(能)히 시(時)와 처(處)의 유행(流行)하는 기운(氣運)을 관찰(觀察)하여 시의(時義)를 선행(善行)하는 사회(社會)는 음양(陰陽)이 조화(調和)하여 흥왕(興旺)하고, 그러한 재(才)와 역(力)을 가지지 못한 사회(社會)는 음양(陰陽)이 편승편패(偏勝偏敗)하여 쇠패(衰敗)하는 것이다.

註一. 伏羲․文王의 八卦圖에 金一夫의 正易圖를 添附함 【別表】

註二. 繫辭上傳 第九章

註三. 繫辭上傳 第十一章

註四. 說卦傳 第五章

And

주역 정역 읽기판

|

 

 

韓長庚 先生 著  易經大意,  易學原理總論,  正易  合本 (發刊本 周易 正易과 同一)

 

 

 

            실행파일

주역정역.EXE 

 

뉴총론.EXE      

 

뉴정역.EXE      

 

뉴역경대의.EXE

 

아국역사.EXE    圍=周  所道=四出道  簡儀室=簡儀臺

 

 

 


題目                         

目次 < 易學原理總論-易學으로본 人生問題 - >

第一章 天地의 組織11

第一節 陰陽과 生命11

∎ 運動은 陰陽에서 일어난다11

∎ 陰陽의 互根12

∎ 陰陽의 互先互後13

∎ 陰陽의 互易14

∎ 陰陽의 互大互小14

∎ 生命體의 組織15

第二節 生命의 形化18

∎ 無形과 有形18

∎ 生命의 氣精形變化20

∎ 八卦는 生命의 運動22

易學의 八卦原理23

八卦의 象은 다음과 같다24

∎ 太陽과 달의 生成27

註 序卦의 日月生成29

第三節 씨의 發生32

∎ 씨는 日月에서 生한다32

∎ 植物 動物 사람의 發生34

註 序卦의 生物 發生順序37

∎ 男女의 分化38

∎ 生長成의 時運40

第二章 사람의 精神作用43

第一節 天性의 組織43

∎ 生命과 天性43

∎ 天性의 生成43

∎ 觀察 思慮 判斷 記憶等 作用45

∎ 祈禱의 原理46

第二節 心情의 組織47

∎ 心情은 天性에서 發한다47

∎ 心의 體는 仁禮義知49

註 三顯一藏의 理50

∎ 生育 生殖 長壽의 三情은 萬物의 本能51

註 天地萬物의 情51

∎ 心과 情의 調和53

第三章 神과 人間54

第一節 人間은 神의 創造54

∎ 神의 存在하는 原理54

∎ 神은 永遠無窮58

∎ 神은 太陽에 位居60

第二節 死生과 鬼神62

∎ 萬物은 神의 分身62

∎ 死後 鬼神의 理63

∎ 人間世界와 鬼神世界66

∎ 鬼神의 盈虛消長67

第四章 사람의 生生69

第一節 生生의 圜運動69

∎ 宇宙는 圓狀組織69

∎ 動植物과 사람의 差異71

∎ 神과 사람의 相祐75

第二節 自由意志와 善惡78

∎ 善惡이 모두 自由78

自由의 本質80

善惡의 標準80

∎ 지금의 人間은 자라는 過程에 있는 未成品81

性惡說84

∎ 天命은 一生의 使命84

第三節 孝 忠 義는 三大倫87

∎ 孝忠義는 神道이다87

∎ 孝의 原理87

註 孝의 理88

∎ 忠의 原理91

註 忠의 理91

∎ 義의 原理93

註 義의 理93

生活의 體用94

第五章 未來의 成의 時運95

第一節 世上의 變化95

∎ 先天과 后天의 時運95

∎ 地球 달 사람의 變化96

註 胎宮 二十四數98

∎ 物質文明의 沒落과 精神文明의 發達99

第二節 새 宗敎의 出現104

∎ 宗敎는 神道의 敎104

∎ 佛敎의 敎理106

∎ 儒敎의 敎理109

∎基督敎의 敎理109

∎三敎 敎理의 相互關聯111

∎ 三敎一體의 새 宗敎116

第三節 未來의 政治118

∎ 師傅政治118

註 易學의 父子 國家 師傅의 道120

∎日月運行法則이 政治의 原理이다122

 

                               

 


'周易正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정역(2001)pdf  (0) 2015.04.11
주역정역 피디에프 한장경 저  (0) 2013.09.23
And

삼화 한장경 선생 행적 (국가기록원)1927

|

 

 

 

 

 

 

 

 

'書架'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字句解  (0) 2014.06.02
序卦와六十甲子  (0) 2014.06.02
한자병기 역학으로본 사람의세상살이  (0) 2014.05.16
삼화 한장경 선생 유적 (중앙도서관)1930  (0) 2013.09.04
한장경 선생 유적 (국회도서관)1930  (0) 2013.09.04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