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句麗와 中國과의 關係 (서당국사)

|

高句麗와 中國과의 關係

高句麗는 鴨綠江을 中心으로 南北 數千里에 걸쳐서 큰 勢力을 길렀으므로 非但 新羅와 百濟에 對한 壓力이 될 뿐 아니라 中國大陸에 對하여도 끊임없는 威脅이었다.

그러나 前日의 中國은 五胡 十六國의 어지러운 時代였으나 그 뒤에 南北으로 나뉘었다가 隋나라가 일어나서 統一을 이룬 뒤에는 高句麗와의 사이에는 두 큰 勢力이 마주쳐서 부딪치지 아니할 수 없이 되었다. 高句麗 嬰陽王때에 靺鞨을 거느리고 隋나라의 遼西를 친 것이 動機가 되어서 隋 文帝가 三十萬 軍士로서 쳐들어 왔으나 中途에서 敗하여 돌아갔다. 다음 임금 煬帝는 本是 虛心이 많은 사람으로서 天下를 統一해 보겠다는 野心과 父皇이 이루지 못한 恨을 풀겠다는 생각으로 天下의 힘을 기우려 嬰陽王 二十二年 (檀紀 二千九百四十五年)에 百十三萬의 陸軍과 多數한 水軍을 거느리고 高句麗로 쳐들어오니 陣의 길이가 九百六十里에 뻗쳤다. 이런 일이 있을 줄을 미리 斟酌하고 乙支文德으로써 大將을 삼고 準備하던 터이라 乙支文德이 鴨綠江을 건너가서 隋軍 二十萬을 誘引하여 薩水(지금의 淸川江)에 이르러 大破하니 敵의 生還者가 겨우 二千八百名에 지나지 못하니 이것을 薩水大戰이라 하며 遼東에 남아있는 軍士는 或은 敗하고 或은 怯을 먹고 스스로 무너져 버렸다. 煬帝는 이듬해 다시 軍士를 거느리고 와서 遼東城을 쳤으나 거듭 失敗하고 세 번째 高句麗를 치려다가 國內 叛亂으로 마침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얼마 되지 아니하여 唐나라에게 亡하였다.

 

'我國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羅의 三韓統一 (서당국사)  (0) 2015.02.15
三國混戰 (서당국사)  (0) 2015.02.15
三國時代의 社會 (서당국사)  (0) 2015.02.15
百濟와 新羅의 發展 (서당국사)  (0) 2015.02.15
高句麗의 隆盛 (서당국사)  (0) 2015.02.15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