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羅의 三韓統一
처음에 新羅가 唐나라에 請兵할 무렵에 新羅 王이 昇遐하고 金春秋 閼川 두 사람이 王位를 繼承할 候補者가 되었는데 二人이 서로 王位를 辭讓하다가 春秋가 王이 되니 이가 곧 太宗武烈王이다. 이때 百濟는 政治가 어지러워서 民生은 塗炭에 빠지고 여러 番 新羅를 치다가 番番이 敗하니 國勢가 危急하던 次 唐나라 軍士가 바다를 건너오고 新羅 武烈王이 將軍 金庾信을 보내어 大軍을 거느리고 쳐들어왔다
百濟 將軍 階伯은 決死軍 五千名을 거느리고 黃山으로 나아가 金庾信 軍을 맞아 勇敢히 싸웠으나 衆寡不敵하여 마침내 敗하여 戰死하고 泗泌城이 羅唐 聯合軍에게 떨어지고 百濟 義慈王이 降服하니 이로써 百濟는 三十一王 六百七十八年에 亡하고 (檀紀 二千九百九十三年) 지금 扶餘 錦江岸의 落花岩은 當時 宮女들이 逃亡하다가 떨어져 죽었다는 哀話를 남긴 곳이다.
唐將 蘇定方은 百濟를 滅한 뒤에 唐나라의 根本 政策에 依하여 그 軍士를 옮겨서 新羅를 치려하였다. 原來 外國의 軍隊를 이끌어다가 利用하는 데는 마침내 그 軍隊의 侵撲을 받는 것이 古今 歷史의 通例라 武烈王과 金庾信은 일직부터 外軍 利用의 危險性이 있음을 잘알고 또 唐나라의 野心을 이미 看破한 터이라 便으로 百濟에 出兵하면서 한편便으로 國內를 굳게 지키니 蘇定方이 그 機微를 알고 敢히 움직이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金庾信으로써 名將이라고 稱하는 所以이오 後世에 自國內를 텅텅 비워 놓고 外軍을 이끌어다가 利用한다는 것은 가장 愚昧한 것이다.
唐나라는 百濟의 故地에 熊津 馬韓 等 五 都督附를 두었는데 百濟 遺民들의 光復運動으로 말미암아 唐나라의 軍政이 뜻대로 되지 아니하였다. 처음에 王族 福信이 僧 道琛과 더불어 지금 韓山附近인 周留城에서 軍士를 일으켜 日本에 가 있는 王子 豊을 세워 임금을 삼고 高句麗와 日本에 救援을 請하여 한동안 그 氣勢가 떨치더니 나중에 內部의 勢力 다툼으로 말미암아 福信이 道琛을 죽이고 豊王이 또 福信을 죽여서 마침내 모두가 무너지고 말았다.
唐나라는 百濟를 滅한 뒤에 다시 高句麗를 칠 準備를 始作하였다. 이때 高句麗는 淵蓋蘇文이 죽고 그 아들 男生이 政權을 잡았는데 家族사이에 不和가 생겨서 淵蓋蘇文의 아우 淨士는 十二城으로써 新羅에 가서 붙고 男生 그 아우 男達이 서로 猜忌하여 싸움이 일어나더니 男生은 唐나라에 降服하여 本國의 軍事機密을 일일이 告하였다. 唐나라 임금 高宗은 어버이 太宗의 뜻을 이어 六次나 高句麗를 쳤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으로 平生의 恨으로 여기던 터이라 將軍 李勣을 시켜서 大軍을 거느리고 高句麗로 쳐들어 가게하고 이에 新羅 文武王도 軍士와 食糧을 내어 唐軍을 도왔다. 高句麗는 나라 일이 어지러운 데에 凶年이 겹 들여서 매우 困境에 빠졌으나 그래도 二年동안이나 支撑하다가 마침내 平壤城이 陷落되니 (檀紀 三千一年) 百濟가 亡한 後 八年만이오 그 歷年數는 卒本扶餘 建國으로부터는 八百 餘年이오 朱夢으로부터는 二十八王 七百五年으로 亡하였다.
唐나라는 平壤에 東都護府를 두고 高句麗 故地를 九 都督府로 나누고 高句麗 百姓을 많이 中國으로 옮겨갔다. 高句麗 遺將 釰弁令은 王族 安勝을 받들어 光復運動을 일으키고 新羅가 또 이를 도와서 唐나라에 對抗하였음으로 安東都護府는 마침내 遼東으로 옮겨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安勝이 釰弁令을 죽여서 光復運動은 中心을 잃어버리고 安勝은 新羅로 들어갔다.
처음에 新羅가 唐나라에 請兵하여 百濟와 高句麗를 칠 때에는 그 土地를 新羅가 統一할 생각이었으나 두 나라가 亡한 後에 唐나라가 그 땅을 모두 占領하고 新羅는 도리어 唐나라의 威脅을 받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光復運動을 도와서 唐나라와 싸우게 하더니 마침내 文武王은 唐나라와 直接 싸우기로 決定하고 高句麗가 亡한 二年後부터 七年동안 싸움을 繼續하던 끝에 實力으로 唐軍을 몰아내고 大洞江 以南의 땅을 찾아서 비로소 三韓 統一의 業이 이루어졌다.
'我國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渤海의 建國 (서당국사) (0) | 2015.02.15 |
---|---|
三國의 文化와 經濟 (서당국사) (0) | 2015.02.15 |
三國混戰 (서당국사) (0) | 2015.02.15 |
高句麗와 中國과의 關係 (서당국사) (0) | 2015.02.15 |
三國時代의 社會 (서당국사) (0) | 2015.02.15 |